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웰니스 및 구강질환억제를 위한 천연물 유래물질 연구
Research on Natural Medicine for Wellness and Oral Healt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5, 2015년, pp.357 - 363  

박해령 (광주여자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  홍석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아 치료를 위한 다양한 구강제품의 성분들을 천연물에서 발굴하여 부작용이 적고 저렴한 구강제품을 만들에 삶의 질적인 부분에서 웰니스를 위한 융복합 연구를 하고자함이다. 사람 골육종세포(MG-63)에 오배자(Galla Rhois)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강염증질환에 있어서 항염증효과를 항산화작용기전의 지표로 사용하는 NO생성과 DPPH radical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오배자 80% 메탄올추출물에서 62%, n-헥산 추출물에서 68%의 강한 NO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살펴보면 오배자 80% 메탄올추출물은 27.8%, n-헥산 추출물은 30.5%, 디에틸에테르 추출물은 51.7%,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66.4%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62.4%의 자유라디칼 소거억제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배자 메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천연물 유래성분들을 적용하여 비용부담이 줄여서 삶의 질적 수준을 높여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lla Rhois (Rhus verniciflua) on LP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human osteoblastic cells (MG-6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PS 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antioxidant radical in human osteo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배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antioxidant)와 관련하여 그 효능 및 작용기전을 밝히고 약리학적 연구를 통하여 기존 구강질환이나 치주질환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융복합적 응용방법으로 적용하여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강용품 및 구강관련 제품에 있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저렴한 천연물 시료를 통한 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삶의 웰니스를 추구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사용함으로 안정성을 유지 가능케 한 제품을 발굴하여 보급하고자 함이다.
  • 치주질환의 치료방법에는 인위적인 치조골 이식수술이나 치조골형성증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치주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소염진통제 등 개개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15]. 본 연구는 골흡수가 진행되는 치조골에 염증을 유발하는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천연물소재인 오배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LPS(lipopolysaccharide) 는 치은 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이 염증반응을 제거하기 위해서 치은조직 내부에서는 면역세포들에 의한 면역반응이 일으킨다[2]. 본 연구는 이러한 치조골을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골육종 세포를 이용하여 이러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천연에서 추출한 물질들을 발굴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조골 소실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오배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반응을 경감시키고 더불어 골형성 증가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찾고자 한다.
  • 오배자 추출물에서 얻어진 생리활성 성분을 이용하여 웰니스 융합 적용방법의 일환으로 구강질환에 대한 예방과 구강용품제 또는 건강보조제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사회 구조를 비춰볼 때 웰니스 융복합 접근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이다.
  • 오배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antioxidant)와 관련하여 그 효능 및 작용기전을 밝히고 약리학적 연구를 통하여 기존 구강질환이나 치주질환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융복합적 응용방법으로 적용하여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강용품 및 구강관련 제품에 있어서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저렴한 천연물 시료를 통한 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삶의 웰니스를 추구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사용함으로 안정성을 유지 가능케 한 제품을 발굴하여 보급하고자 함이다.
  • 생화학적 작용으로는 'Gallotannins' 성분은 수렴 작용이 있으며, 간 기능 보호 작용과 항산화 작용을 한다[4,5]. 웰니스를 위한 융합 적용 방법에 있어서 오배자(Galla Rhois)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자 생화학적 실험 방법을 통해 그 효능과 작용기전을 알아보고자 한다. 오배자에 대한 치태억제에 관한 논문은 일부 보고 된바 있으나[6] 이는 구강세균억제 측면에서 설명하였으며, 구강세포측면에서 검증하는 치아 우식억제활성 및 골소실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배자의 주요성분과 효능은? 오배자는 매미목의 진딧물과의 곤충인 오배자 면충이 야생에 기생하는 붉나무의 새잎에 기생함으로써 형성된 충영으로서 일본, 중국과 함께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주요성분인 탄닌이 50-60%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지혈작용과 항균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3]. 생화학적 작용으로는 'Gallotannins' 성분은 수렴 작용이 있으며, 간 기능 보호 작용과 항산화 작용을 한다[4,5].
치태와 치석은 어떠한 질환을 일으키는가? 구강내 염증반응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해 치아와 잇몸(치은) 주변부에서 치태(dental plaque)가 생성되고, 생성된 치태는 점차 석회화되어 치아의 표면에 치석(dental calculus)을 형성하게 된다. 치태와 치석은 구강 세균의 증식 거점이 되어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itis)과 같은 잇몸 염증질환을 일으킨다. 이러한 잇몸질환은 치조골 소실이 진행이 되면 더 이상 치아는 회복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1].
천연물의 장점은? 천연물은 구강 내에서 치아 우식유발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부작용이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되었던 파라벤은 전세계적으로 안정성을 인정을 받아 장기간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에 그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논쟁의 중심에 있는 성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 Honda, H. Domon, T. Okui, K. Kajita, R. Amanum, K. Yamaza. Balance of inflammatory response in stable gingivitis and progressive periodontitis lesions, 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Vol. 44, pp. 35-40, 2006. 

