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간호학 학회지에 출판된 구조방정식모형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A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South Korean Nursing Researc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159 - 168  

김정희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신수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박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nursing studi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Korea. Methods: Databases of KISS, DBPIA,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up to March 2014 were searched using the MeSH terms 'nursing', 'structure', 'model'. A tot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섯째, 결측치가 있는 경우 체계적인 결측치인지를 확인하고 체계적인 결측치가 아닌 경우 적절한 처리 방법을 보고한다.
  • 그 외 Downs & Black의 체크리스트 등이 있으나 실험 연구와 관찰 연구를 대상의 평가 방법이기에 복잡한 구조방정식 연구에서는 질 평가를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출판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연구물을 모형확인, 모형추정, 모형평가, 모형 수정 및 최종 모형 선정 과정과 보고에 대한 방법론적 질 평가를 통해 간호학 분야의 연구들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구조방정식 연구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이론과 현상을 검증하고 간호실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구조방정식을 적용한 연구 논문의 질을 평가하고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출판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연구를 방법론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조방정식 연구의 질 향상을 위한 자료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회지에서 출간된 구조방정식 연구물을 고찰하여 구조방정식 연구의 방법론적인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최근 구조방정식모형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간호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측정모형을 평가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회지에서 출간된 구조방정식 연구물을 방법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평가하여 구조방정식 연구의 방법론적인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방정식 모형의 역할은 무엇인가? 구조방정식 모형은 모형의 이론적 개념과 개념 간의 복잡한 관련성을 밝혀내는데, 잠재변수를 이용하여 연구 가설을 모형화하고, 그를 구성하는 변수들 간의 관계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적 측면과 이론적 측면을 연결시켜주어 이론의 검증과 개발에 공헌하기 때문에[1] 여러 구성개념들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경영, 마케팅, 심리학, 교육, 건강 등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행동과학 및 사회과학 연구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2-4].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경영, 마케팅, 심리학, 교육, 건강 등 연구분야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이 쓰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조방정식 모형은 모형의 이론적 개념과 개념 간의 복잡한 관련성을 밝혀내는데, 잠재변수를 이용하여 연구 가설을 모형화하고, 그를 구성하는 변수들 간의 관계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적 측면과 이론적 측면을 연결시켜주어 이론의 검증과 개발에 공헌하기 때문에[1] 여러 구성개념들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경영, 마케팅, 심리학, 교육, 건강 등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행동과학 및 사회과학 연구에서 구조방정식 모형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2-4].
간호학문 분야에서 구조방정식모형이 쓰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조방정식모형은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잠재변수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가설을 모형화해야 하는 통계 분석 방법으로[1,5,6], 인간, 건강, 환경, 간호를 주제로 하는 간호학문 분야의 복잡한 현상들의 검증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이다.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간호학 분야에서는 직접 측정하거나 관찰할 수 없는 이론적이거나 추상적인 구성개념을 연구 주제로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이들 구성개념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즉, 다변수관계를 동시에 정확한 방법으로 분석해주며 탐색분석에서 확증 분석까지 변수관계를 포괄적으로 측정 평가하여 결과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artens MP.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005;33(3):269-298. http://dx.doi.org/10.1177/0011000004272260 

  2. Mueller R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ck to basic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997;4(4):353-369. http://dx.doi.org/10.1080/10705519709540081 

  3. Kim J, Hong S, Choo B.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nagement studies: A critical review. Korean Management Review. 2007;36(4):897-923. 

  4. Lee GS, Yom Y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life-world integration in people with severe burn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12-119. http://dx.doi.org/10.1016/j.anr.2013.06.003 

  5. Kline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1. 

  6. Lim NY, Kang HS, Lee SE, Suh YO, Kwon YE. The trend of Korean nursing research with the LISR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2):221-231. 

  7. Weston R. A brief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006;34(5):719-751. http://dx.doi.org/10.1177/0011000006286345 

  8. Baumgartner H, Homburg C.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996;13(2):139-161. http://dx.doi.org/10.1016/0167-8116(95)00038-0 

  9. Boomsma A. Reporting analyses of covariance structu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09;7(3):461-483. http://dx.doi.org/10.1207/S15328007SEM0703_6 

  10. Breckler SJ. Application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psychology: Cause for concern? Psychological Bulletin. 1990;107(2):260-273. 

  11. Hoyle RH, Panter AT. Writing about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Hoyle RH, edit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1995. p. 158-176. 

  12. MacCallum RC, Austin JT.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sychological research. Annual Review of Psychology. 2000;51: 201-226.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1.1.201 

  13. McDonald RP, Ho MH.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Psychological Methods. 2002;7(1):64-82. 

  14. Raykov T, Tomer A, Nesselroade JR.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in psychology and aging: Some proposed guidelines. Psychology and Aging. 1991;6(4):499-503. 

  15. Steiger JH. Driving fast in reverse: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ware development, theory, and educa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001;96(453):331-338. 

  16. Cho HD. A study on issues of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n education stud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2011. 

  17. Bentler PM, Chou CP.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In: Long JS, editor. Common problems/proper solutions: Avoiding error in survey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1988. p. 161-192. 

  18. Moon SB.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Hakjisa; 2009. 

  19. Yu JP.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4. 

  20. Holbert RL, Stephenson M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e communication sciences, 1995-000.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002;28(4):531-551. http://dx.doi.org/10.1111/j.1468-2958.2002.tb00822.x 

  21. Shook CL, Ketchen DJ, Jr., Hult GTM, Kacmar KM. An assessment of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004;25(4):397-404. http://dx.doi.org/10.1002/smj.385 

  22.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7;30(4):459-467. http://dx.doi.org/10.1002/nur.20199 

  23. Kim KMJ, Cha YN, Jang HS, Han HS, Chung JS, Yoon J, et al. NANDA nursing diagnosis, goals and interventions. Seoul: Hyunmoon; 2013. 

  24. Chen F, Bollen KA, Paxton P, Curran PJ, Kirby JB. Improper solution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Causes, consequences and strategie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001;29(4):468-508. http://dx.doi.org/10.1177/0049124101029004003 

  25. Joeskog KG, Sobom D. LISREL 7: A guide to the program and applications. 2nd ed. Chicago, IL: SPSS Inc.; 1989. 

  26. Mitchell RJ. Path analysis: Pollination. In: Scheiner SM, Gurevitch J, editors. Design and analysis of ecological experiments. 2nd ed. New York, NY: Chapman and Hall; 1993. p. 211-231. 

  27. Arbuckle JL. Full information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incomplete data. In: Marcoulides GA, Schumacker RE, editor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techniq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6. 

  28. Enders CK, Bandalos DL. The relative performance of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missing data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01;8(3):430-457. http://dx.doi.org/10.1207/S15328007SEM0803_5 

  29. Schreiber JB. Core reporting pract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2008;4(2):83-97. http://dx.doi.org/10.1016/j.sapharm.2007.04.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