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Fire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4 = no.26, 2014년, pp.548 - 558  

Choi, Miyuong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Moon, Taeyoung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Lee, Hyeonji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 경기, 서울에 소재하는 소방안전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남녀 251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5일부터 5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로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방공무원들의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도 및 소진 간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원의 하위요인인 상사의 사회적 지원(${\beta}=-.469$)과 동료의 사회적 지원(${\beta}=.934$)로 나타났으며,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원의 하위요인인 상사의 사회적 지원(${\beta}=-2.081$)과 동료의 사회적 지원(${\beta}=3.117$)로 나타났다. 총 설명력은 각각 31.1%와 21.1%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rovided for fire offic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1 male and female fire officers in the 119 fire centers located in Gangwo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A survey was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지원, 직무만족도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서 소방공무원들의 상사나 동료들 간의 사회적 지원을 향상시킴으로써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소진으로 인하여 생기는 신체적 ⋅ 정신적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통한 좀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는 업무환경개선과 업무수행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따라서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들의 사회적 지원, 직무만족도, 소진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설문지를 구성한 후 본 연구자는 설문지의 구성과 변수의 조작적 정의에 대한 안면타당도(face validity)를 검증받기 위하여 전문가회의를 통해서 안명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의 변인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 셋째,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에서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되어 재난구조나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 중 소방공무원을 두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현대사회의 산업화와 정보화는 인간에게 편리함과 더불어 도시화, 노령인구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재난·재해 및 사건, 사고 등이 최근 10년(2004~2013) 연 평균 인명피해 28명, 재산피해 8,329억원으로 재해위험성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Fire Servic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2014). 이에 당국은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되어 재난구조나 응급의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인력 중 소방공무원을 두고 있다.
소진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한편, 소진은 사전적으로 에너지, 힘 또는 자원에 대한 과도한 요구로 인해 실패하거나 다 써버리거나, 또는 고갈하는 것을 의미한다(Hong, Sung, 2012)
소진과 관련있는 변수로 무엇이 있는가? 또한, 소진과 관련 있는 변수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진에 대한 연구로는 119구급대원들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만족이 나타났으며 연구 결과 119구급대원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우 소진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Choi, Han, 2013; Woo et al, 2012). Heo, Ko(2012)의 연구에서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에는 효과적인 역할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직무만족은 개인의 안정감 및 성취감 성장의 원천이 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H. G., Kang, I. S. (2008). "A Study on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Impulsed Unemploymen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1), pp.149-167. 

  2. Bae, B. H., Kong, H. S., Lee, W. S., Woo, S. C. (2003).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Ways of Fire Official-With a Focus on First-aid Staff." The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1(1), pp.19-28. 

  3. Choi, H. S., Yang, Y. K. (2011).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4), pp.423-431. 

  4. Choi, H. Y., Jung, N. U. (2003).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Master's Program in Counseling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pp.279-300. 

  5. Choi, K. J., Han, S. S. (2013).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1), pp.55-61. 

  6. Chu, W. J., Bae, E. J., Kim, J. K. (2012).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13(2), pp.245-265. 

  7. Heo, Y. M., Ko, C. M. (2012).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Experience and the Burnout among Hospital Nurses." Korea Journal Occup Health Nursing, 21(2), pp.87-97. 

  8. Hong, H. J., Sung, M. H (2012).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Staffs in Emergency Medical Service(Focusing on 119 rescuers in Busan and Gyeongn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2), pp.164-173. 

  9. Hwang, J. R., Lee, M. H., Kang, K. J. (1998).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Experience among Nephrology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0(1), pp.37-47. 

  10. Jeon, S. Y., Ha, J. Y. (2013). "Factors Influencing Compassion Fatigu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1), pp.335-347. 

  11. Kim, E. J., Kim, J. H., Uhm, D. C., Kim, E. A. (2010).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Burn-out, and Self-esteem of 119 Rescue worker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1(11), pp.4433-4440. 

  12. Kim, S. S., Kwon, H. R. (2002). "A study on 119 Rescue and First aids' satisfaction level of Occup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6(6), pp.169-184. 

  13. Lee, E. K., Kim, O. H. (2013). "Comparison amo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y Gend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4), pp.2135-2148. 

  14. Lee, J. H., Yu, J. H., Park, K. H. (2009). "Psycho-Social Variables related to PTSD Symptoms in Fire-Fighters: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3), pp.833-852. 

  15. Lee, S. L., Kim, E. S., Oh, H. K. (2013).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burnout and their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social support of perception." The Journal of Korea Single Parent Family, 6(1), pp.27-48. 

  16. Lee, Y. M. (2011).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attern, and Self-Efficacy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2(11), pp.4861-4868. 

  1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2010). Fire Servic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Statistics data. 

  18. Park, S. S., Jung, J. Y., Park, J. H., Kim, J. H.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den and Stress on Scene Stress in Fire Fight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5), pp.2547-2557. 

  19. Pines, A. M., Aronson, E.,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uth. New York: A Division of Macmillian Publishing Co. 

  20. Shin, D. M., Hong, E. J., Kim, G. Y., Kim, J. H., Moon, T. Y. (2013). "Musculoskeletal Diseases in 119 Rescuer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9), pp.209-219. 

  21. Woo, H. R., Park, J. M., Kim, D. S., Kim, H. H.(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s on Psychological Burnout among Fire Officers." Journal of the Korean governanace, 19(1), pp.25-49. 

  22. Yoo, E. K., Yoo, M. N., Shin, N. R. (2013). "Childcare Teachers' Work-relate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Life-span Studies, 3(2), pp.7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