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SI) 상황에서 반박자료와 감정이입상황에 따른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변화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cision-Making Change through Refutation Materials and Empathic Situ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1, 2015년, pp.66 - 75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김기영 (신암초등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  김은애 (한국교원대학교) ,  김성운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rgumentation lev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analysing an argumentation structure about a socio scientific issue(SSI), and inquire a change of the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refutation materials and empathic situation.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 만약 네가 어떤 질병을 치료하는 약을 개발하는 과학자라고 생각해자. 드디어 질병을 치료할 약을 개발했어.
  • T: 만약 네가 어떤 질병을 치료하는 약을 개발하는 과학자라고 생각해자. 드디어 질병을 치료할 약을 개발했어. 사람에게 직접 사용하기 전에 혹시나 모를 부작용에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면 너는 어떻게 하겠니?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SSI에 대한 의사결정에서의 논증수준을 알아보고, 반박자료와 감정이입상황에 따른 의사결정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사회적 이슈이며, 다양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주제를 2가지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의사결정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박자료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에게는 반박자료를 읽고 다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였고, 의사결정의 내용과 이유에 대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 연구의 결과는 SSI주제를 활용한 논증 교육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먼저, SSI 주제를 활용한 논증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될 수 있는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의사결정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SSI 상황 읽기자료를 읽게 하고 의사결정을 한 뒤, 면담을 통해 SSI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을 알아본다. 이후 학생들의 의사결정에 대한 반박 자료와 감정이입상황을 제시하여 의사결정의 변화를 유도하고 면담을 통해 의사결정변화여부를 알아본다.

가설 설정

  • S11: 동물실험을 하면 안 되겠어요.
  • S11: 사람이나 동물이나 똑같은 생명이니까요.
  • S11: 자료에서 동물실험을 했으면 사람들이 그만큼 안 죽었을 수도 있잖아요. 동물실험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 S11: 제가 휴대폰으로 인터넷 검색할 때 보았는데,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가 네 개인가 있다고 들었어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가 하나 터질 것 같다고 들었거든요.
  • S1: 그래도 동물 실험을 하면 그래도 어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지 알 수 있으니까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 S1: 생각이 바뀌진 않았어요.
  • S3: 그러면 딴 직장에 취직하면 되지요. 차라리 설득 안하고 다른 직장에 취직하면 되지요.
  • S3: 반대하려고요. 지역의 이익보다는 안전이 우선이니까요.
  • S7: 그래도 동물실험을 해야 할 것 같아요. 사람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일이니까요.
  • S7: 아까 가습기 독성물질 이야기를 듣고 바뀐 것 같아요. 가습기의 독성물질이 동물실험을 했다면 밝혀질 수도 있었을 것이니까요.
  • S7: 현재 사람들이 병에 걸려 있으니까 동물에게 한번 해보고 빨리 사람들에게 줄 것 같아요.
  • T: 그럼 반박자료에 대한 생각은 어떤가요? 동물실험을 통과하더라고 사람들에게 부작용이 생기는 경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요?
  • T: 너 생각에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걸 이야기 하면 되.
  • T: 만약 네가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도록 해야 하는 정부의 공무원이라면 어떻게 할까? 만약 반대 측을 설득하지 못하면 직장을 잃을 수도 있어.
  • T: 반박자료를 읽고 나서 혹시 생각이 바뀌었니?
  • T: 반박자료를 읽고 혹시 생각이 바뀌었니?
  • T: 반박자료를 읽고 혹시 생각이 바뀌었니?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증은 학생들에게 어떤 기회가 될 수 있는가? , 2000). 논증은 학생들이 과학문제 상황에서 동료와의 논의를 통해 현상을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실질적인 탐구능력을 키워주는 기회가 될 수 있다(Kim & Song, 2004; Park, 2006). 또한 논증은 과학의 본성 이해와(Osborne & Simon, 2004), 비판적 사고와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의 함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Quinn, 1997).
과학자들은 논중을 통해 무엇을 하는가? 과학에서의 논증은 연구과정에 있어서 핵심적인 활동이다. 과학자들은 논증을 통해 새로운 이론에 대해 지지하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하거나, 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누는 논증 과정을 통하여 과학적 지식을 생성한다(Zohar & Nemet, 2002). 과학교육에서도 과학적 개념의 변화와 비판적 사고능력의 배양을 위해 논증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Driver et al.
과학에서 논증은 크게 두 가지의 상황으로 구분되는데 무엇인가? 과학에서 논증은 크게 두 가지의 상황으로 구분된다. 첫째는 과학적 질문의 상황으로만 구성된 과학적 상황이며, 둘째는 과학적 이론이 배경이 되어 현실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윤리적 측면이 강조된 사회과학적(Socio-scientific) 상황이다(Osborne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 J. I., & Cha, H. Y. (2014). Analysis of the types of claims and argumentations in science debate classes of fifth graders. Science education proceedings, 20(1), 63-83. 

