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Aster yomena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2, 2015년, pp.141 - 153  

이정애 (호원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쑥부쟁이 분말을 첨가하여 부가가치 기능성 성분으로 가능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쑥부쟁이가루 첨가(0, 3, 5, 7, 9%)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품질특성, 밀도, 반죽 pH, 퍼짐성, 수분함량, 색도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관능 특성을 측정했다. 경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크게 쑥부쟁이의 함유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되었다. pH와 반죽의 밀도, 명도 L값은 쑥부쟁이를 첨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쿠키의 관능검사에서 쿠키의 색과 맛,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특성의 결과는 3%와 5% 첨가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7%와 9%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3%와 5% 첨가군이 대조군과 다른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외관, 향은 쑥부쟁이 가루 첨가량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쑥부쟁이 첨가 쿠키 제조 시 품질특성, 항산화성, 기호도 면에서 3%, 5% 가장 높게 평가되어 쿠키의 관능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3~5%의 쑥부쟁이 가루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3~5% 쑥부쟁이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품질 특성이 높고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쿠키제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쑥부쟁이 분말 쿠키는 품질, 기호도 측면의 관능평가 결과로 전반적인 충분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쑥부쟁이 분말을 이용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Aster yomena powder into cookies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0, 3, 5, 7 and 9%) of Aster yomena powder(AYP). For th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과류 중 쿠키는 한입 크기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이며, 고소하고 바삭해서 씹는 맛이 좋아 커피, 차, 음료와 잘 어울리며, 수분함량이 낮아 저장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선물용으로도 적당하다(Cho HS et al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가지고 있는 쑥부쟁이를 실생활에서 쉽게 활용하고자 쑥부쟁이 분말의 함량을 달리한 쿠키를 제조한 후, 이화학 및 품질 측정 평가하여 쑥부쟁이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쑥부쟁이 이용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극히 부진한 상태이다. 지금까지의 쑥부쟁이의 가공은 과거의 전통적인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생리적 기능이 우수한 쑥부쟁이를 원료를 쿠키로 가공하여 소비를 촉진하고자 쑥부쟁이를 이용한 쿠키를 제조 개발하고자 한다. 제과류 중 쿠키는 한입 크기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이며, 고소하고 바삭해서 씹는 맛이 좋아 커피, 차, 음료와 잘 어울리며, 수분함량이 낮아 저장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선물용으로도 적당하다(Cho HS et al 2006).

가설 설정

  • S3: Cookie with 3% Aster yomena powder.
  • S5: Cookie with 5% Aster yomena powder.
  • S7: Cookie with 7% Aster yomena powd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부쟁이의 일반성분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화과에 속하는 산채인 쑥부쟁이(Aster yomena, AY)는 어린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볶아먹기도 하며, 잎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일반성분은 열량 43.0 kcal, 수분 84.2%, 단백질 4.35 g, 지질 0.9 g, 당질 6.9 g, 섬유질 1.9 g, 회분 1.8 mg, 인 67 mg, 철 mg 12.8, 비타민 A710 mg, 비타민 B 0.04 mg, 비타민C 21.0 mg로 구성되어(이성희 2008) 비타민 C가 풍부하며 그 외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Kim DJㆍYUK CS 2001). 국화과 다년초인 쑥부쟁이는 그 자원이 풍부하고 쑥부쟁이에 대해서도 최근 연구 결과,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쑥부쟁이를 어떻게 요리해서 섭취하는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화과에 속하는 산채인 쑥부쟁이(Aster yomena, AY)는 어린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볶아먹기도 하며, 잎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일반성분은 열량 43.0 kcal, 수분 84.
쑥부쟁이의 생리 활성기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화과 다년초인 쑥부쟁이는 그 자원이 풍부하고 쑥부쟁이에 대해서도 최근 연구 결과,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최근 과학적 검증을 통하여 항산화(Woo JH et al 2008), 암 예방(Jung BM et al 2005 ; Heo BG et al 2007), 항균 활성(Chon SU et al 2009) 등, 여러 생리 활성기능에 대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쑥부쟁이는 뛰어난 항산화효능을 나타내며, 그 성분으로서는 chlorogenic acid 및 그 유도체,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Heo BG et al 2007; Nugroho A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이성희 (2008). 채소 내륙 산간지역 새 소득 작목자생 쌈채류 재배 기술개발. 충주시농업기술센터, 9-16. 

  2. 임용석 (2014), 향토 식재료 야생화 발굴 및 특성 분석. (주)동북아식물연구소, 20-26. 

