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 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예비연구
Effect of Dual-task Training With Cognitive Motor Task on Walking and Balance Func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2 no.2, 2015년, pp.11 - 20  

심선미 (유성웰니스병원 물리치료실) ,  오덕원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ual-task training with cognitive effort on the walking and balance functions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study included 14 chronic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control group (CG), each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 일상생활에서 대부분의 활동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이중과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뇌졸중 재활의 임상 현장에서 실제 상황을 고려한 과제를 반복 연습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적인 관점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수행되고 있는 활동들을 포함하는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뇌졸중 치료의 임상 현장에서 지역사회 활동과 일상생활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보행 과제 훈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제적인 적용이 어려우며,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도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 과제를 수행한 집단과 인지운동 이중과제를 수행한 집단의 비교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대한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듣고 말하기와 같은 단순 이중과제를 사용한 과거의 연구들(Bowen등, 2001; Haggard 등, 2000)과는 달리, 계란을 담은 쇼핑백 들기 혹은 물 컵 들기와 같은 일상생활 중에 빈번히 접할 수 있는 운동과제를 이중과제 훈련에 포함시켰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계란의 숫자를 달리하여 운반하는 것과 물 컵의 물을 흘리지 않고 운반하는 것과 같은 과제조건은 수행 결과와 관련된 외적 집중성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외적 집중은 자신의 움직임에 집중하는 내적 집중보다 자세조절을 더 촉진시켜 동적 및 정적 자세조절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xwell과 Master, 2002).
  •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들의 보행능력을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 과제 수행 집단과 인지운동 이중과제 수행 집단의 비교를 통해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대한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운동 이중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 향상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뇌졸중 재활에서 이중과제 훈련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균형 및 보행 능력을향상시키기 위한 치료 방법을 탐구하는 임상 치료사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설명할 수 있도록 향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 인지운동 이중과제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Plummer-D’Amato등(2008)의 연구에서는 시공간과제, 작업기억과제, 대화 과제 등과 같은 인지과제가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치료적 배경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인지운동 이중과제 보행을 한 실험군과 단순 보행만을 수행한 대조군의 비교를 통해 인지운동이중과제 수행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 과제를 수행한 집단과 인지운동 이중과제를 수행한 집단의 비교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대한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의 혈액공급이 중단되거나 뇌 조직으로 출혈이 발생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지배하는 뇌의 기능이 소실되는 질환이다(Shar과 Brouwer, 1997). 뇌졸중 발생 후 환자들은 근력 약화와 운동 조절 능력의 저하, 낮은 균형 감각, 낙상의 두려움, 강직(spasticity)으로 인하여 보행주기와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환측 보장과 건측 보장(stride length) 간에 차이가 발생하며,환측의 입각기(stance phase)가 짧아지고 상대적으로유각기(swing phase)가 길어지는 등의 비정상적인 보행 양상을 나타낸다.
뇌졸중 환자에게 비정상적인 보행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선 자세에서 자발적 동요의 감소, 근육의 움직임 선택 장애, 감각 장애, 시각 장애, 근육 약화와구축 및 비정상적인 자세, 입체 인지 장애와 같은 이차적 손상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하고, 보행 속도가 느려지는 특징이 있다(Choi, 2009). 이러한 비정상적인 보행 치료를 위해 최근에는 지역사회 복귀를 통한 독립적인 일상생활과 사회활동 참여의 중요성이 보고되고 있다(Lord 등, 2004).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이중과제를 사용한 뇌졸중 치료의파라다임은 인지 과정과 운동 기능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주요 접근방식으로 고려된다(PlummerD’Amato 등, 2008). 임상적으로, 인지 이중과제 훈련은 보행 동안 시공간 과제, 작업기억 과제, 대화 과제, 혹은 단순 계산 등과 같은 인지적인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Hyndman 등, 2006; Plummer-D’Amato등, 2008), 인지운동 이중과제 훈련은 보행 동안 인지 과제와 운동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처럼, 보행과 함께 다른 형태의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과제 수행동안 운동조절 절차와 인지적인 노력 사이의 상호 갈등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보행 동안 더 많은 주의집중 능력을 필요로 한다(Woollacott과 Shumway-Cook,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 HJ, Kim JI, Kim YR, et al. The effect of various dual task training methods with gait on the balance and gait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Phys Ther Sci. 2014;26(8):1287-1291. http://dx.doi.org/10.1589/jpts.26.1287 

  2.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1989;41(6):304-311. 

