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년초의 PC-12 신경세포 보호 및 콜린가수분해효소(cholinesterase) 저해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Ripe Fruits on Protection of Neuronal PC-12 Cells and Cholinesterase Inhib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8 no.1, 2016년, pp.86 - 91  

황정승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임성빈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인일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태락 ((주)셀비온) ,  김대옥 (경희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년초를 80% (v/v) 에탄올-물 혼합용액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 신경세포 보호효과, AChE 및 BChE 활성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백년초 100 g FW당 총페놀 함량은 409.9 mg GAE,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2.2 mg CE이었다. 백년초(100 g FW)의 산화방지능은 ABTS, DPPH, ORAC법에서 각각 381.2, 298.2, 3,219.9 mg VCE였다. 백년초 추출물은 $H_2O_2$의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신경세포 PC-12의 생존율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백년초 추출물은 AChE 및 BChE 활성을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백년초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의한 신경 세포 보호능과 AChE 및 BChE 저해능이 확인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백년초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및 여러 가공품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xidative stress caus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is ascribed to many neurodegenerative diseases like Alzheimer's disease. Phenolic antioxidants can reduce the oxidative stress. In this study, rip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S) were extracted using 80% (v/v) aqueous ethanol.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백년초 내에는 페놀화합물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산화방지제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백년초 추출물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년초는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신안군 등 남해안 지방에 자생하고 있으며, 현재 제주도를 중심으로 백년초의 재배가 증가하고 있다. 백년초는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능, 항당뇨, 항균활성, 상처치유, 항염증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9-11). 또한, 백년초의 다양한 추출물의 산화방지능 연구(10,12), 사과 갈변억제 연구(13), 소세지 제조시 백년초 분말의 아질산염 대체에 의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14) 등이 보고되었다.
활성산소에 의한 지속적인 산화스트레스는 어떤 질병과 관련있는가? 초과산화물(superoxide), 과산화수소, 일중항산소,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등과 같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살아있는 세포의 정상적인 신진대사를 통해 생성된다(1). 활성산소에 의한 지속적인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는 퇴행성 신경질환(2-5), 천식(6), 만성 폐쇄성 폐질환(7) 같은 많은 병리학적 조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천연의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을 이용하여 암, 치매 등과 같은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식물체 2차 대사산물의 페놀화합물 중 타닌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식물체 2차 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s)의 하나인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은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진다. 타닌 (tannin)과 같은 페놀화합물은 아밀라아제(amylase) 등의 단백질과 결합하고, 철, 아연 등의 무기질을 킬레이팅하는 항영양소(antinutrients)로도 작용을 하지만, 하이드록실기(-OH)를 갖는 페놀화합 물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산화방지능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다(8). 식물의 꽃, 열매, 씨, 잎, 줄기에 고루 분포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병원균 억제, 자외선 차단 등에 대한 효과를 갖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irben E, Sahiner UM, Sackesen C, Erzurum S, Kalayci O.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defense. World Allergy Organ. J. 5: 9-19 (2012) 

  2. Jenner P. Oxidative stress in Parkinson's disease. Ann. Neurol. 53(Suppl 3): S26-S38 (2003) 

  3. Lyras L, Cairns NJ, Jenner A, Jenner P, Halliwell B. An assessment of oxidative damage to proteins, lipids, and DNA in brain from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 Neurochem. 68: 2061-2069 (1997) 

  4. Sayre LM, Smith MA, Perry G.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 Curr. Med. Chem. 8: 721-738 (2001) 

  5. Toshniwal PK, Zarling EJ. Evidence for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multiple sclerosis. Neurochem. Res. 17: 205-207 (1992) 

  6. Andreadis AA, Hazen SL, Comhair SA, Erzurum SC. Oxidative and nitrosative events in asthma. Free Radic. Biol. Med. 35: 213-225 (2003) 

  7. Van Eeden SF, Sin DD. Oxidative stres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lung and systemic process. Can. Respir. J. 20: 27-29 (2013) 

