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여성의 비타민 D 섭취량, 옥외활동시간, 혈청 25-OH 비타민 D 수준과 계절 및 연령과의 관련성
Vitamin D intake, Outdoor Activity Time and Serum 25-OH Vitamin D Concentrations of Korean Postmenopausal Women by Season and by Ag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2, 2015년, pp.120 - 128  

윤진숙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민경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mpact of seasonal differences and age on dietary vitamin D intakes, outdoor activity time and serum vitamin D status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64 free-living postmenopau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인의 특성에 부합하는 비타민 D 영양섭취기준을 설정하려면 식사섭취량과 더불어 비타민 D 체내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계절별 옥외활동시간의 차이와 혈청 25-OH-Vit D와의 관련성이 파악되어야 하며, 골격건강상태와 칼슘섭취량, 자외선 차단습관 등에 관한 측면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는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횡적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일조량이 높은 계절과 낮은 계절에 비타민 D 섭취량을 비연속 3일간 조사하고, 일상적인 옥외활동시간과 혈중 25-(OH) 비타민 D 수준을 파악으로써 비타민 D 섭취 기준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골 건강상태가 취약한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영양섭취기준 설정에 기여하고자 대구·경북지역의 폐경 여성 16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식사 섭취량, 혈중 25-OH-비타민 D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D 체내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어떤 측면들을 고려해야 하는가? 비타민 D는 다른 영양소와 달리 인체가 필요로 하는 양을 식사 섭취에만 의존하지 않고 피부에서 합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비타민 D 체내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려면 식사섭취 뿐만이 아니라 피부에서 비타민 D 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광 노출 정도의 계절적 또는 지리적 차이, 체격, 칼슘상태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Dawson-Hughes 2004).
비타민 D의 생화학적 영양상태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개선 방향 제시에 제약이 따르는 이유는? 4%가 부족한 상태로 평가되었다(Choi 2012).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혈청 25-(OH) 비타민 D는 측정하였지만 비타민 D 섭취량과 자외선 노출시간이나 옥외활동량 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가 수집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타민 D의 생화학적 영양상태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식사섭취량이나 옥외활동량 등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에는 제약이 따르고 있다.
자외선을 통한 비타민 D의 피부 합성에 어떤 것이 영향을 주는가? 생활양식의 변화와 더불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현대인들은 비타민 D의 피부 합성기회가 점차로 감소되어 비타민 D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Holick 1994; Thuesen 등 2012; Cinar 등 2014; Darling 등 2014). 비타민 D의 체내 합성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은 그 지역의 위도, 하루 중의 시간, 계절(Webb 등 1988) 등에 따라 달라지며 자외선 차단제(Matsuoka 등 1990), 의복의 착용(Matsuoka 등 1992), 건물의 유리(Holick 1994), 공해(Kim & Park 1987)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따라서 비타민 D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려면 식사섭취량과 자외선 노출 시간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데, 혈액으로 유입되는 이 두 가지 급원의 비타민 D는 모두 간에서 25-OH-비타민 D로 전환되므로 혈액의 25-OH-비타민 D는 인체의 비타민 D 영양상태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lick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dams JS, Clemens TL, Parrish JA, Holick MF (1982): Vitamin-D synthesis and metabolism after ultraviolet irradiation of normal and vitamin-D-deficient subjects. N Engl J Med 306(12): 722-725 

  2. Baker MR, Peacock M, Nordin BE (1980): The decline in vitamin D status with age. Age Ageing 9(4): 249-252 

  3. Binkley N, Krueger D, Drezner MK (2007): Low vitamin D status: time to recognize and correct a Wisconsin epidemic. WMJ 106(8): 466-472 

  4. Buchanan JR, Santen R, Cauffman S, Cavaliere A, Greer RB, Demers LM (1986): The effect of endogenous estrogen fluctuation on metabolism of 25-hydroxyvitamin D. Calcif Tissue Int 39(3): 139-144 

  5. Cinar N, Harmanci A, Yildiz BO, Bayraktar M (2014): Vitamin D status and seasonal changes in plasma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in office workers in Ankara, Turkey. Eur J Intern Med 25(2): 197-201 

  6. Chapuy MC, Preziosi P, Maamer M, Arnaud S, Galan P, Hercberg S, Meunier PJ (1997): Prevalence of vitamin D insufficiency in an adult normal population. Osteoporos Int 7(5): 439-443 

  7. Choi EY (2012): 25(OH)D status and demographic and lifestyle determinants of 25(OH)D among Korean adults. Asia Pac J Clin Nutr 21(4): 526-535 

  8. Choi SH, Lee DJ, Kim KM, Kim BT (2011): Association between seasonal changes in vitamin D and Bone mineral density. J Korean Soc Menopause 17(2): 88-93 

  9. Darling AL, Hart KH, Gibbs MA, Gossiel F, Kantermann T, Horton K, Johnsen S, Berry JL, Skene DJ, Eastell R, Vieth R, Lanham-New SA (2014): Greater seasonal cycling of 25-hydroxyvitamin 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parathyroid hormone and bone resorption. Osteoporos Int 25(3): 933-941 

