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5, 2015년, pp.79 - 88  

김흥수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조경제는 아이디어가 대중화되고 사업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이디어의 사업화는 창조경제를 발전시키는 선순환 도구이며 이를 위한 기업가정신과 창업은 창조경제의 핵심동인으로 작용한다. 창조경제에서는 경제주체들의 창의성이나 지적재산권 등이 소득과 고용창출을 이끄는 비즈니스가 발전하고,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된다.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은 항상 20대의 젊은 청년들로부터 많이 나왔다. 그렇기에 젊은 시절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 그리고 쉽게 창업할 수 있는 풍토는 좀 더 많은 우수한 인재들을 창업의 길로 이끌고 바로 그들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제품과 서비스는 국가 경제를 한층 젊고 활기차게 만든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 구축과 함께 창조경제 생태계를 완성시키는 교육과정 개발 역시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그 중 창조경제시대에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창업교육 교육과정의 개발은 최우선 순위인 것이다. 융 복합 창업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임을 고려해 본 연구는 기초통계연구를 통해 프로세스 중심의 융 복합 창업교육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eative economy has been characterized by ideas popularized commercializa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idea is to develop a creative economy virtuous circle tool, entrepreneurship and start-ups for this serves as a key driver of the creative economy. Convergence, complex thinking and crea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증연구가 미진한 융·복합 창업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임을 고려해 본 연구는 기초통계연구를 통해 프로세스 중심의 융·복합 창업교육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가정신이란? 창업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가정신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기업가정신이란 수익창출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사업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창업자에게 또 하나의 중요한 시기는 정체기, 즉 단절 극복기이다.
창업자가 성공하기까지의 과정 다섯 단계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창업자가 성공하기까지의 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창업자는 제품을 제작하고 마케팅을 준비하는 창업준비기, 초기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시기, 단절에 해당하는 정체기, 단절을 극복하고 전기 다수 시장에서 제품의 판매를 시작하는 시기, 전기 다수 시장에서 매출이 폭발적으로 증대하는 시기를 거치게 된다. 창업의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것들은 창업의 단계별로 조금씩 다르다.
창조경제시대의 최우선 과제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 구축과 함께 창조경제 생태계를 완성시키는 교육과정 개발 역시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그 중 창조경제시대에 융·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창업교육 교육과정의 개발은 최우선 순위인 것이다. 융·복합 창업교육과정을 위해서는 실무와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한 프로세스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r, S. H., Baker, T., Markham, S. K. and Kingon, A. I., Briging the Valley of Death: Lessons learned from 14 years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Vol. 8, No. 3, 2009 

  2. Choi, Jong In & Yang, Young Seok, Program Development Agenda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Venture Start-up study, Vol. 23, No. 7, 2012 

  3. Mok, Young Du, A study at the Univers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design direction, Journal of Academic Technology Institute, 11(1), 2010 

  4. Park, Jae Wan & Kim, Yong Tae, Study on graduate education program founded Improve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 22, No. 4, 2009 

  5. Park, Yung Hee, Chonnam National Plan for promoting youth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3.0 popularization, Chonnam Research Institute, Vol 325, pp. 6-7. 2014 

  6. Ronstadt, R.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1985 

  7. Vesper, K. H. & W. E. McMull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om Courses to Degre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 13, No. 1, 1988 

  8. Jung, Hye Re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design standards, Master's Thesis, School of the Chung-Ang University of industrial entrepreneurship, 2010 

  9. Kim, Mun Sung, TEC algorithm impa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commitment to entrepreneurship, Master's Thesis, Hanbat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rt-up, 2013 

  10. Choi, Min Seok & Shin, Sung Chul, Smart start-up, Seoul Economic Management Publisher, pp. 48-59. 2011 

  11. KEIS, Students entrepreneurial activity and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Analysis, Research Reports, 2012 

  12. KIET, Youth entrepreneurship ecosystem and evitalization, Policy Issues 2011-159 

  13. KISED, Established businesses benefit analysis on job creation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Research Reports, 2012 

  14. KOSBI, Meaning and policy implications of your start-up, Small Business Focus 14-4 

  15. Lee, Jang & Jang, Soo Duk & Lee, Bung Yul, Entrepreneurship and start-ups in the creative economy, Bobmunsa, pp. 4-21. 2014 

  16. McMullan, W. E. & W. A. Long, Developing New Venture: The Entrepreneurial Option, New York, N. Y.: Harcourt Brace Jovanovich, 1990 

  17. SERI, The secret of innovative start-ups to activate, CEO Information 909 

  18. Shapero, A. & L. Sokol, The Social Dimensions of Entrepreneurship in Encylopedia of Entrepreneurship, edited by Calvin A. Kent, Donald L. Sexton, and Karl H. Vesper, Englewood Gliffs, N. J.: Prentice-Hall, 1982 

  19. STEPI, Technology start-ups Revitaliza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inspire, Policy Issues 2012-11 

  20. http://www.kised.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