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기구에 따른 조리방법이 돼지고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Methods with Various Heating Appar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1 - 14  

전기홍 (한국식품연구원 산업기반연구본부) ,  권기현 (한국식품연구원 산업기반연구본부) ,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산업기반연구본부)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산업기반연구본부) ,  최윤상 (한국식품연구원 산업기반연구본부) ,  손동인 ((주)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  최진영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 삼겹살과 목살의 가열처리방법에 따른 새로 개발된 PCM 처리와 이중팬을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가열조리방법과 비교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비교하였다. 돼지고기 삼겹살과 목살의 수분함량은 찌기처리구에서 60.2%, 67.2%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은 삼겹살은 숯불처리구에서 33.2%, 목살은 전기그릴처리구에서 16.0%로 가장 높았다(p<0.05). 조단백질의 경우, 삼겹살은 스팀처리구가 18.4%로 높았고, 삶기처리구는 15.4%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목살은 전기그릴처리구에서 25.2%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과 가장 관계가 깊은 가열감량은 삼겹살과 목살 모두에서 숯불구이처리구 40.18%, 36.98%로 유의적으로 높았고, 전단력에서 삼겹살은 오븐처리구에서 $2.76kg/cm^2$으로 목살은 이중 팬처리구에서 $3.67kg/cm^2$으로 가장 낮았다(p<0.05). 육색 시험결과 L값은 삶기처리구에서 65.16, 59.72로 가장 높았고(p<0.05) b 값의 경우, 삼겹살은 삶기처리구에서 2.32로 가장 낮았다(p<0.05). 관능평가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삼겹살의 경우, 전기그릴처리구에서 7.56점으로 높았다. 목살은 팬구이처리구에서 7.2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삶기처리구에서 5.88점으로 가장 낮았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rk belly(PB) and pork shoulder(PS) parts were tested to find out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with various cooking methods such as pan heating, boiling, grilling, steaming, charcoal heating, pan heating and double-layer pan filled with phase change material (PCM)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많이 선호하고 소비가 많이 되고 있는 돼지고기 삼겹살과 목살부분을 다양한 조리방법을 통해 열 처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영양학적,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을 분석하고 비교함과 동시에 조리방법에 따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돼지고기의 소비를 위한 정보를 제시하고, 올바른 소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돼지고기 삼겹살과 목살부분을 다양한 가열방법으로 조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조리방법에 따라 시료의 영양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을 측정하였으며, 그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장 높은 온도의 건열조리법의 특징은? 특히 수분 이용한 습열조리방법과 수분을 이용하지 않는 건열조리방법에 따라서도 맛 성분이나 영양소의 손실이 차이가 나며, 수증기를 열전달 매체로 하는 찌기는 음식물을 직접적으로 증기에 노출시켜 조리하는 것으로, 식품의 맛 성분이나 수용성 성분의 손실이 적다. 또한, 구이는 가장 높은 온도에서 건열조리방법으로 표면단백질 응고로 식품자체의 성분 용출이 적고 식품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볶기는 소량으로 기름을 이용하여 고온 단시간 가열로 비타민의 손실이 적고 식품의 색과 향의 보유가 가능하다(Jeon et al 2014).
음식을 조리하는 가열조리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조리하는 방법은 에너지 전달과 관계가 있고, 열원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접촉을 함으로써 열을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분, 단백질 변성, 지질의 변화 등을 가져오기 때문에, 육의 조리에 있어 여러 가지 조리방법들은 독특한 맛이나 향기 성분들과 질감을 가지게 된다. 음식을 조리하는 가열조리방법으로는 건열방법과 습열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건열조리는 운동량이 적은 연한부위를 사용하여 직화로 익히는 조리방법이고, 습열 조리는 결체조직이 많은 고기를 조리하는 동안 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건열조리법보다 낮은 온도로 사용하여 근원섬유단백질의 경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Lee JS et al 2008). 특히 수분 이용한 습열조리방법과 수분을 이용하지 않는 건열조리방법에 따라서도 맛 성분이나 영양소의 손실이 차이가 나며, 수증기를 열전달 매체로 하는 찌기는 음식물을 직접적으로 증기에 노출시켜 조리하는 것으로, 식품의 맛 성분이나 수용성 성분의 손실이 적다.
건열조리란? 조리하는 방법은 에너지 전달과 관계가 있고, 열원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접촉을 함으로써 열을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서 수분, 단백질 변성, 지질의 변화 등을 가져오기 때문에, 육의 조리에 있어 여러 가지 조리방법들은 독특한 맛이나 향기 성분들과 질감을 가지게 된다. 음식을 조리하는 가열조리방법으로는 건열방법과 습열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건열조리는 운동량이 적은 연한부위를 사용하여 직화로 익히는 조리방법이고, 습열 조리는 결체조직이 많은 고기를 조리하는 동안 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건열조리법보다 낮은 온도로 사용하여 근원섬유단백질의 경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Lee JS et al 2008). 특히 수분 이용한 습열조리방법과 수분을 이용하지 않는 건열조리방법에 따라서도 맛 성분이나 영양소의 손실이 차이가 나며, 수증기를 열전달 매체로 하는 찌기는 음식물을 직접적으로 증기에 노출시켜 조리하는 것으로, 식품의 맛 성분이나 수용성 성분의 손실이 적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LH (2010). Effects of Green Tea and Tumeric on the Sensory and the Storage Stability of Boiled Pork.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777-784, Washington DC, USA. 

