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academic institutional interest, op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ocial (friend) support,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n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인으로서의 입문단계에 있는 대학생들의 자살 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살보호요인으로서 학교생활 흥미,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 친구지지, 실존적 영적안녕감이 이들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자살 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자살보호요인으로서 학교생활 흥미,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 친구지지, 실존적 영적안녕감이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교생활 흥미,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 친구지지 및 실존적 영적안녕감이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그러므로 독립된 한 인간으로 정체감 확립을 위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문화적으로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들의 자살사고를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보호요인들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교생활 흥미,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 친구지지, 실존적 영적안녕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은 발달과정 상 대부분 가정을 벗어남으로써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 학교와 같은 사회 환경 속에서 심리적으로 방황하는 소외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우울 반응을 보이며 부정적 자기인식과 무능력으로 인해 파괴적이며 극단적인 행동인 자살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생활 흥미, 부모-자녀간 개방적 의사소통, 친구지지, 실존적 영적안녕감과 대학생의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한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실존적 영적안녕감으로 대학생의 자살사고의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들의 자살위험성을 감소 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들은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의 욕구를 원하면서도 여전히 부모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부모가 자녀와 함께 자녀의 어려움에 대하여 같이 논의하고 어려움을 공감해준다면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게 된다(Kim, 2008; Moon, 2006). 따라서이 시기의 부모와의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자녀의 태도, 생각, 애정, 각종 문제 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가족기능을 긍정적으로 강화시켜 자녀의 효율적인 적응을 도울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의 지지자원이 되어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좋은점은?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 시기는 각종 생활 사건으로 인한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친밀한 교우관계를 형성한 친구들끼리 위기에 대처하는 방법 및 문제해결 전략을 논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 감소와 더불어 자살사고가 감소된다(Kim, 2012; Park & Kim, 2014). 즉 이 시기에는 사회적 지지 중에서도 많은 시간과 사회적 활동을 같이 하는 친구지지가 각종 생활스트레스로부터 자살행동으로 이어지는 중간과정에서 긍정적인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고, 위기 상태에서도 새로운 도움을 찾을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게 된다.
실존적 영적안녕감은 무엇인가? 실존적 영적안녕감은 삶의 분명한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여 개인적인 삶의 위기 시에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자신과 타인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현재 자기가 처해 있는 환경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고 더 나아가 미래의 궁극적인 의미와 목적을 찾고자 노력하게 만드는 내적 보호요인 중 하나이다(Goddard, 1995). 이러한 실존적 영적안녕감은 특히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불안·우울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고, 자존감 및 생활의 만족도 등의 긍정적인 정서를 증가시켜(Choi, 2012) 각종 위기상황 속에서도 자살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Taliaferro, Reinzo, Pigg, Miller & Dodd,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E. J. (2010). A theoretical approach on the suicid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Journal of Sungkyul Psychology of Counseling, 3(2), 123-136. 

  2. Barnes, H., & Olsao,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 Choi, Y. J. (2012).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protective factor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3), 77-104. 

  4. Choi, S. O., & Kim, S. N. (2011).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190-199. 

  5. Cull, G. J., & Gill, S. W. (1988). Suicide probability scale (SPS)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 Logical Service. 

  6. Gang, J. S. (2011). Suicide of College Students. Retrieved October, 11, 2014, from http://www.ajunews.com/view/20110411000537 

  7. Go, H. J., Kim, D. J., & Lee, H. P. (2000). A validation study of suicide probability scale adolescents (SPS-A). Journal of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39(4), 680-690. 

  8. Goddard, N. (9995). Spirituality as integrative energy: a philosophical analysis as requisite precursor. Holistic Nursing, 22(1), 808-815. 

  9. Hernandez, L. P.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California. 

  10. Jang, K. S. (2003). A study on elderly's attitude about death at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11. Kim, H. J., & Roh, J. E. (2011). A causal analysis of suicidal inpulse in the context of parents, friends, teachers and community support: gender differenc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4(2), 135-162. 

  12. Kim, J. Y. (2012). Suicide-related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and suicide preven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Digital Poilcy and Management, 10(11), 525-533. 

  13. Kim, M. K., & Lee, E. H. (2011). The influence of abused childhood experiences, exposure to suicide and exposure to suicide news on suicidal thought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goal instabi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2), 403-429. 

  14. Kim, S. G. (2008). The effect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o adolescent suicide: based on mediation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9(8), 66-93. 

  15. Kim, S. Y. & Chea, K. M. (2013).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on suicidal ide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meaning of life.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4(1), 1-13. 

  16. Kim, Y. A., Kwon, Y. S., & Park, K. M.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icidal risk,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1), 112-124.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The statistics of death cause in 2013. Retrieved October 3, 2014, from the Report Wood Foundation Web Site: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2 

  18. Kye, E. K. (2007). The relationship of suicide probability and spiritu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Lee, O. S.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habilitation motiv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inal cord inju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 Lee, S. H., & Min, H. Y. (1992). Family system type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Yonsei Journal of Eduthnics, 6, 215-226. 

  21. Moon, K. S. (2006). Mediating roles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uicidal impulse in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Association, 27(5), 143-157. 

  22. Paloutzian, R. F., & Ellison C. W. (2003).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23. Park, H. S. (1998). Youth problem: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5(3), 147-165. 

  24. Park, J. A., & Yoo, S. K. (2003). Relationship of resilience, spiritual well-being and parental attach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4), 765-778. 

  25. Park. J. Y., & Kim. J. K. (2014).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university student's suicide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pathway of family and friend's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1), 167-189. 

  26. Shin, E. J., & Kim, H. S. (2013). Effects of a peer gatekeeper training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uicide prob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2(3), 241-251. 

  27. Shin, G. R., & Hong, C. H.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9(3), 389-407. 

  28. Taliaferro, L. A., Rienzo, B. A., Pigg, R. M., Miller, M. D., & Dodd, V. J. (2009). Spiritual well-being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8(1), 83-90. 

  29. Yang, M. K., Bang, S. Y., & Kim, S. Y. (2012).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 41-50.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