  2. Bell, R. L., & Lederman, N. G. (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s. Science Education, 87(3), 352-377. 

  3. Chang, H. S., & Lee, H. J. (2010).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4.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5. Erduran, S. (2008). Methodological foundations in the study of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Erduran, S., & Jimenez-Aleizandre, M. P.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47-69. 

  6. Fleming, R. (1986). Adolescent reasoning in socioscientific issues. Part I : Social cogni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677-687. 

  7. Jang, H. R., & Chung, Y. L. (2009). An analysi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2), 253-266. 

  8. Jang, J. Y., Mun, J. Y., Tyu, H. S., Choi, K. H., & Kim, S. W. (201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7), 1124-1138. 

  9. Jeong, E. Y., & Kim, Y. S. (2001). The application of biology instructional models for value inquir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1(1), 160-173. 

  10. Jho, H. K. (2014).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on socioscientific issues with a focus on decision making. Research of pedagogical education, 18(1), 191-213. 

  11. Ju, I. A., & Lee, H. J. (2013).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value-judgement and decision-making on biotechnology-related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79-93. 

  12. Kim, H. B., & Lee, S. K. (1996). Second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technology related issu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6(4), 461-469. 

  13. Kim, H. K., & Song, J. W. (2004).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216-1234. 

  14. Kolsto, S. D. (2001). Scientific literacy for citizenship: Tools for dealing with the science dimension of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Science Education, 85(3), 291-310. 

  15. Kwak, K. H., & Nam, J. H. (2009). Enhancing the quality of students' argu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rgumentation in different contex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4), 400-413. 

  16. Lee, H. J. (2008). Decision-making patter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Research of pedagogical education, 12(2), 377-395. 

  17. Lee, J. Y. & Kim, H. B. (2011). Small group argumentation patter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ed in the conflict context. biology education, 39(2), 235-247. 

  18. Lim, M. Y., & Jung, S. A. (2013). An analysis of changes i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biotechnology. Research of pedagogical education, 17(4), 1501-1522. 

  19. Osborne, J. E.,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20. Park, Y. B., Kim, Y. S., & Chung, W. h. (2002).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activities about bioethical issues on students'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in high school bi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1), 54-63. 

  21. Park, Y. S.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401-415. 

  22. Quinn, V. (1997). Critical thinking in young minds. London: David Fulton. 

  23. Sadler, T. D. (2004). Moral and ethical dimensions of socioscientific decision-making as integral components of scientific literacy. The Science Educator, 13, 39-48. 

  24. Sadler, T. D., & Zeidler, D. L.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 4-27. 

  25.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26. Sadler, T. D., Amirshokoohi, A.,Kazempour, M., & Allspaw, K. M. (2006). Socioscience and ethics in science classrooms: teacher perspecctives and strategi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4), 353-376. 

  27. Sadler, T. D., & Donnelly, L. A. (2006). Socioscientific argumentation: The effects of content knowledge and mor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2), 1463-1488. 

  28.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Yun, M. H., Jeong, M. S., & Park, W. H. (2007). The analysis of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 Focused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 85-98. 

  30.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31.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32.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