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spouse support on parenting stress in female fire fight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9 no.1, 2015년, pp.87 - 98  

채가영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백미례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Job satisfaction, spouse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enting stress in female fire fight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were examin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female fire fighters who worked at the fire station from June to July 2013 and had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다른 직종의 여성 공무원들에 비해 불규칙한 교대근무와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직무만족도, 배우자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방에서 근무하고 있는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의 배우자의 지지와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방공무원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만족도를 증가시켜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국 119 안전센터 근무자 중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19 안전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취학 전 자녀를 둔 여성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여성소방공무원의 양육복지 개선을 통하여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을 그만둔 사유에는 무엇이 있는가? 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를 살펴보면, 결혼(46.9%), 육아(24.9%), 임신‧출산(24.2%) 순으로 나타났다[1].
여성소방공무원들의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공무원 인사관리지침에 명시되어 있는 사항은? 이처럼 여성소방공무원들은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가 대두되어 자녀 양육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직무에 전념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여성소방공무원들의 임신, 출산, 육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앙인사위원회에서는 「여성공무원 인사관리지침」에 여성 공무원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장려하고 대체인력뱅크, 부분근무제도 등을 명시하고 있다[5]. 하지만 취업모들은 육아에 대한 죄의식,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을 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미안함, 남편의 방관자적 태도, 슈퍼우먼을 바라는 주변의 요구, 신체적 피로로 인한 잘못된 양육태도, 아이 교육을 걱정함, 전업주부와 교류가 없어 정보 등에서 소외됨 등으로 육아와 일 사이에서 갈등하고 양육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양육도움자로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Jung[15]의 연구에서는 대리양육자가 시부모님인 경우가 높게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대리양육자가 가족인 경우 타인보다 더 믿을 수 있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취업모가 가족에게 많은 도움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 Women's lives to see the statistics. Available at: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013. 

  2. Ahn SR.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emale firefighter's role in the fire services organ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07, Seoul, Korea. 

  3.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Available at: http://www.nfds.go.kr/index. jsf, 2012. 

  4. Kim SH. A study on a plan for role promotion in female fire offici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2008, Suwon, Korea. 

  5. Civic Service Commission. Female civil servants personnel management guidelines. Available at: http://www.mosp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5&nttId39634, 2005. 

  6. Kim NH, Lee EJ, Kwak SY, Park MR.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arenting burden of working mother with young children in Korea.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3;19(3):188-200. http: //dx.doi.org/10.4069/kjwhn.2013.19.3.188 

  7. Kim KW, Doh HS, Kim SW, Rhee SH.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maternal job characteristic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Korean J Child Studies 2010;31(5):101-13. 

  8. Lee SM, Min H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temperamen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7;16(2):219-25. 

  9. Kim SS, Park JM. Descrip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for 119 emergency medical. Korean J Emerg Med Ser 1997;1(1):54-69. 

  10. Park YK, Yi JY, Lim SR, Jang HR, Kang HJ, Kim JS.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7):302-11. 

  11. Kim SS, Kwon HR. A study on 119 rescue and first aids' satisfaction level of occup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02;6(6):169-84. 

  12.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 Child Studies 1998; 19(1):27-42. 

  13. Kim KH, Kang HK. Development of parenting stress scal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97;35(5):141-50. 

  14. Kim YM, Ryu YK. A study on Korean women's behavior in choosing the type of child care: An effect of subjective perception and objective conditio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89(6):215-36. 

  15. Jung MS. Child rearing, perceived stress and attitude o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of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 The Kyungpook University medical journal 1996;37(4):517-33. 

  16. Bae K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2009;14(1):65-80.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gulations concerning civil servants allowances.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7177&lsId&efYd20150112&chrClsCd010202&urlModelsEfInfoR&viewC lslsRvsDocInfoR#0000, 2015. 

  18. Seo SW, Lee DK.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mother's social support, and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4;18(2). 

  19. Kang HK, Cho BH. Dual-career parenting stress: Effects of mother's values and support systems. Korean J Child Studies 1999; 20(2):41-55. 

  20. Kang SJ, Kim SY. The relationship among nurses' parenting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 Korean Acad Nurs 2011;17(4): 508-15. 

  21. Sohn SM.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9(1):331-57. 

  22. Kim CJ.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Selection f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Chongshin University 2008; 9:89-131. 

  23. Cha SS, Shin YL.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J of Human Ecology in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5;25(1):163-81. 

  24. Kim KW, Le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rearing involvement of fathers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Korean J Child Studies 1998;19(2):65-75. 

  25. Kim SH, Park J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child rear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2;50(8):4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