$\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BQ를 이용한 운전자의 과속의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eding Intention and Behaviors Based on a Driver Behavior Questionnair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3 no.2, 2015년, pp.159 - 169  

이창희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금기정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속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치사율이 높고 그에 따른 많은 사회적비용의 지출이 따른다. 본 연구는 운전자의 행동특성이 과속의도와 과속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행동설문지로 활용되는 DBQ(Driver Behavior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과속운전 의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의 행태와 인적특성을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행동특성과 과속의도, 과속행동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DBQ의 속성은 Violation으로 나타났고, 과속의도는 과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하면, DBQ의 속성은 Violation, Mistake, Lapse 순으로 과속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행동 척도인 DBQ의 세가지 속성 Lapse, Mistake, Violation이 과속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여 DBQ를 활용한 운전행동분석 및 위험운전행동의 예측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eding has been the most common traffic violation which increases the risk of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rivers' behaviors on the speeding intention and speeding a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auses and effects. Effects of behaviors and human cha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변수들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행동특성이 과속의도와 과속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DBQ를 활용하여 운전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하여 행동특성과 과속의도, 과속행동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은 회귀분석과 마찬가지로 관측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이다(Bae, 2007).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행동특성이 과속의도와 과속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운전행동분석 도구인 DBQ(Driver Behavior Questionnaire)를 활용하여 과속운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의 행태와 인적특성을 분석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행동특성과 과속의도, 과속행동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속운전에 따른 교통사고의 감소를 위한 방안으로 운전자의 운전행동 분석을 통해 교통법규 위반이나 과속운전 성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처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자기보고식 운전행동 분석도구인 DBQ의 속성 Lapse, Mistake, Violation이 과속운전 의도와과속운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속성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DBQ로 측정되는 Lapse, Mistake, Violation의 운전자의 행동특성이 과속운전의 의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 L7 : 후진이나 차선변경 시 사이드 및 백미러를 확인하지 않는다.
  • - L8 : 운전 중에 휴대전화를 보거나 다른 일을 하며 전방은 반만 주시한다.
  • - V3 : 타 운전자의 행태가 마음에 들지 않아 운전중 고의적인 추격이나 길막기를 한 적이 있다.
  • H-1 : Lapse는 과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Lapse는 과속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Mistake는 과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Mistake는 과속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Violation은 과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Violation은 과속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 과속의도는 과속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BQ는 어떤 속성으로 구분되는가? DBQ는 Lapse, Mistake, Violation의 3가지 속성으로 구분되고, Lapse는 의도하지 않았으나 계획에서 벗어난 행동으로 일상적인 부주의함에서 오는 실수, Mistake는 올바른 행위 의도와 구성이 실패한 경우로 도로규정을 모르거나 운전경력이 부족한데서 오는 실수, Violation은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운전자의 동기에 의해 규정을 위반하려는 의도적인 위반으로 정의된다.
구조방정식 모델이란 무엇인가?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은 특정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모형 이론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변수들간의 인과관계 및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기법으로서 사회학 및 심리학분야에서 개발되어 경영학, 광고학, 교육학, 의학, 정치학 등 여러 학문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계획된행동이론을 기반으로 분석모형을 설정한 결과 과속의도는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Lee(2007)는 계획된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기반으로 교통사고 발생원인 중 운전자 요인을 포괄하는 분석모형을 설정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업용 자동차 운전자들의 과속행동은 과속의도에 의해 영향을 받고 과속의도는 운전심리적 요인의 도덕적 당위와 성격, 운전행태적 요인의 개인습관과 대처행동, 운전환경적 요인의 생활상태등 5개요인에 의해 영향받는다고 결론지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e B. Y.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CRBOOKS. 

  2. Bae J. H. (2007), A Study of Adults Violation of Traffic Laws in Relationship to Driving-related Risk Behaviors and Residual Adult ADHD, Sungshin Women's University Master's Degree Dissertation. 

  3. Hwang S. H. (2006), Correlation Between Driver's Unsafe Acts and Personality Types, KAIST Master's Degree Dissertation. 

  4. Jo S. H. (2013),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Driver's Speeding Behavior,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15(5), 227-252. 

  5. Kim S. D. (2004), Factor Analysis of Military Driver Behavior and Preventing Accident, KAIST Master's degree Dissertation. 

  6. Lee C. S. (2007), The Aberrant Driving Behavior in Korea, KAIST Master's Degree Dissertation. 

  7. Lee H. S. (2007), Study on the Danger Factor that Influences on Intention and Behavior of Business-Usage Vehicle Driver's Over-Speed, Dongguk University Doctor's degree Dissertation. 

  8. Reason J. (1990), Human 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Reason J., Antony M., Stephen S., James B., Karen C. (1990), Errors and Violation on the Roads: a real distinction?, ERGONOMICS, 33(10/11), 1315-1332. 

  10. Road Traffic Authority (2011), Traffic Accident Analysis Database, KoROAD, 14. 

  11. Shin Y. K. (2008), Testing the Psychological Process Model that Affect Speeding Behaviors, Sung Kyun Kwan University, Doctor's Degree Dissertation. 

  12. KOROAD, http://www.taas.koroad.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