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의 종류를 달리한 보리식혜의 이화학적 특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s made of Different Various of Barley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30 - 41  

김안나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최수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의 이용증대와 식혜 제조 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인 엿기름 함량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리의 종류(자수정보리, 검정보리, 늘보리, 늘찰보리, 쌀보리, 쌀찰보리)를 달리하여 전통음료인 식혜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입자의 장폭비를 측정한 결과, 검정보리가 가장 높았으며, 자수정보리가 가장 작았다. 보리밥알의 수분은 54.96~71.74%의 함량을 보였다. 당화액의 pH는 5.40~5.63의 범위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5.37~18.73 brix%의 범위로, 늘찰보리로 제조한 식혜의 당화액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으며, 검정보리로 제조한 식혜에서 가장 낮았다. 환원당 측정결과, 4.35~7.42 mg/ 100 g의 값을 보였으며, 늘찰보리에서 가장 높은 환원당의 값을 검정보리에서 가장 낮은 환원당 값을 보여, 가용성 고형분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밥알과 당화액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검정보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리식혜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밥알의 통통함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다. 밥알의 삼킨 후의 느낌은 검정보리가 강하게, 늘찰보리가 낮게 평가되었으며, 밥알의 통통함 항목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은 쌀찰보리와 쌀보리로 만든 식혜가 높았으며, 냄새는 자수정보리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텍스처에서는 쌀보리와 쌀찰보리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쌀보리로 제조한 식혜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위와 같이 보리의 품종에 따라 식혜 품질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늘찰보리와 쌀보리로 식혜 제조 시 엿기름의 함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당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repared by varying the type of barley sikhye to promote the use of barley. to lear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everage sikhye, sikhyes were made out of different kinds of barley such as amethyst barley, black naked barley, tetrastichum barley, tetrastichum waxy bar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 식혜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식혜 제조에 적합한 보리 품종을 찾아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보리 유전자의 유무에 따른 보리의 종류는? 수용성 식이섬유인 β-glucan은 보리에 함유된 단백질인 hordein, glutelin과 complex matrix를 형성하고 있으며, arabinoxylan 등의 다당류가 같이 존재하여 다른 곡류보다 잘 발효되는 특성을 지닌다 (Jung HC 2013). 보리는 쌀보리 유전자의 유무에 따라 껍질에 쌓여있는 겉보리(covered barley, hulled barley)와 성숙 후 껍질이 쉽게 떨어져 나가는 쌀보리(naked barley, hull-less barley)로 나뉜다. 또한, 구성전분의 조성에 따라 22~26%의 아밀로오스와 74~78%의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는 일반 보리(메성보리, non-waxy barley)와 구성 전분의 거의 모두가 아밀로펙틴 만으로 되어 있는 찰성 보리(찰보리, waxy barley)로 구분된다(목철균 2003).
식혜와 감주는 어떻게 다른가? 엿기름 중의 당화 효소인 amylase에 의하여 당화 작용이 일어나 쌀 전분을 분해시켜 maltose의 독특한 풍미와 감미 등이 조화를 이룬 것이다(Jeong KY 등 2012). 엿기름에 삭은 밥알을 띄어서 삭은 밥알과 용출시킨 당액을 음용하는 것을 식혜라고 하고, 삭은 것을 끓여 밥알을 건져낸 후 당액만을 음용하는 것을 감주라고 한다(Lee CH․Kim SY 1991). 식혜는 단맛과 맥아의 향에 식혜 당화액 중에 들어있는 밥알이 간간히 씹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Kim SK 등 2000).
보리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식혜의 특성 연구에서 보리의 장폭비가 가장 높았던 검정보리의 보리 밥알 수분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74%의 함량을 보였으며, 자수정보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검정보리에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이는 장폭비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호화가 잘 이루어져서 전분 밖으로 용출되는 수분이 많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당화액의 pH는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내일신문. 2007. "보라색 보리로 색깔 있는 식혜 만들 수 있어". 9월 27일. 

  2. 목철균 (2003). 보리의 건강기능. 미국곡물협회, 16-18, 서울. 

