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2, 2015년, pp.227 - 236  

박현주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15 nursing students in tertiary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0 to 1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수업연한 4년제 간호과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핵심역량에 해당되는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의 정도와 제 변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이 교육과정을 통해 간호전문직에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것이 개인뿐만 아니라 간호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초석인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사들의 간호활동 과정이나 그 직분에 대한 직업 의식적인 견해로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을 통해 개인적 만족은 물론, 대중들로부터 간호의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Adams & Miller, 2001). 그러나 간호학생의 경우 자신의 간호가치관이나 전문직관이 확고히 다져지기도 전에 간호사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Park & Kim, 2000), 이는 간호사가 된 후 자신의 업무에 대한 갈등과 전문직에 대한 자긍심 결여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간호전문직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간호계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초석이라고 할 수 있다.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성향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과 간호술기를 임상현장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간호대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임상상황에 맞는 적절한 실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핵심적 요소로서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Yang, 2012) 과 임상수행능력(Park et al, 2012)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비판적 사고성향은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감소시켜 임상현장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환자 간호의 질과 안전을 보장하고 간호전문직 향상에 기여하므로(Fero, Witsberger, Wesmiller, Zullo, & Hoffman, 2009) 간호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개발하고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와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맥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간호전문직관이란 무엇인가?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사들의 간호활동 과정이나 그 직분에 대한 직업 의식적인 견해로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을 통해 개인적 만족은 물론, 대중들로부터 간호의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Adams & Miller, 2001). 그러나 간호학생의 경우 자신의 간호가치관이나 전문직관이 확고히 다져지기도 전에 간호사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며(Park & Kim, 2000), 이는 간호사가 된 후 자신의 업무에 대한 갈등과 전문직에 대한 자긍심 결여를 초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s, D., & Miller, B. K. (2001).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7(4), 203-210. 

  2. DiLiello, T. C., Houghton, J. D. (2006).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319-337. 

  3. Fero, L. J., Witsberger, C. M., Wesmiller, S. W., Zullo, T. G., & Hoffman, L. (2009).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new graduate and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1), 139-148. 

  4. Ham, Y. S., Kim, H. S., Cho, I. S., & Lim, J. Y. (2011).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538-546. 

  5. Ham, Y. S., & Kim, H. S. (2012).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ticipating graduation according to nursing educational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9(3), 363-373. 

  6. Jeong, G. S., Kim, K. A., & Seong, J. A. (2013).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skil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3), 413-422. 

  7. Joo, M. K., & Shin, G. Y. (2012). Nursing image and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male and female nursing students in colleg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510-521. 

  8. Jung. D. Y. (201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 Nursing Science, 23(1), 13-20. 

  9. Kang, Y. S., Choi, Y. J., Park, D. L., & Kim, I. J. (2010).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2), 143-151. 

  10. Kim, H. K. (2004).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s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1), 25-36. 

  11. Kim, H. S.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t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Soongsil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Kim, M. H. (200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 of nursing as profession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hee University of Korea, Seoul. 

  13. Ko, J. E., Kim, M, H., Kim, E. J., Kim, J. H., Eom, J. E., Lee. H. A., et al (2011). The relation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the Nursing Academic Association of Ewha Womans University, 45(31), 29-44. 

  14. Kwon, Y. M., & Yeun, E. J.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285-292. 

  15. Lee, J. Y., & Cho, M. H. (2012).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3(3.4), 241-253. 

  16. Lee, Y. S., Park, S. H., & Kim, J. K. (2014).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6), 229-240. 

  17. Manz, C. C.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New Jersey: Prentice Hall 

  18. Park, J. H. (2011). Study of abilities required to develop for student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1), 74-87. 

  19. Park, J. W., Kim, C. J., Kim, Y. S., Yoo, M. S., Yoo, H. R., Chae, S. M., et al. (2012).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dership on crit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4(3), 223-231. 

  20. Park, M. A. (2009). Self-leadership, stress o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coping styles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Daegu. 

  21. Park, M. Y., & Kim, S. Y. (2000).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1), 23-35. 

  22. Park, S. H. (1999).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Published Master's thesis, Th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f Korea, Seoul. 

  23. Politis, J. D. (2006). Self-leadership behavioral-focused strategies and team performance: The mediating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 Development, 27(3), 203-216. 

  24. Yang, N. Y., & Moon, S. Y. (2011).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2), 218-225. 

  25. Yang, S. A. (2012).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389-398. 

  26. Yang, S. H., Lee, O. C., Lee. W. S., Yoon J., Park, C. S., Lee, S. J. (2009). Critical disposition and crit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s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49-158. 

  27.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6), 1091-1100. 

  28. Yoon, J.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2), 159-1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