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Job Stres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2, 2015년, pp.103 - 113  

진수진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  이지현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al model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job stress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based on the Integrated model of stress of Ivancevich and Matteson (1980).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nurses at ICU. The data were col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모델에서는 조직 내 변인으로서 물리적 환경 및 개인, 집단, 조직 등의 변인을 포함시키고 있는데 생리적, 행동적 변인과 결과에 대한 관계를 명확히는 밝혀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Lee, 2005), 본 연구는 스트레스 통합모델을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선행 요인 중 조직 내 변인으로 간호업무환경,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쉽, 개인차 변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와 요인, 관계연구가 거의 대부분이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하는 선행 요인을 통합적으로 밝힌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 있는 변인들을 기초로 하여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직 ․ 간접적 영향력을 검증한 후, 직무 스트레스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과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Ivancevich와 Matteson (1980)의 스트레스통합모델과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역할갈등이 자아존중감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매개변수로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하는 요인을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파악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Ivancevich와 Matteson (1980)의 스트레스 통합모델과 문헌고찰을 근거로 하여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의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인 이유는 무엇인가?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환자실의 특성상 위기에 처한 환자에게 의학적, 간호학적 기술을 제공하고, 다양한 환자요구에 대처해야 하므로 일반병동 간호사와는 달리 정신적 ‧ 육체적 직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Baek, 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사기를 저하시키고, 높은 이직률의 원인이 되며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간호조직 목표달성을 위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데 장애요소가 되며, 간호사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Kim, 2010). 따라서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환자실의 특성상 위기에 처한 환자에게 의학적, 간호학적 기술을 제공하고, 다양한 환자요구에 대처해야 하므로 일반병동 간호사와는 달리 정신적 ‧ 육체적 직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Baek, 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사기를 저하시키고, 높은 이직률의 원인이 되며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간호조직 목표달성을 위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데 장애요소가 되며, 간호사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Kim, 2010).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십, 자아존중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둘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환경,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십, 자아존중감,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 스트레스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간호업무환경은 직무 스트레스에 직접적 영향을 주며,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갈등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변혁적 리더십은 직접적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하며,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직무 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생변수인 자아존중감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직 자아 개념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thur, D. (1990). The development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Master of educational Thesis, University of Newcastle, Australia. 

  2. Arthur, D. (1992).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7, 712-719. 

  3. Baek, M. W. (2007).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of the nurses in ICU and cancer ward.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10(2), 81-89. 

  4.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 New York: Free Press. 

  5. Chang, S. J., Kang, D. M., Kang, M. G., Koh, S. B., Kim, S. A., Kim, S. Y., et al. (2004). Standardization of job stress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2nd year project. Incheo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6. Gill, A., Flaschner, A. B., & Bhutani, S. (2010).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employee job stress. Business and Economics Journal, 6, 1-11. 

  7. Ha, N. S.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nurse's decision making style perceived by nurses and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in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1), 61-71. 

  8. Her, S., Kim, K. H., & Oh, H. S. (2012). A study on work condition, stres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4(4), 327-338. http://dx.doi.org/10.7475/kjan.2012.24.4.327 

  9. Ivancevich, J. M., & Matteson, M. T. (1980). Stress and work: A Managerial Prespective. Scott, Foresman and Company, 18-19. 

  10. Kim, J. R. (2010). A study on self-esteem, role conflict, work stress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1. Kim, J. Y., & Hong, J. Y. (2007). Self-leadership,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2), 187-190. 

  12. Kim, K. H. (2012). Relationship among nurses'perception of accreditati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in an accredited healthcare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K. S., & Kim, S. L. (2013). Factors related to the job stress of home health care nurses at health center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 44-52. 

  14. Kim, M. S., & Park, S. Y. (1994). The role of the nurse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conflic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4), 741-750. 

  15. Kim, S. J., Choi, M. S., & Sung, K. W.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9-39. 

  16. Kim, Y. J., Song, H. K., & Lee, M. A. (2011). Perceived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head nurse's leadership, and nursing clinical competency by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1):86-105. 

  17. Lake, E. T.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5, 176-188. 

  18. Lee, H. S. (2013). Effect of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elf esteem on mental health among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3), 251-259.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3.251 

  19. Lee, J. H.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instruments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occupational stresses.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6(2), 53-85. 

  20. Lee, M. Y., & Kim, K. H. (2012).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2), 166-175. 

  21. Moustaka, E., & Constantinidis, T. C. (2010). Sources and effects of work-related stress in nursing. Health Science Journal, 4, 210-216. 

  22. Najimi, A., Goudarzi, A. M., & Sharifirad, G. (2012). Causes of job stress in nurse: A cross-sectional study.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17(4), 301-305. 

  23. Park, H. S., & Gang, E. H.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the coping of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810-821. 

  24. Park, J. H., Park, E. C., Ham, M. I., Park, J. H., Lee, H. Y., Won, Y. J., et al. (2009). Study on inequalities in relation to accesibility of cancer patients by regions. National Cancer Center, 1-126. 

  25. Sung, M. H. (2006). A comparative study o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nurses in ICU and nurses in general war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104-112. 

  26. Sung, M. H., & Oh, M. O.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1), 107-115. 

  27. Sung, M. H., Kim, Y. A., & Ha, M. J. (2011).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esteem to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4), 547-555. 

  28. Yang, J. D., & Jeong, Y. J. (2012).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The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2(1), 177-198. 

  29. Yoon, S. H. (2004).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ness: A survey on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7(3), 451-466. 

  30. Yi, Y. J., & Lee, B. K. (2013). Research trend of nurses' job stress: A comparative study.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1), 13-23.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13 

  31. Yu, I. A. (2012). Effects of elderly care facilities care helpers' working environment on job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