  3. 신말식, 이경애, 김미정, 김재숙, 황자영 (2011). 조리과학. 파워북, 151-153, 서울. 

  4. Cho KM, Joo OK (2010). Manufacture of sikhe(a traditional Korean baverage) using corn silk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7(5):644-651. 

  5. Choe JS, Youn JY (200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and wheat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2):223-229. 

  6. Choi YH, Kim KH, Kang MY (2001). Varietal difference in process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in rice. Korean J Breed 33(2):65-72. 

  7. Ha KA, Park BS, Chang HJ (2014). Development of squash sikhye added with retrograded rice flour containing resistant starch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quality comparison with commercial beverages. Korean J Food Cook Sci 30(2):129-138. 

  8. Jeong KY, Lee EJ, Kim ML (2012). Storag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added Ulmus pumila L.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1):12-18. 

  9. Jeong SI, Yu H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the roots powder of doraji(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759-765. 

  10. Jung HC (2013)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n bread with various barley powder. Doctorate thesis, Sejong University 8-13, Seoul. 

  11. Kang MJ, Ju JC, Shin J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prepared with garlic powder and steamed garlic powder.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5):247-255. 

  12. Kim BS, Lee TS, Lee MW (1984). Change of component in sikhei during saccharification. Kor J Appl Microbiol Bioeng 12(2):125-129. 

  13. Kim GS, Park G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 prepared with Cnidium officinale Makino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6):868-878. 

  14. Kim HH, Park GS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actual condition of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ikh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5):206-514. 

  15. Kim KJ, Woo KS, Lee JS, Chun AR, Choi YH, Song J, Suh SJ, Kim SL, 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with specialty rice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1523-1528. 

  16. Kim MR, Seo JH, Heo OS, Oh SH, Lee KS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commercial sikh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728-732. 

  17. Kim MS, Hahn TR, Yoon HH (1999).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made of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672-677. 

  18. Kim SK, Kim JM, Choi YB (2000). Effect of sikhye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rice shape. Korean J Dietary Culture 15(1):1-8. 

  19. Kim SS, Kim SY, Lee WJ (1998).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color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ikh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5):1092-1096. 

  20. Kim YD, Ha KY, Choi YH, Lee JK, Uhm TY (2002). Varietal difference of glutimous rice in characteristics of sweet rice-drink sikhe. Korean J Breed 34(1):37-40. 

  21. Kim YS, Kim JH, Oh SD (2004). Sensory evaluation for sikhye, a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using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or, black rice. Journal of Health Science & Medical Technology 30(1):75-83. 

  22. Kim YS, Park JY, Lee J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added with immature chalssalbori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30(4):385-393. 

  23. Lee CH, Kim SY (1991).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I. Recent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6(1):55-60. 

  24. Lee HJ, Jun HJ (1976). A study on the making of sikhe. Korean Home Eco Assoc 14(1):685-693. 

  25. Lee MW (2011). pH, turbidity, color, brix, reducing sugar, total sugar, ketose, amino cid, protein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sikhe during saccharificatio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7-16, Seoul. 

  26.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2):146-150. 

  27.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13:426. 

  28. Na SJ, Choi SH, Lee SH, Ahn JS, Kim J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ae made with Monascus anka ri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3):46-56. 

  29. Nam SJ, Kim KO (1989).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drink) made with different amount of cooked rice and malt and with different sweeten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2):197-202. 

  30. Ryu BM, Kim JS, kim MJ, Lee YS, Moon GS (2008).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made with N2-circulated lowtemperature dry malt and commercial m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3):311-315. 

  31. Seo JH, Lee KS, Oh SH, Kim MR (2002). The opinion of food and nutrition specialists about the qualities of commercial sikh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945-951. 

  32. Seo JS, Park ID (2014). Quality properties of barley kochujang added with germinated barley powder.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9(2):187-194. 

  33. Shin SY, Sung YM, Kang MY (2001).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hikhe made from glutinous rice variet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1):11-18. 

  34. Suh HJ, Jung SH, Whang JH (1997). Characteristics of sikhye produced with malt of naked barley, covered barley and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4):716-721. 

  35. Won MH (2004).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lored barley. MS thesis, Hoseo University 23-25, As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