  2. D. L. Cochran, Inflammation and Bone Loss in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Vol. 79, pp. 1569-1576, 2008. 

  3. J. C. Chena, T. Y. Hob, Y. S. Changa, S. L. Wu, C. Y. Hsiang, Anti-diarrheal effect of Galla Chinensis on the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 and ganglioside interactio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103, No. 3, pp. 385-391, 2006. 

  4. O. J. Kwon, J. S. Bae, H. Y. Lee, J. Y. H, E. W. Lee, H. Ito, T. H. Kim,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Gallotannins from Galla Rhois with Inhibitory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Molecules, Vol. 18, pp. 10629-10638, 2013. 

  5. F. Tian, B. Li, B. Ji, J. Yang, G. Zhang, Y. Chen, Y. Lu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nsecutive extracts from Galla chinensis:The polarity affects the bioactivities, Food Chemistry, Vol. 113, No. 1, pp. 173-179, 2009. 

  6. L. Cheng, R. A. M, Exterkate, X. Zhou, J. Li, J. M. ten Cate, Effect of Galla chinensis on growth and metabolism of microcosm biofilms. Caries Research Vol. 45, No. 2, pp. 87-92, 2011. 

  7. X. Huang, L. Cheng, R. A. M. Exterkate, M. Liu, X. Zhou, J. Li, J. M. ten Cate, Effect of pH on Galla chinensis extract''s stability and anti-caries properties in vitro, archives of oral biology, Vol. 57, pp. 1093-1099, 2012. 

  8. P. Ngamwongsatit, P. P. Banada, W. Panbangred, A. K. Bhunia, WST-1-based cell cytotoxicity assay as a substitute for MTT-based assay for rapid detection of toxigenic Bacillus species using CHO cell line, J Microbiol Methods, Vol. 73, pp. 211-215, 2008. 

  9. H. Y. Jung, Y .G. Kim, J. W. Park, J. Y. Suh, J. M. Lee, The expression of a nitric oxide derivative,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3,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4 in chronic periodontiti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Periodontal Implant Sci, Vol. 43, No. 2, pp. 87-95, 2013. 

  10. Aaron R. H. LeBlanc mail, Robert R. Reisz, Periodontal Ligament, Cementum, and Alveolar Bone in the Oldest Herbivorous Tetrapods, and Their Evolutionary Significance, PLOS. one, September 04, 2013. 

  11. J. Wactawski-Wende, S. G. Grossi, M. Trevisan, R. J. Genco, M. Tezal, R. G. Dunford, A. W. Ho, E. Hausmann, M. M. Hreshchyshyn, The role of osteopenia in oral bone loss and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Vol. 67, No. 10 Suppl, pp. 1076-1084, 1996. 

  12. H. R. Park, B. J. Park, Micro-CT analysis of LPS-induced alveolar bone loss, Int. J. of Oral Biology, Vol. 37, No. 3, pp. 85-90, 2012. 

  13. X. Li, K. M. Kolltveit, L. Tronstad, I. Olsen. Systemic Diseases Caused by Oral Infection, Clin. Microbiol. Rev, Vol. 13, No. 4, pp. 547-558, 2000. 

  14. H. R. Park, H. J. Kim, B. J. Park, Quantification of microstructure in mice alveolar bon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y( ${\mu}CT$ ), Int. J. of Oral Biology, Vol. 38, No. 3, pp. 87-92, 2013. 

  15. G. Lisignoli, S. Toneguzzi, C. Pozzi, A. Piacentini, M. Riccio, A. Ferruzzi, G. Gualtieri, A. Facchini,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 production and expression by human osteoblast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J Rheumatol., Vol. 26, No. 4, pp. 791-799, 1999. 

  16. S. H. Ralston, D. Todd, M. Helfrich, N. Benjamin, P. S. Grabowski, Human osteoblast-like cells produce nitric oxide and expres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ndocrinology, Vol. 135, No. 1, pp. 330-336, 1994. 

  17. Xue-Jun Zhao, W. Ling, S. Sruti, T. Jesus, M. M. Mike, W. Jun, Sam Frizzell, T. G. Mark, Mechanisms for cellular NO oxidation and nitrite formation in lung epithelial cell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Vol. 61, pp. 428-43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