  8. Halliwell B, Aeschbach R, Loiger J, Aruoma OI.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17 (1995) 

  9. El-Mostafa K, El Kharrassi Y, Badreddine A, Andreoletti P, Vamecq J, El Kebbaj MS, Latruffe N, Lizard G, Nasser B, Cherkaoui-Malki M. Nopal cactus (Opuntia ficus-indica) as a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for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Molecules 19: 14879-14901 (2014) 

  10. Cho IK, Seo KS, Kim YD.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effec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xtracts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Korean J. Food Preserv. 16: 953-958 (2009) 

  11. Park EH, Chun MJ. Wound healing activity of Opuntia ficusindica. Fitoterapia 72: 165-167 (2001) 

  12. Seo KI, Yang KH, Shim KH.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6: 345-349 (1999) 

  13. Seo YH. Dual effectivenes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for enzymatic browning inhibit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on fresh-cut apples. J. Fd Hyg. Safety 27: 401-405 (2012) 

  14. Jin SK, Shin D, Hur IC. Effe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J. Agr. Life Sci. 45: 125-134 (2011) 

  15. Singleton VL, Rossi JA, Jr.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965) 

  16. Kim D-O, Jeong SW, Lee CY.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2003) 

  17. Kim D-O, Lee KW, Lee HJ, Lee CY.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 Food Chem. 50: 3713-3717 (2002) 

  18. Brand-Williams W, Cuvelier M,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19.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ro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 Food Chem. 50: 4437-4444 (2002) 

  20. Chavez-Santoscoy RA, Gutierrez-Uribe JA, Serna-Saldivar SO.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in vitro cancer cell cytotoxicity of nine prickly pear (Opuntia spp.) juices. Plant Foods Hum. Nutr. 64: 146-152 (2009) 

  21. Lee JC, Kim HR, Kim J, Jang YS. Antioxidant property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stem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Agr. Food Chem. 50: 6490-6496 (2002) 

  22. Jaramillo-Flores ME, Gonzalez-Cruz L, Cornejo-Mazon M, Dorantes Alvarez L, Gutierrez Lopez GF, Hernandez Sanchez H. Effect of thermal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 of carotenoids and phenolic compounds of cactus pear cladodes (Opuntia ficus-indica). Food Sci. Technol. Int. 9: 271-278 (2003) 

  23. Bensadon S, Hervert-Hernandez D, Sayago-Ayerdi SG, Goni I. By-products of Opuntia ficus-indica as a source of antioxidant dietary fiber. Plant Foods Hum. Nutr. 65: 210-216 (2010) 

  24. Kuti JO. Antioxidant compounds from four Opuntia cactus pear fruit varieties. Food Chem. 85: 527-533 (2004) 

  25. Butera D, Tesoriere L, Di Gaudio F, Bongiorno A, Allegra M, Pintaudi AM, Kohen R, Livrea MA. Antioxidant activities of Sicilian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fruit extracts and reducing properties of its betalains: Betanin and indicaxanthin. J. Agr. Food Chem. 50: 6895-6901 (2002) 

  26. van den Berg R, Haenen GR, van den Berg H, Bast A.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 511-517 (1999) 

  27. Kim D-O, Heo HJ, Kim YJ, Yang HS, Lee CY. Sweet and sour cherry phenolics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cells. J. Agr. Food Chem. 53: 9921-9927 (2005) 

  28. Son JE, Lee BH, Nam TG, Im S, Chung DK, Lee JM, Chun OK, Kim DO. Flavonols from the rip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rotect neuronal PC-12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J. Food Biochem. 38: 518-526 (2014) 

  29. Kim JM, Kim DH, Park SJ, Park DH, Jung SY, Kim HJ, Lee YS, Jin C, Ryu JH. The n-butanolic extra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nhances long-term memory in the passive avoidance task in mice.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34: 1011-1017 (2010) 

  30. Mount C, Downton C. Alzheimer disease: Progress or profit? Nat. Med. 12: 780-784 (2006) 

  31. Ncibi S, Othman MB, Akacha A, Krifi MN, Zourgui L. Opuntia ficus indica extract protects against chlorpyrifos-induced damage on mice liver. Food Chem. Toxicol. 46: 797-802 (2008) 

  32. Szwajgier D, Borowiec K. Phenolic acids from malt are efficient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s. J. Inst. Brew. 118: 40-4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