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개념도작성도구의 비교 분석 및 고찰
A comparative analysis on concept mapping tools fo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8 no.3, 2015년, pp.37 - 47  

이효진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  정승희 (진형중고등학교) ,  양선영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  은지혜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김경진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  김동식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목적 및 지원양식 등이 상이한 개념도 작성도구들을 비교 분석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원도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개념도작성도구(Convince Me, Knowledge Forum, Cmaptools, Mindmeister, Belvedere)를 선정하고, 도구의 사용목적 및 설계원리에 대한 선행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휴리스틱 평가와 F.G.I.를 통해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효과적인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개념도 작성도구 설계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개념도 작성 도구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지원하고 있었으나 조정과 협동차원의 지원은 미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mapping tool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tools that support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representative concept mapping tools - Convince Me, Knowledge Forum, Cmaptools, Mindmeister, Belvedere - was analyzed by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양한 컴퓨터기반 학습지원도구 중개념도 작성의 대표적인 도구 5개를 선정하여 협력학습 상황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3C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효과적인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조정, 협력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스마트 기기를 기반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동시적 상호작용을 지원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의 학습을 지원하는 기존 개념도 작성 도구를 분석함으로써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개념도작성도구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설계원리는 다음과 같다(<표 3> 참고).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으로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개념도 작성 도구의 설계원리를 도출하기 위해 현존하는 대표적인 개념도 작성 도구를 커뮤니케이션, 조정, 협동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성공적인 협력학습결과에 이르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필요와 상황에 맞게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4].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목적과 지원양식 등이 상이한 다양한 개념도 작성도구를 비교ㆍ분석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원도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넷째, 조정 차원에서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개념도 작성 도구들은 커뮤니케이션 차원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으나 조정과 관련된 기능은 부재하였다.
  • 둘째,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지원해야 한다. 학습자들은 기존의 선형적인 대화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면서 자료들을 조직하는 것을 선호한다[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nvince Me는 어떤 장점이 있는가? TEC는 사람들이 설명이나 논증에서 주장한 의견에 대한 타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며 [11], ECHO는 제안된 주장을 나타내는 유닛을 생성하고, TEC에 근거하여 주장 간 관계를 나타내는 링크를 생성한다. ‘Convince Me’를 통해 학습자들은 논증을 통해 주장과 증거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생각하게 되며, 텍스트와 다이어그램으로 외현화하는 과정을 통해 추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ECHO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본인의 논증을 수정하게 됨으로써 논증을 정교화할 수 있다.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을 지원해주는 지원도구는 무엇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가? 컴퓨터기반 협력학습(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환경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의견을 조율하며,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 이러한 과정을 지원해주는 지원도구는 팀 구성원들의 생각을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하느냐에 따라 텍스트형, 나선형, 개념도형, 박스형, 매트릭스형로 나누어질 수 있다[2]. 그중에서도 개념도형은 개념에 대한 높은 이해를 이끌어 내고, 개념에 대한 집중적인 대화를 유도하며,토론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2][3].
개념도 작성도구는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8]의 개념도 작성 도구 분류를 기반으로 분석 도구를 선정하였다. [8]에 따르면, 개념도 작성도구는 의사결정도구(decision making tools), 의미적 네트워킹 도구(semantic networking tools), 개념도 도구(concept mapping tools), 마인드 맵핑 도구(mind mapping tools), 외현화 도구(visualization tools)로 나누어지며, 각각은 사용목적과 표현형태, 지원하는 인지적 과정 등이 상이하므로 각각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유형별 인지처리 및 협력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의 연구에서 보고된 최신 컴퓨터기반 학습 지원도구 50개 중 개념도 작성도구만 선별하였으며, 그 중에서 [8]의 5개 유형에 가장 적합한 도구를 각 1개씩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lloffel, B., Eysink, T. H., & de Jong, T.(2011). Comparing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tools in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inquiry learning. Int'l J. of CSCL. 6(2). 223-251. 

  2. Scheuer, O., Loll, F., Pinkwart, N., & McLaren, B. M. (2010). Computer-supported argumentation: A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Int'l J. of CSCL. 5(1), 43-102. 

  3. 정선영(2007). 예비교사들의 학습스타일과 협력적 개념도 작성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3(4), 55-77. 

  4. Suthers, D., & Hundhausen, C. (2003).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guidance on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2), 183-219. 