  3. Chae YC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cutlet by cooking meth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1(4):490-495. 

  4. Cho KO, Kim SI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supplement with te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774-783. 

  5. Cho HS, Shin JH, Choi DJ, Lee SJ, Kang MJ, Sung NJ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prepared with medical plant extracts during storage. Journal of Life Science 18(1):38-45. 

  6. Jung IC, Moon YH, Kang SJ (2005). Effect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1):15-22. 

  7. Jeon MS, Shim JW, Yoon S (2013) Effect of differnt cooking methods and temperatur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k ham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3):309-316. 

  8. Jeon KH, Kwon KH, Kim EM, Kim YB, Sohn DI, Choi JY (2013). Effect of cooking methods with various heating appar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9(5):196-205. 

  9. Jeon KH, Kwon KH, Kim EM, Kim YB, Sohn DI, Choi JY (2014). Effect of cooking methods with various heating appar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20(3):201-213. 

  10. Jung EJ, Cho KR, Kim DH (2010). Cookery Science. Jinro pub, 22-24, Seoul. 

  11. Jung IC, Moon YH, Kang SJ (2005). Effect of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1):15-22. 

  12. Kang SJ, Moon YH, Jung IC, Kim YK (2003). Effect of carcass grade and additiin of mugwort powder on the storage stability of boiled pork.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3(6):829-835. 

  13. Kim CJ, Chae YC, Lee ES (2001).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ef tenderloin steak by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314-322. 

  14. Kim DS, Kim JS, Choi SK (2008). The mineral contents of chicken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4(4):283-291. 

  15. Kim KT (2013). "How to solve the problem of unbalanced pork consumption by the parts", Hanguk Nongeomin News. Aug. 5. 

  16. Lee KH, Jung YK, Jung S, Lee JH, Heo KN, J CH (2011). Physiochemical characteristes of the meat from Korean native chicken and broiler reared and slaughtered at the same conditions. Korean J Poult Sci 38(3):225-230. 

  17. Lee HS (2001). Cookery Science. Kyomunsa, 216, Kyonggido. 

  18. Lee JS, Jung EJ, Kim DH, Choi JY (2008). Principle of Cookery. Gigu pub, 137-144, Kyonggido. 

  19. Lee KS, Park KS, Park HS, Choi YJ, Park SS, Jung IC, Moon YH (2011) Changes in quality of pork meat seasoned with red wine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74-81. 

  20. Lee SH, Jung EJ, Jung TS, Park NY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seasoning sauces prepared with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and Crataegi fructus and the quality changes of seasoned pork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1):57-63. 

  21. Moon YH, Kim YK, Koh CW, Hyon JS, Jung IC (2001) Effect of aging perio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loin. J Korean Food Sci Nutr 30(3):471-476. 

  22. Oh HJ, Kim CS (2008) Optimum formulation of Kochujang seasoning sauce with the addition of fruit and vegetable extract for the pork Bulgogi. J Korean Soc Nutr 37(4):505-511. 

  23. Park YM, Han BL, Kim YJ, Yoon HY (2013) Effect of guava leaf powder on the quality of seasoned pork.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4):1-12. 

  24. Park JS, Choi MK (2004) A study on the rheology of the rib-eye cooked by cooking utensil. Korean J of Human Ecology 7(1):21-31. 

  25. Park CJ, Park CS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by cooking condi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5):490-496. 

  26. Seo MS, Yoo SS (2010)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change of the loin of lamb by four cooking metho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84-94. 

  27. Sung PN, Cho SH, Kim JH, Hah HH, Park BY, Lee JM, Kim DH (2009a) Meat quality of pork muscles from low-fat cu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3):364-373. 

  28. Sung PN, Cho SH, Kim JH, Kim YT, Park BY, Lee JM, Kim DH (2009b)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scles from low-fat pork cuts during chill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2):213-219. 

  29. Yang CY, Lee CH, Koo BS (2011) Science of Animal Products and Its Utilization. Huangsul pub, 239-274, Seoul. 

  30. Yang JB, K HS, Kim KS (2009) Physico-chemical changes in pork bellies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6(1):87-93. 

  31. Yang JB, Ko MS (2010). Physicochemical changes in pork boston butt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7(3):351-3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