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위한 표상도구설계
The design of representation tool for constructing shared knowledge in CSCL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9 no.2, 2016년, pp.73 - 85  

신윤희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  김동식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컴퓨터기반 협력학습도구를 사용하여 한 공간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토의하고자 할 때, 작성된 글이 과제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서로의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도출된 원리를 기반으로 협력표상도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도구는 평가 준거에 따른 체크리스트와 F.G.I를 통해 교수자, 설계자, 학습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반복 조정되었다. 최종 조정된 도구는 복합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상황에서 학습자 간 지식 및 의견을 공유하는 데 방해요소를 최소화하여 협의를 촉진하고 고차원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using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ol where learners with different perspective are discussing in the same place, it is difficult to catch connection between specific pos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written message by learners, share each other knowledge and opinion.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살펴본 표상도구 활용에서의 공유지식 형성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상호활동에서의 정확한 공유를 위해 연결된 형태의 주석(댓글)기능을 도구전반에 접목하고 팀원 간 공유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각 공유 활동이 독립적이지 않고 협력 학습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념 공유, 의견공유 및 문제해결 단계로 학습단계를 구분하고, 도구기능도 각 단계에 맞게 차별화하고자 한다. 설계된 도구는 온라인 협력학습 상황에서 공유 활동의 정확성을 촉진하고 의미 있는 상호활동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협력지식의 수준도 높여줄 것이라 기대한다.
  • 종합해보면 공동지식구축과정에 따른 기존 표상도구를 분석한 결과, 분석 도구 중 협의수준과 공유정도를 각각 고려하는 경우는 일부 있었지만 협의수준을 고려하고 이에 따른 공유정도를 함께 고려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구의 공통된 장점은 반영하되 협의수준과 공유정도를 모두 고려한 표상도구를 설계함으로써 공유지식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고차원의 협력지식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도구 중에서 학습내용을 구조화하고 가시화함으로써 팀원 내 공유와 협의를 촉진하는 표상도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표상도구는 학습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개념도, 표, 주석(댓글)등으로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협력학습에서 공유 활동을 촉진하고 효과적인 협력지식을 도출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 표상도구를 프로토타입 수준에서 설계하였다.
  • 본 연구는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도구를 설계하기 위하여 도구설계 연구를 실시하였다. 도구설계 연구는 교육효과와 어떤 특정 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수가 작용하는 교육환경 및 학습도구와 연관 지어 효과성을 검증할 때 최대의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는 관점의 연구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구세부기능의 구체화와 과제확정에 앞서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도구설계원리에 따른 도구의 주 기능과 과제의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자 2명, 컴퓨터기반 학습 환경 설계자 2명, 학습자 2명에게 1차 설계도구의 구성 및 활용측면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의 CSCL도구분석의 목적은 기존에 설계된 표상도구의 각 유형별 장단점을 파악하고, 공유지식 형성과정을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에 접목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 유형과 기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Suthers 등(2003)연구에 기반하여 표상도구 유형을 개념도, 표, 문자로 구분하였다[11].
  • 앞에서 살펴본 표상도구 활용에서의 공유지식 형성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상호활동에서의 정확한 공유를 위해 연결된 형태의 주석(댓글)기능을 도구전반에 접목하고 팀원 간 공유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각 공유 활동이 독립적이지 않고 협력 학습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념 공유, 의견공유 및 문제해결 단계로 학습단계를 구분하고, 도구기능도 각 단계에 맞게 차별화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상도구의 주목적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도구 중에서 학습내용을 구조화하고 가시화함으로써 팀원내 공유와 협의를 촉진하는 표상도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표상도구는 학습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개념도, 표, 주석(댓글)등으로 생각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다른 유형의 도구에 비해 표상도구는 협력학습 성패를 정하는데 관건이라 할 수 있는 공유 활동에 초점을 두어 팀원 간에 정확한 공유가 이루어지 도록 하며, 특히 학습초반에 서로 다른 지식을 갖고 있는 학습자들 간 개념학습단계의 공유를 촉진한다[1][4].
표상활동이란 무엇인가? 학습자가 학습을 통해 습득한 내용을 글 또는 그림으로 표현하는 등 학습자의 머릿속에 내재되어있는 것을 외현화하는 총체적인 활동을 표상활동이라 하며 이를 지원하는 도구를 표상도구 (Representation tool)라 한다. 학습과정에서 학습자는 문제요소나 해결전략들에 대한 사고과정을 모두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해결전략에 요구되는 중요개념이나 의견 등을 개념도, 스케치(그림), 다이어그램, 표, 주석 등 가시화할 수 있는 표상도구를 활용해 표현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rschner & Erkens. (2013). Toward a framework for CSC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48(1), 1-8. 

  2. Fransen, J., Weinberger, A., & Kirschner, P. A. (2013). Team effectiveness and team development in CSCL. Educational psychologist, 48(1), 9-24. 

  3. Jorczak, R. L. (2011).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on divergence and converg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6(2), 207-221. 

  4. Slof, B., Erkens, G., & Kirschner, P. A. (2011). Constructing part-task congruent representations to support coordination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asks. Proceddings of 2011 CSCL(264-271), July 4-8 2011, Hong Knog. 

  5. van Bruggen, J. M., Kirschner, P. A., & Jochems, W. (2002). External representation of argumentation in CSCL and the management of cognitive load. Learning and Instruction, 12(1), 121-138. 

  6. Levesque, L. L., Wilson, J. M., & Wholey,D. R. (2001). Cognitive divergence and shared mental models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tea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2), 135-144. 

  7. Eryilmaz, E., van der Pol, J., Ryan, T., Clark, P. M., & Mary, J. (2013). Enhancing student knowledge acquisition from online learning convers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8(1), 113-144. 

  8. Chuy, M., Zhang, J., Resendes, M., Scardamalia, M., & Bereiter, C. (2011). Does contributing to a knowledge building dialogue lead to individual advancement of knowledge. Proceedings of 2011 CSCL, July 4-8 2011, Hong Knog. 

  9. DeChurch, L. A., & Mesmer-Magnus, J. R. (2010). Measuring shared team mental models: A meta-analysi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4(1), 1. 

  10. Kolloffel, B., Eysink, T. H., & de Jong, T. (2011). Comparing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tools in collaborative and individual inquiry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6(2), 223-251. 

  11. Suthers, D. D., & Hundhausen, C. D. (2003).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presentational guidance on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e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2), 183-218. 

  12. Gibson, C. B. (2001). From knowledge accumulation to accommodation: Cycles of collective cognition in work group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2), 121-134. 

  13. Beers, P. J., Kirschner, P. A., Boshuizen, H., & Gijselaers, W. H. (2005, May). Coerc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SCL 2005(8-17), May 30-June 4, 2005. Taipai. 

  14. Levesque, L. L., Wilson, J. M., & Wholey, D. R. (2001). Cognitive divergence and shared mental models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tea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2), 135-144. 

  15. Clark, H. H., & Brennan, S. E. (1991). Grounding in communication. Perspectives on socially shared cognition, 13, 127-149. 

  16. Bell, P. (2004). On the theoretical breadth of design-based research in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9(4), 243-253. 

  17. Engelmann, T., & Hesse, F. W. (2010). How digital concept maps about the collaborators' knowledge and information influence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5(3), 299-319. 

  18. Scheuer, O., Loll, F., Pinkwart, N., & McLaren, B. M. (2010). Computer-supported argumentation: A review of the state of the ar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5(1), 43-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