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지역 개발협력을 위한 국토종합구상 연구
A Study on Comprehensive Planning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n North Korean Region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6 no.2, 2015년, pp.89 - 99  

김두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북한연구센터) ,  최대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정연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국토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는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북한 국토개발의 기본 관점은 어떠해야 하는가. 남북협력이 본격화 하지 않은 시점에서 북한지역 국토종합구상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그 내용은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이 연구는 남북협력과 통일에 대한 국토 도시계획 분야의 연구가 본격화 하는 시점에서, 이 같은 기본적 물음에 대한 고찰과 시론적 북한 국토구상 제시를 통해 향후 관련 학술적 실천적 논의와 연구에 기여하고자 했다. 먼저 남북관계가 한국의 공식 통일방안에 근거하여 '화해 협력', '남북연합' 단계를 거쳐 '통일국가'로 나아가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북한 개발구상의 기본 관점으로 협력과 공진의 관점, 미래지향적 지속가능발전 관점 그리고 산업 SOC 병행 발전 관점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토현황 분석에서 좁게는 북한지역, 넓게는 한반도 전체와 필요한 경우 동북아지역까지 일부 포함한 지역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부문과 권역별 분석을 통해 북한 개발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한 SWOT 분석을 통해 북한 개발의 기본방향을 도출하였다. 국토구상에서는 여건분석을 통해 확인한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국토비전과 목표, 전략과 함께 국토공간구조 구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산업, 도시, 교통, 환경 부문의 발전방향과 지역별 개발방향을 구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at is a role of the studies on spatial planning of Korean peninsular and its cities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between and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here should the basic perspectives be oriented for the process? Can a comprehensive plan of North Korea have practical implication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경북도의 지리적 단점은 무엇인가? 함경북도는 북한의 북동부에 위치하여 중국 동북지방 및 러시아와 국경을 맞닿아 있는 접경지역으로 3국간 국제적 교류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90% 이상이 산악지형으로 개발가능지가 협소하고, 육상교통이 발달하지 않아 타 지역과 교통연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량강도는 백두산 천지를 비롯한 절경과 개마고원·백무고원 등 독특한 생태환경을 갖추고 있어 관광 및 산림자원의 개발 잠재력이 높다.
계획에 대한 개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국토‧도시계획 분야의 연구는 남북간 정치적 합의나 결정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미리 준비한다는 의미도 있고, 바람직한 정치적 합의나 결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는 의미도 있다. 전통적 ‘계획’(planning)은 정치적으로 결정된 ‘목적’을 달성하는 적합한 ‘수단’을 탐색하는 과정에 한정되었지만, 협력적 계획, 참여적 계획 등 최근 다양한 계획 경향은 바람직한 정책목적 구성의 일부를 계획과정에 포함하고 있다. 국토‧계획 분야 연구는 특히 갈등과 협력 개념을 계획과정에 포함함을 통해 이념과 체제, 정치적 의사결정구조의 다름과 경제적 수준 차이가 극심한 남북 간 협력 문제에 대해 다른 분야보다 더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북 협력과 통일과정에서 국토‧도시계획 분야의 연구는, 어떤 의미가 있나? 통일과정이 공간적으로 단절된 국토를 다시 잇는 과정에 다름 아님을 생각할 때, 국토‧도시계획 분야에서 남북협력과 통일 연구가 본격화 하고 있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남북협력과 통일과정에서 국토‧도시계획 분야의 연구는 남북간 정치적 합의나 결정을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미리 준비한다는 의미도 있고, 바람직한 정치적 합의나 결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는 의미도 있다. 전통적 ‘계획’(planning)은 정치적으로 결정된 ‘목적’을 달성하는 적합한 ‘수단’을 탐색하는 과정에 한정되었지만, 협력적 계획, 참여적 계획 등 최근 다양한 계획 경향은 바람직한 정책목적 구성의 일부를 계획과정에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권석균, 이경묵, 이병철, 조봉현(2009), 통일, 기업에 기회인가 위기인가,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2. 김천규, 이상준, 문정호, 김대중(2011), 북한.중국.러시아접경 지역의 산업입지.기반시설 개발잠재력 분석과 대응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3. 대한민국 정부(201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4. 양문수, 김석진, 임강택, 조봉현, 이석기(2013), 북한 경제 쟁점분석, 산업연구원. 

  5. 이상준, 김성일, 김근용, 안홍기, 조진철(2008), 한반도 공동번영을 위한 국토분야 대응방안, 국토연구원. 

  6. 이상준, 정일호, 김원배, 권영섭, 서민호(2009), 한반도의 비전과 개방형 국토발전전략, 국토연구원. 

  7. 이상준, 정일호, 권영섭, 안홍기, 서민호(2010), 동북아 협력시대의 한반도 서해안권 종합발전 구상 - 산업입지 및 교통인프라개발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8. 이상준, 김천규, 박세훈, 신혜원(2011), 통일 한반도 시대에 대비한 북한 주요거점의 개발잠재력과 정책과제(I), 국토연구원. 

  9. 이상준, 김천규, 박세훈, 신혜원(2012), 통일 한반도 시대에 대비한 북한 주요거점의 개발잠재력과 정책과제(II), 국토연구원. 

  10. 이석기, 김석진, 정근주(2013), 북한의 산업발전 잠재력과 남북협력과제: 경제특구, 경공업 및 IT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11. 조동호 편(2012), 공진을 위한 남북경협 전략 : 보수와 진보가 함께 고민하다, 서울: (재)동아시아연구원. 

  12. 조봉현(2014), 경제특구 개발에 나선 김정은, 월간북한, 2014년 2월호. 

  13. 통계청(2013), 2013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14. 통일뉴스(2014.7.24), 북, 평양 '첨단기술개발구' 등 6개 경제개발구 추가 지정. 

  15. 평화문제연구소(2006), 조선향토대백과(전20권). 

  16. 하영선, 조동호 공편(2010), 북한 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 서울: (재)동아시아연구원. 

  17. 한국정책금융공사(2010), 북한의 산업. 

  18.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9), DPR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Pyongyang, DPR Korea. 

  19. Goldman Sachs (2009), "A United Korea?: Peassessing North Korea Risks(Part I)", Global Economics Paper No:188. 

  20.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홈페이지(http://ecos.bok.or.kr) 

  21. 환경부 환경공단정보서비스 홈페이지(http://egis.me.go.kr/main.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