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유형에 따른 상태분노, 우울,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
State Anger, Depression, Resili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School Violence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1 no.2, 2015년, pp.246 - 255  

이용미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박소영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  최명희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states of anger, depression, resilienc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ype of school violence invol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5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집단 유형별(가해, 피해, 가피해, 일반학생) 상태분노, 우울,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집단 유형 별 정신심리적 상태의 차이를 파악하여 학교폭력 집단 유형에 맞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가피해 집단이 가해 집단이나 피해 집단에 비해 분노나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가 더욱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추후 학교 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가해자나 피해자 한 쪽만을 중심으로 한 일률적인 중재가 아닌 대상자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폭력 집단 유형별 정신심리적 상태 정도를 확인하고 집단 유형별 차이를 파악하여 학교폭력 집단 유형에 맞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나아가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가해자, 피해자, 가피해자 및 폭력 경험이 없는 일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심리상태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학교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 폭력의 경험이 없는 일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심리적 상태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추후 중재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 문제는 밖으로 표출된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도 중요하지만 폭력행동 뒤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심리적 문제도 함께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5). 대개 폭력 피해학생은 우울, 불안, 분노 등 내재화된 문제가 심각하며, 가해학생 못지않은 높은 공격욕구를 가지고 있다(Yang & Lee, 2009). 가해학생 역시 겉으로는 강하고 공격적이지만 실제로는 좌절이 많고, 자존감이 낮은 경우가 많아 학교폭력을 경험하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도 정신심리적 문제가 심각할 수 있으며, 특히 가해학생들의 우울과 불안은 문제행동을 통해 밖으로 표출됨으로써 은폐될 가능성이 있다(Song et al., 2004). 즉, 가해 학생과 피해학생의 외부로 표현되는 행동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신심리적 문제는 공통적일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폭력문제는 밖으로 표출된 문제행동을 다루는 것도 중요하지만 폭력행동 뒤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심리적 문제도 함께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한편 학교폭력과 같은 위기상황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중요한 아동과 청소년의 정신심리적 요인 중 하나는 자아탄력성(resilience)과 자아존중감이다. 자아탄력성이란 긴장이 유발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그 이전의 자아통제 수준으로 변화시키고 되돌아 갈 수 있는 역동적인 능력을 말하는데,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동과 청소년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조절능력이 높기때문에 유연하게 반응함으로써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Block & Kremen, 1996). 발달특성상 학령기 아동은 또래를 형성하고 주변 사람들의 수용과 인정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데, 자아존중감이 낮은 경우 자신에 대해 부적절한 감정과 자기비하적인 생각을 하기때문에 초등학생 시기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Jennifer & Natalie, 2008).
초등학생 시기의 낮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인 이유는 무엇인가? 자아탄력성이란 긴장이 유발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그 이전의 자아통제 수준으로 변화시키고 되돌아 갈 수 있는 역동적인 능력을 말하는데,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동과 청소년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조절능력이 높기때문에 유연하게 반응함으로써 효율적인 대처를 할 수 있다(Block & Kremen, 1996). 발달특성상 학령기 아동은 또래를 형성하고 주변 사람들의 수용과 인정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데, 자아존중감이 낮은 경우 자신에 대해 부적절한 감정과 자기비하적인 생각을 하기때문에 초등학생 시기의 낮은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Jennifer & Natali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H., Park, H. J., & Yang, M. K. (2012). Effects of a discovery Program for ego resilience, self-esteem, stress and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3), 210-219. 

  2. Bell, T., Romano, E., & Flynn, R. J. (2013). Multilevel correlates of behavioral resilience among children in child welfare. Child Abuse & Neglect, 37(11), 1007-1020. 

  3.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larifying their conceptual and empirical linkage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4. Busan Ilbo. (2013, March 7). The way to protect my children fr om school violence. Retrieved December 10, 2014, from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30306000024. 

  5. Chang, E. J., Seo, M. J., & Jung, C. H. (2001). The study of relation to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depression and parents'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2(2), 245-255. 

  6. Cho, J. S., & Cha, M. H. (2010). Create a non-violent, peaceful schools: school violence, led to the reconciliation procedure and coping skills Guidebook. Seoul: Hakjisa. 

  7. Cho, S. C., & Lee, Y. S.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4), 943-956. 

  8. Choi, Y. H., Park, Y. Y., Park, I. J., & Shin, M. S. (2002).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2), 203-214. 

  9. Chon, K. K., Hahn, D. W., Lee, C. H., & Spielberger, C. D. (1997).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 60-78. 

  10. Han, I. Y., Park, M. S., Yoo, S. K., & Kim, K. H. (2008). National survey of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t elementary school: Retrospective reports by adul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1), 155-167. 

  11. Hong, S. J.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age children's level of household income and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12. Jennifer, S., & Natalie, C. A. (2008). The Effects of Childhood Stress on Health Across the Lifespan. Project Report. Atlanta: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 107-130. 

  14. Kim, J. H. (2005). Types of the bully, the victim and bully/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nd relations of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Kovacs, M. (1983).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 self-rated depression scale for school-based youngsters.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16. Lee, E. H., & Park, H. O. (2014). Effects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youth: The rol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2), 399-426. 

  17. Lee, H. K., & Kim, H. W. (2001).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redicting elementary students' school bullying behaviors: On the bases of their gender and grad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1), 117-138. 

  18. Lee, M. K., & Hong, S. H. (2007). Development of a cognitive-behavioral anger control program and it's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der the anger-Inducing situ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School, 4(11), 1-22. 

  19. Mendelson, T., Turner, K. A., & Tandon, S. D. (2010). Violence exposur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isconnected from school and work.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8(5), 607-621. 

  20. Moon, Y. L., Kim, J. H., Im, Y. S., Kwak, K. J., Choi, J. Y., Park, B. S., et al. (2006).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seling. Seoul: Hakjisa. 

  21. Muris, P., Meesters, C., Morren, M., & Moorman, L. (2004). Anger and hostility in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self-reported attachment style and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7, 257-264. 

  22. Olweus, D. (1986). The Olweus Bully/Victim Questionnaire. Mimeo. Bergen, Norway: University of Bergen. 

  23. Park, Y. J., Park, E. S., Kim, S. J., Yang, S. S., Shin, H. J., Im, H. S., et al. (2005). Anger and health status in late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5), 888-895. 

  24. Perry, D., G., Williard, J. C., & Perry, L. C. (1990). Peer's perception of the consequences that victimized children provide aggressors. Child Development, 61, 1310-1325. 

  2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Son, W. K. (1998). A study on bully/victim students' social support perception in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Pusan. 

  27. Song, D. H., Sung, J. H., & Song, J. E. (2004).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relating adolescent delinquency in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3 (1), 68-74. 

  28. Spiel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 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New York: Springer-Verlag. 

  29. Yang, Y. K., & Lee, C. S. (2009). The effects of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school violence attitudes, anger, and aggress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4), 369-378. 

  30. Yoo, S. L., Eurm, H. J., & Park, J. G. (2011). The role of ego-resilience in associations between self-efficacy, stress, and self-esteem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etting.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2(4), 169-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