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중 접경지역 경제협력 현황과 참여방안
Status and Participation Plan of Economic Coorperation in Border Region of N.Korea and China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6 no.2, 2015년, pp.79 - 88  

윤승현 (중국 연변대학교 동북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 5월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은 중국 베이징방문을 통하여 북 중 경협 강화와 경제특구 개발 가속화를 위해 라선과 황금평 위화도를 개발하기로 후진타오 주석과 공동인식을 달성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조중 공동개발 공동관리 라선경제무역지대와 황금평 경제지대"이다. 그러나 북 중 접경지역 경제협력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발전과 변화를 기대했으나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과 더불어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을 비롯한 중국 5세대 지도부의 북한에 대한 태도는 과거와 다른 냉랭함이 묻어 나오고 있다. 이는 북 중 관계의 흐름이 과거와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황금평 경제지대 개발이 문서에만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러한 흐름을 발견할 수 있다. 라선경제무역지대의 경우 조중 공동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일정한 수준의 발전과 변화를 보이고 있고, 최근에는 훈춘과 하산지역을 포함한 3국 국경 없는 국제관광구 등의 추진을 중국과 러시아에서 발표하고 있다. 물론 라선지대 개발계획에 비추어 그 변화는 상대적이지만 천천히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남 북 중 3자 협력의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라선지역을 북한의 라선이 아니라 라선특별시 즉, 개방도시로 접근한다면 '5.24 조치'를 우회할 수 있는 길을 찾게 될 것이다. 이는 한 중 간 남 북 중 협력을 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북 중 간에도 우리가 남 북 중 협력을 논의하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블루오션을 구상하고 개척하기 위해 개방형 복합국가발전전략을 현실화시키는 전략적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th Korean leader Kim, Jung-Il visited Beijing, China, May 2010, when he made a common recognition with Chinese President Hu Jintao on construction of the Rasun SEZ and the Hwanggumpyong-Wyhwado SEZ for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N.Korea and China and accelerating establishmen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내용에는 이론적 전개를 통한 결론을 도출해 내는 연구와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역조사 및 인터뷰 등을 포함하여 제언하는 형식을 갖춤으로써 연구자의 견해를 밝히고 이에 따른 결론을 도출해 내도록 하였다.
  • 마지막으로 북·중 접경지역 경제협력 참여방 안으로 조중공동관리위원회의 한국 지역정부 참여를 논하고자 한다.
  • 이러한 변화에 따른 북·중 관계의 최근 상황이 새롭게 정리된다면 북· 중 접경지역 경제협력이 과거와 다른 새로운 출발 무대에 서있게 될 것이고, 이는 남·북·중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색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 제2장에서는 중국 지도부의 대북한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비교적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따른 북·중 관계의 최근 상황이 새롭게 정리된다면 북· 중 접경지역 경제협력이 과거와 다른 새로운 출발 무대에 서있게 될 것이고, 이는 남·북·중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색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정부는 경제무역의 메커니즘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양국의 무역투자환경을 개선해 나갈 것이다. 넷째, 양국의 성과 도 간 경제무역 협력의 확대와 심화에 전력을 다 할 것이다. 동북노후공업기지와 창지투개발 개방선도구 등 국가전략에 의거하여 그리고 두 경제구의 개발, 랴오닝과 지린 등 변경지역의 성과 북한의 연관도 간의 협력을 확대 심화 시켜야 한다.
  • 산업구의 기초 환경을 건설하고, 관련 계획과 각 프로젝트 투자에 대한 우대정책, 시작된 프로젝트의 빠른 효과는 두 경제구가 북·중 경제 무역협력의 시범구로서 또한 세계 각국 및 지역에 새로운 경제무역의 중요한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양국의 무역 투자 증가는 좋은 모멘텀을 유지시킬 것이다. 중국측 기업의 대북한 경제협력 확대는 양국의 무역과 투자 구조를 보다 발전시킬 것이며, 대규모 프로젝트 연구, 양국 국정의 새로운 방식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실천하여 새로운 협력을 이끌어낼 것이다.
  • 중국측 기업의 대북한 경제협력 확대는 양국의 무역과 투자 구조를 보다 발전시킬 것이며, 대규모 프로젝트 연구, 양국 국정의 새로운 방식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실천하여 새로운 협력을 이끌어낼 것이다. 셋째, 기업이 북한 경제무역 협력의 주체로 작용할 것이다. 기업은 대북한 협력의 중심에서 시장규칙과 양국의 법률법규를 준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선지역에 한국공단 건설을 진행하려는 이유는? 또 하나는 좀 더 진전된 틀로서 조중공동관리위원회의 중국측 위원회에서 경영하고 있는 라선지역에 한국공단 건설을 진행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소위 말하는 제2의 개성공단 인데, 라선특구에 한국공단이 조성되면 북측 인력 활용은 물론 동북아 물류 시장까지 선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 이다. 라선지역 개발의 가치는 역외가공을 통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제고, 제조·물류·관광이라는 다자간 국제협력 도모, 남북·중 경협 활성화를 통한 통일기반조성 및 동북아시장 진출의 기회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중국과 북한은 어떤 관계로 알려져 왔나? 그동안 중국과 북한은 전통적으로 순망치한(脣亡齒寒)의관계로 알려져 왔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릴 정도로 북·중관계는 긴밀했다.
3국 협력론이라는 측면에서, 북·중·러 3국의 ‘국경 없는 국제관광구’ 추진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봐야하는 이유는? 이에 따라 본 발표는 국가행위의 3국 협력론이라는 측면에서 그 가능성을 열어두고 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라선지역을 북한의 라선이 아니라 라선특별시 즉, 개방도시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평가는 표 6의 정리를 통해서 방직의류, 관광, 농수산물가공, 물류유통, 기초시설 건설, 교육 양성, 관리 협력 등의 영역에서 우선하여 경제협력이 진행될 것으로 분석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철(2011), "東北亞地域經濟合作的發展趨?與朝鮮的作用", 지린성사회과학원 포럼. 

  2. 박병광(2010),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차 핵실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1): 55-78. 

  3. 배정호 등(2009),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전략적 과제와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전략, 통일연구원. 

  4. 윤승현(2012), "북한의 개혁.개방 촉진을 위한 중국의 역할", 2012 북한 개혁.개방 국제공동학술회의(김정은 체제의 개혁개방 가능성: 평가와 전망). 

  5. Yoon, Seung-Hyun and Seung-Ook Lee (2013), "From old comrades to new partnerships: dynamic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179(1): 19-31. 

  6. 中國經濟周刊, 2012.11.26, 46期. 

  7. 연합뉴스(www.yonhapnews.co.kr). 

  8. chinanews(http://www.chinanews.com). 

  9. The Economist(http://www.economist.com). 

  10. xinhuanet(http://www.xinhuanet.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