  10. Dattani JT, Exton-Smith AN, Stephen JM (1984): Vitamin D status of the elderly in relation to age and exposure to sunlight. Hum Nutr Clin Nutr 38(2): 131-137 

  11. Dawson-Hughes B (2004): Racial/ethnic considerations in making recommendations for vitamin D for adult and elderly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80(6): 1763S-1766S 

  12. Devgun MS, Paterson CR, Johnson BE, Cohen C (1981): Vitamin D nutrition in relation to season and occupation. Am J Clin Nutr 34(8): 1501-1504 

  13. Holick MF (1994): Mccollum award lecture, 1994: vitamin D-new horizons for the 21st century. Am J Clin Nutr 60(4): 619-630 

  14. Holick MF (2007):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357(3): 266-281 

  15. Kim HB, Park JG (1987): A study on the solar UVA and UVB doses at Kongju. Korean J Dermatol 25(1): 16-24 

  16. Kluczynski MA, Lamonte MJ, Mares JA, Wactawski-Wende J, Smith AW, Engelman CD, Andrews CA, Snetselaar LG, Sarto GE, Millen AE (2011) Dur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of postmenopausal women. Ann Epidemiol 21(6): 440-449 

  17.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pp. 590-592 

  18. Lamberg-Allardt C (1984): Vitamin D intake, sunlight exposure and 25-hydroxyvitamin D levels in the elderly during one year. Ann Nutr Metab 28(3): 144-150 

  19. Lee MK, Yoon BK, Chung HY, Park HM (2011): The serum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skeletal statu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Obstet Gynecol 54(5): 241-246 

  20. Lim HJ, Kim JI (2006):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in wintertime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Korean J Nutr 39(7): 649-660 

  21. Lim HJ (2005):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0(1): 79-90 

  22. Lips P, Chapuy MC, Dawson-Hughes B, Pols HAP, Holick MF (1999):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erum 25-hydroxyvitamin D measurements. Osteoporos Int 9(5): 394-397 

  23. Lund B, Sorensen OH (1979): Measurement of 25-hydroxyvitamin D in serum and its relation to sunshine, age and vitamin D intake in the Danish population. Scand J Clin Lab Invest 39(1): 23-30 

  24. MacLaughlin J, Holick MF (1985): Aging decreases the capacity of human skin to produce vitamin D3. J Clin Invest 76(4): 1536-1538 

  25. Matsuoka LY, Wortsman J, Dannenberg MJ, Hollis BW, Lu Z, Holick MF (1992): Clothing prevents ultraviolet-B radiationdependent photosynthesis of vitamin D3. J Clin Endocrinol Metab 75(4): 1099-1103 

  26. Matsuoka LY, Wortsman J, Hollis BW (1990): Use of topical sunscreen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synthesis of vitamin $D_3$ . J Am Acad Dermatol 22(5 Pt 1): 772-775 

  27. Minist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pp.341-434 

  28. Moon SJ, Kim JH (1998): The effects of vitamin D status o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adults. Korean J Nutr 31(1): 46-61 

  29. Park HM, Kim JG, Choi WH, Lim SK, Kim GS (2003): The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of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Korean J Bone Metab 10(1): 47-55 

  30. Park SY, Yim CH, Kim SH, Han KO, Yoon HK (2008): Changes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bone turnover status according to serum vitamin D level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Bone Metab 15(1): 17-24 

  31. Scragg R, Camargo CA (2008): Frequency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in the US populat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Epidemiol 168(6): 577-586 

  32. Thuesen B, Husemoen L, Fenger M, Jakobsen J, Schwarz P, Toft U, Ovesen L, Jorgensen T, Linneberg A (2012): Determinants of vitamin D status in a general population of Danish adults. Bone 50(3): 605-610 

  33. Van Dam RM, Snijder MB, Dekker JM, Stehouwer CD, Bouter LM, Heine RJ, Lips P (2007): Potentially modifiable determinants of vitamin D status in an older population in the Netherlands: the Hoorn Study. Am J Clin Nutr 85(3): 755-761 

  34. Webb AR, Kline L, Holick MF (1988): Influence of season and latitude on the cutaneous synthesis of vitamin D3: Exposure to winter sunlight in Boston and Edmonton will not promote vitamin $D_3$ synthesis in human skin. J Clin Endocrinol Metab 67(2): 373-378 

  35. Webb AR, Pilbeam C, Hanafin N, Holick MF (1990):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xposure to sunlight and of diet to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in an elderly nursing home population in Boston. Am J Clin Nutr 51(6): 1075-1081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43), Geneva, Switzerland, pp.5-6 

  37. Yoon JS, Song MK (2014) Seasonal differences in outdoor activity time and serum 25-(OH) vitamin D status of Korean you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9(3): 231-2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