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ML5를 이용한 청각장애인의 u-Learning 기반 IT 직업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Learning based IT Vocational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of the Deaf Using HTML5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9 no.3, 2015년, pp.195 - 201  

이근민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  김동옥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언제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한 u-Learning 접근방법은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 가능한 동시에, 안드로이드와 Mac OS, PC 등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 호환이 용이하도록 HTML5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의 IT 교육 콘텐츠(JSP, Oracle)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온라인 컴퓨터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지원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플래시기반으로 제작된 콘텐츠라 각각의 모바일기기에서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TML5를 활용하여 개발된 콘텐츠에서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이 가능하였다. 둘째, 개발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FLASH와 HTML5 콘텐츠 제작 도구들의 장단점을 각각 비교해 볼 수 있었으며, HTML5를 활용하여 다양한 이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셋째, 청각 장애인의 u-Learning 설계 지침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에 따라 웹과 모바일 기기의 접근할 수 있는 설계 전략들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의 경우 장애유형에 따라 교육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설계지침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education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u-Learning approach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ocusing on allowing the user to learn from anywhere and anytime. Specifically, this study applies HTML5 to implementing IT education contents(JSP, Oracle) for the deaf bec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IT 전문가양성을 위한 u-Learning 기반 IT 교육과정(JSP, Oracle)을 개발하는 것으로써, u-Learning을 통해 언제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하도록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 가능한 동시에, 안드로이드와 Mac OS, PC 등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 호환이 용이하도록 HTML5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의 IT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FLASH 와 HTML5 콘텐츠를 대상으로 장단점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ASH의 단점은? 하지만 모바일기기 영역에서 HTML5는 모바일기기의 호환성이 용이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 있으며[8], 이에 반해 FLASH는 PC 사업과 달리 전력성이 낮고 터치 인터페이스와 개방적인 웹 표준, 호환성 등 모든 영역이 FLASH를 이용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하였다[9].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제부 1~2차년도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 (QoLT)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인 IT 전문가 양성을 위해 u-Learning IT 교육 콘텐츠 (HTML, JAVA SCRIPT, JSP, Oracle)과정을 FLASH 및 HTML5의 버전으로 각각 개발하였다.
모바일기기 영역에서 HTML5의 장점은? 하지만 모바일기기 영역에서 HTML5는 모바일기기의 호환성이 용이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 있으며[8], 이에 반해 FLASH는 PC 사업과 달리 전력성이 낮고 터치 인터페이스와 개방적인 웹 표준, 호환성 등 모든 영역이 FLASH를 이용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하였다[9].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제부 1~2차년도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 (QoLT)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인 IT 전문가 양성을 위해 u-Learning IT 교육 콘텐츠 (HTML, JAVA SCRIPT, JSP, Oracle)과정을 FLASH 및 HTML5의 버전으로 각각 개발하였다.
1차년도 청각장애인을 위한 u-Learning IT 교육 콘텐츠 개발의 문제점은? 7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축하여 제공하였다[10]. 하지만 다른 모바일기기와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년도에 구축한 Web을 활용하여 모바일 기반과 Web 기반 두 가지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모바일기기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HTML5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보건복지부, "장애인 실태조사", 2011. 

  2. 장병옥 "청각장애인 IT분야 취업을 위한 집중교육과정 모형 개발", 직업재활연구 제16집 제1호 pp. 59-82, 2006. 

  3. 이근민, 김동옥, 박혜정, "국내 청각장애인의 IT교육 실태조사", 장애와 고용, vol. 22, no. 2, pp. 41-69, 2012. 

  4. 컴퓨터스쿨 http://www.CSCUL.com. 

  5. 배움나라 http://www.estudy.or.kr. 

  6. 김봉규. "'플래시' 거부한 애플 결국 이겼다... 어도비 포기 선언", , 2011년 11월 10일. 

  7. 안희권. "어도비, 모바일 플래시세상 포기 선언", , 2012년 7월 2일. 

  8. Jennifer Kyrain. Sams Publishing. Sams Tecach Yourself HTML5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in 24 Hours. pp. 6-7. 2012. 

  9. http://www.fnnews.com 파이낸셜뉴스 2010년 04월 30일. 

  10. 김동옥, 이신영, 정주석, 김소영, 이근민, "u-Learning 기반 IT 교육 콘텐츠 개발과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정기학술대회. 제 5권 1호. pp. 114-118. 2011. 

  11. 행정안전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2011. 

  12. 황윤자, 안미리, "플래시 이러닝 콘텐츠이 접근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정보처리학회지 제18-A권 제4호, pp. 129-134, 2011. 

  13. 최성욱, 최민석, "다중 플렛폼 환경을 고려한 효율적인 이러닝 교육 콘텐츠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2 no. 4, pp. 1-9 2012. 

  14. 홍지연, 이태호, 이승형, 홍충선, "HTML5 기반맞춤형 헬스서비스 관리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 39 no. 1D, pp. 442-44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