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체발효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세척제 개발
Development of Mouthwash Products with Solid Fermented Oriental Medicinal Herb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380 - 1387  

조병제 (체담한방병원) ,  홍준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김미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송영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효 한약재를 사용하여 한방구강세척제를 개발하고자 후박, 감초, 천궁, 박하 및 정향을 상황버섯균사체로 고체발효 하였다. 후박, 감초 천궁은 수분을 30% 첨가한 조건에서 고체발효에 성공하였으며, 박하는 30% 수분과 현미가루 10%를 영양성분으로 제공하였을 때 고체발효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정향은 진균류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여 상황버섯균사체를 이용한 고체발효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고체발효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 및 DPPH 소거능은 발효 후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항균효과 역시 상승하였다. 구강질환 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s, Streptococcus pyogenes, Candida albicans 또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후박, 감초 및 천궁이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항균활성은 고체발효에 의해 약 100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방구강세척제 조성비를 확립하기 위하여 발효한 후박, 감초 및 천궁의 에탄올 추출물을 5:3:2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발효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 혼합액 0.075%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박하와 정향 열수 추출물(100:15, v/v) 83.64%를 베이스로 하는 한방구강세척제 조성을 관능검사에 의거 결정하고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와 시판하고 있는 한방구강세척제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n=30)를 실시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제품이 종합적인 평가 점수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구강세척제 사용 후 지속 효과를 구취 측정계로 측정하여 시간을 산출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의 지속 효과가 다소 길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uthwash product with solid fermented oriental medicinal herb (OMH). Solid fermentation of magnolia, liquorice, and cnidium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when 30% water was added to the medium, whereas 10% brown rice powder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발효 한약재를 사용하여 한방구강세척제를 개발하고자 후박, 감초, 천궁, 박하 및 정향을 상황버섯균사체로 고체발효 하였다. 후박, 감초 천궁은 수분을 30% 첨가한 조건에서 고체발효에 성공하였으며, 박하는 30% 수분과 현미가루 10%를 영양성분으로 제공하였을 때 고체발효가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발효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한방구강세척제를 개발하고자 후박, 감초, 천궁, 박하 및 정향을 상황버섯균사체로 고체발효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한약재의 고체발효 조건을 확립하고, 발효 전후의 항산화 및 구강질환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구강세척제 조성비를 확립하며, 개발한 발효 한방구강세척제의 효과를 시판 중인 한방구강세척제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방구강세척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구강 세척제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베이스 성분을 박하와 정향 열수 추출물로 하였다. 박하와 정향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박하 열수 추출물 100과 정향 열수 추출물 15를 부피비로 혼합하였을 때의 관능검사 결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data not shown).
  • 후박, 감초, 천궁 및 박하를 상황버섯 균사체로 고체발효 시켜 구강질환 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균은 구강, 인후 화농성 염증균 St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취의 발생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현대인은 사회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타인과의 만남의 기회가 많아지는데 호기를 통해 발산되는 나쁜 입 냄새인 구취는 자칫 사회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구취의 발생 원인으로는 노인에서 흔히 나타나는 타액 분비 감소와 같은 생리적 요인 (4), 구강 내 위생 관리 소홀로 인한 염증 및 흡연 등과 같은 구강 내 요인(5,6) 또는 간, 위, 식도 질환에 의한 구강 외적인 요인(7) 등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비장 또는 위장에 열이 있거나 음식이 소화되지 않은 채 위에 남아 있거나 호르몬 교란에 의해서도 구취가 발생한다고 한다(7).
구강 세척제에 들어 있는 chlorhexidine은 어떤 단점을 갖는가? 대부분의 구강 세척제는 구강 내 항균 기능 및 충치균 생성 억제 효능이 있는 chlorhexidine, triclosan 및 CPC cetylpyridinium chloride(CPC) 등의 화학합성 제재를 함유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는 항생제를 첨가한 제품들도 시판되고 있어 장기간 사용 시 항생제 내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1). 뿐만 아니라 chlorhexidine은 항균 효과는 높으나 장기 사용 시 치아 및 혀의 변색, 미각 이상, 점막 자극 과민증을 유발하고, 관능적으로 소비자의 기호를 떨어뜨리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2). 이에 화학성분의 부작용을 줄이고 장기간 사용해도 안전한 천연물을 원료로 하는 구강세척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세신, 정향, 후박, 감초, 박하, 길경 천궁 및 은행잎 등과 같은 구강질환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은 한약재(3)가 한방구강 세척제 제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고체발효는 어떤 조건에서 성공할 수 있는가? 최근 한약재의 약효를 강화시키고 자체의 독성은 약화시 키기 위해 생물전환 기법 중 발효 기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건조 한약재를 발효시키기 위해 고체발효가 시도되고 있는데 고체발효는 액체발효와 달리 미생물 접종 및 생장이 어려워 건조 약재를 연화시키거나 수분활성도를 조절하거나, 영양배지를 만드는 등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이 갖추어져야 성공할 수 있다. 고체발효에 주로 사용하는 균주는 진균류인 버섯 균사체(8)와 곰팡이(9)가 있고 유산균(10) 또는 고초균(11) 등의 세균류도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DH, Yoo YS, Joo KB, Lee KJ. 2011. The evaluation of efficacy on oral cavity cleaner (dental cleaner). Korea Journal of Waters 2: 1-8. 