  3. Bowen A, Wenman R, Mickelborough J, et al. Dualtask effects of talking while walking on velocity and balance following a stroke. Age Ageing. 2001;30(4):319-323. 

  4. Canning CG. The effect of directing attention during walking under dual-task conditions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05; 11(2):95-99. 

  5.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1st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2003: 159-191. 

  6. Choi SS. The effect of dual tasks on gait and static standing in stroke patients. Daegu, Daegu University, Master Thesis. 2009. 

  7.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86-895. 

  8.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 409-417. 

  9.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re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1;15(4):415-421. 

  10. Dobkin BH. Short-distance walking speed 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s for clinical trials? Neurology. 2006;66(4):584-586. 

  11. Haggard P, Cockburn J, Cock J, et al. Interference between gait and cognitive tasks in a rehabilitating neurological populat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0;69(4):479-486. 

  12. Hecht H, Vogt S, Prinz W. Motor learning enhances perceptual judgment: A case for action-perception transfer. Psychol Res. 2001;65(1):3-14. 

  13. Hwang EO, Oh DW, Kim SY. Community amb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Comparison of walking variables in five different community situations. Academy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2009;3(31): 31-39. 

  14. Jeong WM, Lee JW. Cognitive exercise therapy: Focused applic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J Rehabil Res. 2005;9(2):87-113. 

  15. Hyndman D, Ashburn A, Yardley L, et al. Interference between balance, gait and cognitive task performance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Disabil Rehabil. 2006;28 (13-14):849-856. 

  16. Kim HH.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patterns in hemiplegic patients: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gait training. Seoul, Yonsei University, Master Thesis. 2003. 

  17. Kwon YC, Park CH.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for use in the elderl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1):125-135. 

  18.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239. 

  19. Maxwell JP, Master RSW. External versus internal focus instructions: Is the learner paying at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2002;14(2):70-88. 

  20. Michel JA, Mateer CA. Attention rehabilitation following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A review. Eura Medicophys. 2006;42(1):59-67. 

  21. Morioka S, Hiyamizu M, Yagi F. The effects of an attentional demand tasks on standing posture control. J Physiol Anthropol Appl Human Sci. 2005;24(3):215-219. 

  22. Mossberg KA.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5):385-390. 

  23. O'Shea S, Morris ME, Iansek R. Dual task interference during gai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Effects of motor versus cognitive secondary tasks. Phys Ther. 2002;82(9):888-897. 

  24. Pellecchia GL. Dual-task training reduces impact of cognitive task on postural sway. J Mot Behav. 2005;37(3):239-246. 

  25. Plummer-D'Amato P, Altmann LJ, Saracino D, et al. Interactions between cognitive tasks and gait after stroke: A dual task study. Gait Posture. 2008;27(4):683-688. 

  26. Plummer-D'Amato P, Altmann LJ, Behrman AL, et al. Interference between cognition, double-limb support, and swing during gait in community- dwelling individuals post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6):542-549. http://dx.doi.org/10.1177/1545968309357926 

  27.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28. Robinett CS, Vondran MA. Functional ambulation velocity and distance requirements i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A clinical report. Phys Ther. 1988;68(9):1371-1373. 

  29.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 1231-1236. 

  30. Silsupadol P, Siu KC, Shumway-Cook A, et al. Training of balance under single- and dual-task conditions in older adults with balance impairment. Phys Ther. 2006;86(2):269-281. 

  31. Skilbeck CE, Wade DT, Hewer RL, et al. Recovery after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3;46(1):5-8. 

  32. Taylor D, Stretton CM, Mudge S, et al. Does clinic- measured gait speed differ from gait speed measured in the community in people with stroke? Clin Rehabil. 2006;20(5):438-444. 

  33. Wilkinson PR, Wolfe CD, Warburton FG, et al. A long-term follow-up of stroke patients. Stroke. 1997;28(3):507-512. 

  34. Woollacott M, Shumway-Cook A.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Posture. 2002; 16(1):1-14. 

  35. Wu C, Trombly CA, Lin K, et al. A kinematic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n reaching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nd without stroke: Influences of object availi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95-101. 

  36. Yang YR, Chen YC, Lee CS, et al. Dual-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7;25(2):185-190.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