  5. van Amelsvoort, M., Andriessen, J., & Kanselaar, G. (2007). Representational tools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argumentation-based learning: How dyads work with constructed and inspected argumentative diagram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6(4), 485-521. 

  6. Rummel, N., & Spada, H. (2005). Learning to collaborate: an instructional approach to promot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computer-mediated settings. Journal of learning sciences, 14(2), 201-241. 

  7. Jorczak, R. L. (2011).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on divergence and converg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Int'l J. of CSCL. 6(2), 207-221. 

  8. Coffey, J. W., Carnot, M. J., Feltovich, P. J., Feltovich, J., Hoffman, R. R.. Canas, A. J., & Novak, J. D. (2003). A Summary of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Use of Concept Mapping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Education and Performance Support. Technical Report submitted to the Chief of Naval Education and Training, Pensacola, FL. 

  9. 정효정, 김동식 (2006). CSCL에서 WOE의 유형이 지식 공유 과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2(3), 23-56. 

  10. Ranney, M., & Thagard, P. (1988). Explanatory coherence and belief revision in naive physics. Proceedings of the T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426-432 

  11. Ranney, M., & Schank, P. (1998). Toward and intergreation of the social and the scientific: Observing, modeling, and promoting the explanatory coherence of reasoning. In S. Read & L. Miller(Eds.), Connectionst models of social reasoning and social behavior. (pp. 245-274). Mahwah, NJ: Lawrence Erlbaum. 

  12. Scardamalia, M., & C. Bereiter. (1994). Computer support for knowledge building communitie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3(3), 265-283. 

  13. Lee, E. Y., Chan, C. K., & van Aaslt, J. (2006). Students assessing their own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Int'l J. of CSCL. 1(1), 57-87. 

  14. Lai, M., & Law, N. (2011). Questioning and the quality of knowledge ideas in a CSCL context: a study on two age group of students. Proceedings of 2011 CSCL (pp. 33-40), July 4-8 2011, Hong Kong. 

  15. Novak, J. D. (1990). 'Concept mapping: a useful tool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0), 937-49. 

  16. Hough, S., O'Rode, N., Terman, N., & Weissglass, J. (2007). Using concept maps to assess change in teachers' understandings of algebra: A respectful approach.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1), 23-41. 

  17. MindMeister, "MindMeister", "About Us", http://www.MindMeister.com, (2014.12.15.) 

  18. Kim. K., Eun, J., Kim, D.(2014). Development of social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digital literacy. 학습과학연구, 8(1), 1-17. 

  19. 전재천, 유인환(2014).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웹2.0 도구의 활용 모형.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2), 345-356. 

  20. Medina, R., & Suthers, D. D. (2009). Using a contingency graph to discover representational practices in an online collaborative environment. Research and Practice i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4(3), 281-305. 

  21. Suthers, D. D., Connelly, J., Lesgold, A., Paolucci, M., Toth, E., Toth, J., et al. (2001). Representational and advisory guidance for students learning scientific inquiry. In K. D. F. a. P. J. Feltovich (Ed.), Smart machines in education: The coming revolution in educational technology (pp. 7-35). Cambridge, Massachusetts: AAAI Press, The MIT Press. 

  22. Nielsen, J.(1994). Heuristic evaluation. In Nielsen, J., and Mack, R. L. (Eds.), Usability Inspection Methods. 

  23. Fuks, H., Pimentel, M., Jose, C., & Lucena, P. (2006). R-U-typing-2-me? evolving a chat tool to increase understanding in learning activities. Intl. J. of CSCL. 1(1). 117-142. 

  24. Meier, A., Spada, H., Rummel, N.(2007). A rating schem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cesses. Int'l J. of CSCL. 2(1), 63-86. 

  25. 장혜정, 류완영(2006). 탐구기반학습에서 성찰적 탐구 지원도구의 설계연구. 교육공학연구, 22(2), 27-67. 

  26. Cochrance, T., & Bateman, R. (2010). Smartphones give you wings: Pedagogical affordances of mobile Web 2.0.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1-14. 

  27. Stegmann, K., Mu, J., Gehlen-Baum, V., & Fischer, F.(2011). The Myth of Over-scripting: Can novices be supported too much?. Proceedings of 2011 CSCL(pp.406-413), July 4-8 2011, HongKong. 

  28. Belland, B. R.(2014). Scaffolding: definition, curr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in J. M. Spector et al(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pp.505-518), NY: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