  2. Gagari E, Kabani S. 1995. Adverse effects of mouthwash use: a review.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80: 432-439. 

  3. Yu YE, Park EY, Jung DH, Byun SH, Kim SC, Park SM. 2010. Antibacterial effect of oriental medicinal herbs on dental pathogens.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6:200-206. 

  4. Kim YJ, Park KM. 2012. Effects on salivation, xerostomia and halitosis in elders after oral function improvement exercises. J Korean Acad Nurs 42: 898-906. 

  5. Tonzetich J. 1977.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a review of mechanisms and methods of analysis. J Periodontol 48: 13-20. 

  6. Cho JW, Shin SC, Seo HS. 2003. Tongue plaque removal effect according to tongue cleaner typ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7: 75-85. 

  7. Lee JH, Kim ME, Kim KS, Kim SB. 200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rgle solution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 for oral malodor. J Oral Med Pain 28: 1-10. 

  8. Liang CH, Syu JL, Mau JL.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solid-state fermented adlay and rice by Phellinus linteus. Food Chem 116: 841-845. 

  9. Dinis MJ, Bezerra RM, Nunes F, Dias AA, Guedes CV, Ferreira LM, Cone JW, Marques GS, Barros AR, Rodrigues MA. 2009. Modification of wheat straw lignin by solid state fermentation with white-rot fungi. Bioresource Technol 100:4829-4835. 

  10. Seesuriyachan P, Kuntiya A, Hanmoungjai P, Techapun C, Chaiyaso T, Leksawasdi N. 2012. Optimization of exopolysaccharide overproduction by Lactobacillus confusus in solid state fermentation under high salinity stress. Biosci Biotechnol Biochem 76: 912-917. 

  11. Khan AW, Zohora US, Rahman MS, Okanami M, Ano T. 2012. Production of iturin A through glass column reactor(GCR) from soybean curd residue (okara) by Bacillus subtilis RB14-CS under solid state fermentation (SSF). Adv Biosci Biotechnol 3: 143-148. 

  12. Kim HS, You JH, Jo YC, Lee YJ, Park IB, Park JW, Jung MA, Kim YS, Kim SO. 2013. Inhibi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and rice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on obesity and diabe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29-1035. 

  13. Lee H, Kim H, Chong M, Cho H, Choi Y, Lim K, Lee K.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in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Kor J Herbology 23: 1-8. 

  14. Rhee YK, Han MH, Park SY, Kim DH. 2000.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77-480. 

  15. Song WY, Sung BH, Kang SK, Choi JH. 2010. Effect of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on lip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system in rats fed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71-77. 