  3. AACC (1986). Approved Methods of the Am. Assoc. Cereal Chem. (Method 10-50D), First Approval 2-24-75, Revised 10-28-81, St. Paul, MN, USA. 

  4. Shim EA, Kwon YM, Lee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7(1):82-89. 

  5. Bae HJ, Lee HY, Lee JH, Lee JH (2010).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ugar snap cookies. Food Engineering Progress 14(3):256-262. 

  6. Bang BH, Kim KP, Rhee MS, Jeong EJ (2014). Quality evaluations of cookies containing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 Nutr 27(3): 427-434. 

  7. Bang BH, Kim KP, Kim MJ, Jeong E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chungkukjang powder. Korean J Food & Nutr 24(2):210-216. 

  8. Cho HS, Kim K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1799-1804. 

  9.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er. Korean J Food Culture 21(5):541-549. 

  10.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414-1420. 

  11. Choi HY, Oh SY, Lee YS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leaves(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5): 521-530. 

  12. Choi S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ngelica giages Nakai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5(2):309-321. 

  13. Choi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cookies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Korean J Culinary Research 8(2):215-226. 

  14. Choi YS, Kim SK, Mo EK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caiberry(Euterpe oleracea Mart.)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21(5):661-667. 

  15. Chon SU, Kim DI, Choi YS (2009). Assessments on insecticidal and fungicidal activities by aerial part extracts from several compositae plants. Kor J Weed Sci 23(2):81-91. 

  16. Heo BG, Park YS, Chon SU, Lee SY, Cho JY, Gorinstein S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Biofactors 30(2): 79-89. 

  17. Jeong EJ, Kim KP, Bang B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powder. Korean J Food & Nutr 26(4):759-765. 

  18. Ji JR, Yoo SS(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3): 433-438. 

  19. Jin SY, Lee EJ, Gil GY, Joo SY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 234-241. 

  20.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2):182-191. 

  21. Jung BM, Lim SS, Park YJ, Bae SJ (2005).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8-12. 

  22. Jung KJ, Lee S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uring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0):1453-1459. 

  23. Kim DJ, YUK CS (200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alimeris flowers. College of Pharmacy, Kyung Hee University 29:9-21. 

  24.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98-404. 

  25. Kim HY, Park JH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mpkin cookies using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55-863. 

  26. Kim OS, Ryu HS,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orn (Quercus autissima Carruther)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2):225-232. 

  27. Kim YJ, Jung IK,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2):183-189. 

  28. Kim YM, Choi MS, Bae JH, Yu SO, Cho JY, Heo BG(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8(1):60-66. 

  29. Koh WB, Noh WS (1997).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 on cookie sp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2):159-165. 

  30. Lee DJ (2009). Study on the status of research,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endemic wild vegetables in Ulleung island, and their development plans.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14, Seoul. 

  31. Lee EJ (2014).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dded Kalopanax pictus powder.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65, Seoul. 

  32. Lee GW, Choi MJ, Jung B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4):381-389. 

  33. Lee JO, Kim KH,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aged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1):71-77. 

  34. Lee JY, Ju JC, Park HJ, Heu ES, Choi SY, Shin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 Nutr 19(1):1-7. 

  35. Lim EJ, Huh CO, Kwon SH, Yi BS, Cho KR, Shin SG, Kim SY, Kim JY (2009).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leek(Allium tuberosum Rottler)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1):1-7. 

  36. Moon YJ, Jang SA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owder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 Nutr 24(2):173-179. 

  37. Nugroho A, Kim KH, Lee KR, Alam MB, Choi JS, Kim WB, Park HJ (200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caffeoylquinic acids on the Korean mountainous vegetables used for chwinamul and their peroxynitritescavenging effect.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2(10):1361-1367. 

  38. Park HS, Lee MH, Lee J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ities of sugar-snap cookies with red ginseng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1):171-183. 

  39. Park ID (2012). Effects of sweet pumpki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1):89-94. 

  40. Park YI, Joo NM (2014). Optimiz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Mori cortex radicis powder. Korean J Food & Nutr 27(3):522-531. 

  41. Song JH, Lee JH (2014).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containing Codonopsis lanceolat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6(1):57-55. 

  42. Woo JH, Jeong HS, Yu JS, Chang YD, Lee CH (2008).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Plant Resources 21(1):52-59. 

  43. Yu H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added with baekbokrung(Poria cocos Wolf) powde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3(3):443-4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