  16. Seo HC. 2011. Optimization of anticoagulant production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Kor J Mycol 39: 117-121. 

  17. Park IH, Chung SK, Lee KB, Yoo YC, Kim SK, Kim GS, Song KS. 2004. An antioxidant hispidin from the mycelial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Arch Pharm Res 27: 615-618. 

  18. Kang HW, Lee MH, Seo GS. 2013.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HN1009K. Kor J Mycol 41: 243-247. 

  19. Lee BE, Ryu SY, Kim EH, Kim YH, Kwak KA, Song HY. 2012. Immunostimulating effect of mycelium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Kor J Pharmacogn 43: 157-162. 

  20. Park CK, Kim H, Tu Q, Yu KW, Jeong HS, Lee HY, Jeong JH.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the fermented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mushroom mycelium by solid cul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45-1152. 

  21. Lee JH, Choi YH, Lee YT, Choi SH, Chung KY, Jeong YK, Choi BT. 2004. Effect of the evaporating extract from liquor of fermentation using mycelium of Phellinus linteus 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proteins and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18: 1825-1831. 

  22. Tarko T, Duda-Chodak A, Sroka P, Satora P, Jurasz E. 2008.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cted polish grape and fruit wines. Acta Sci Pol Technol Aliment 7: 35-45. 

  23. Park SH, Yun UJ, Shin JH, Kwon BM, Bae KH. 2006. The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nd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Magnolia officinalis, M. biloba and M. obovata. Kor J Pharmacogn 37: 278-286. 

  24. Davidson PM,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J Food Sci Technol 1: 148-155. 

  25. Lee JH, Choi HS, Chung MS, Lee MS. 2002.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30-338. 

  26. Cho SK, Kwon OI, Kim CJ. 1996.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 of Cnidii rhizoma. Kor J Pharmacogn 27: 282-287. 

  27.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28. Kumar A, Samarth RM, Yasmeen S, Shatma A, Sugahara T, Terado T, Kimura H. 2004. Anticancer and radioprotective potentials of Mentha piperita. Biofactors 22: 87-91. 

  29. Lim HS, Kim JH, Ha H, Seo CS, Shin HK. 2012.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nthae Herba from Korea and China. Kor J Pharmacogn 43: 231-238. 

  30. Chang B, Lee Y, Ku Y, Bae K, Chung C.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magnolol and honokiol against periodontopathic microorganisms. Planta Med 64: 367-369. 

  31. Kim TI, Choi EJ, Chung CP, Han SB, Ku Y. 2002. Antimicorbial effect of Zea mays L. and Magnoliae cortex extract mixtures on periodontal pathogen and effect on human gingival fibroblast cellular activity. J Korean Acad Periodontol 32: 249-255. 

  32. Chang BS, Son SH, Chung CP, Bae KH. 1993. The effects of honokiol and magnolol on the antimicrobial, bacterial collagenase activity, cytotoxicity and cytokine production. J Korean Acad Periodontol 23: 145-158. 

  33. Martin MD, Sherman J, van der Ven P, Burgess J. 2008. A controlled trial of a dissolving oral patch concerning Glycyrrhiza (licorice) herbal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aphthous ulcers. Gen Dent 56: 206-210. 

  34. Gafner S, Bergeron C, Villinski JR, Godejohann M, Kessler P, Cardellina JH, Ferreira D, Feghali K, Grenier D. 2011. Isoflavonoids and coumarins from Glycyrrhiza uralensi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ral pathogens and conversion of isoflavans into isoflavan-quinones during purification. J Nat Prod 74: 2514-2519. 

  35. Lee SE, Park CG, Cha MS, Kim JK, Seong NS, Bang KH, Bang JK.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arvesis L. var. piperascens Malivaud and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206-211. 

  36. Jung KH, Seong NS, Lee YJ. 2005. A study on the anti-oxidation effects of menthae herba (I). Kor J Herbology 20:103-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