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에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걷기 운동의 효과 - 신체활동 중심으로 -
Effects of walking exercise for wellness convergence in the digital age - Based on physical activity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5, 2015년, pp.365 - 374  

김명수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김성희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  이신호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4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첫 번째 중년여성의 2주간 신체활동(보행 수, 칼로리 소모, 신체활동 강도)을 조사하여 정상인과 비만인 간에 차이를 비교하고, 두 번째 정상인과 비만인을 대상으로 계획된 24주간 주당 3회 500kcal 소모를 목표로 하는 규칙적인 걷기 운동을 실시하여 주 3일의 운동일과 주 4일의 비운동일, 그리고 일주일 평균 신체활동(보행 수, 칼로리 소모, 신체활동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규칙적인 걷기 운동 프로그램 적용 2주전 신체활동(보행 수, 칼로리 소모, 운동 강도)에 있어 정상인과 비만인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해 인위적으로 설정된 24주간 주당 3회 500kcal 소모를 목표로 하는 규칙적인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정상 집단에서는 3일의 운동 한 날과 4일의 운동 하지 않는 날, 그리고 일주일 평균 신체활동(보행 수, 칼로리 소모, 운동 강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만인에서는 부정적인 효과를 보인 운동 강도(level 0)를 제외한 모든 신체활동(보행 수, 칼로리 소모, 운동 강도) 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1) to compare the physical activity between the normal(NO) and obese (OB) group at baseline and 2) to investigate responses of the physical activity to a 24-week walking exercise program in both groups. A total of 29 middle-aged women was classified NO and OB group base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4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첫 번째 중년여성의 2주간 신체활동을 조사하여 정상인과 비만인간에 차이를 비교하고, 두 번째 정상인과 비만인을 대상으로 계획된 24주간 주당 3회 500kcal 소모를 목표로 하는 규칙적인 걷기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주 3일의 운동일과 주 4일의 비운동일, 그리고 일주일 평균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여러 분야에서 심혈관 질환 및 비만 등의 각종 건강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보다 신체활동이 더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걷기, 집안 일, 세차, 계단 오르기, 산보 등과 같은 낮은 강도의 신체활동은 신체 건강에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는 반면 헬스장에서 하는 근력 운동, 달리기, 테니스, 배드민턴 등 계획된 고강도의 신체활동만이 신체의 건강함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운동은 하나이상의 체력 구성요소를 향상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해 계획적, 구조적,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신체활동[1]이라는 제한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신체활동은 골격근 수축으로 에너지 소비를 야기시키는 인간의 모든 움직임을 포함[16]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여러 분야에서 심혈관 질환 및 비만 등의 각종 건강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보다 일상생활 중 신체활동이 더욱 강조되어지고 있다[10]. 또한 일정한 신체활동은 신체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만성적 질환 예방, 사망률 감소, 비만, 당뇨 감소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고[3, 7, 26], 신체활동 및 운동이 인체 건강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국외에서 보편화되어 있다.
근대화 이후 현재까지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계 질환 관련 사망률의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근대화 이후 현재까지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계 질환 관련 사망률의 주된 위험요인은 신체활동 부족(physical inactivity)이며[15],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의 전 연령대에서 비활동적인 것으로 보고되고[4] 있어 이러한 위험요인에 남성에 비해 더욱 노출되어 있다. 국내 통계청에 의한 조사도 신체활동 부족과 가장 관련이 깊은 순환기 계통의 질환과 대사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8.
우리나라 성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들의 하루 혹은 일주일의 신체활동이 어느 정도인지 조사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알 수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2014년 보건복지부 건강증진 사업의 내용 중 신체활동 현황을 살펴보면, 국민의료비, 신체활동의 질병비용 기여도, 신체활동 실천율 그리고 신체활동 비실천 이유에 관해서만 제시되어 있고 실제적인 신체활동 정도에 관한 내용은 없는 실정이다[17]. 따라서 우리나라 성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집단들의 하루 혹은 일주일의 신체활동(시간, 강도)이 어느 정도인지 조사되어 있지 않은 상황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ACS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8th ed), Philadelphia, PA, Lipponocott Williams & Wilkins, 2010. 

  2. B. E. Ainsworth, W. L. Haskell, M. C. Whitt, M. L. Irwin, A. M. Swartz, S. J. Strath, W. L. O'Brien, D. R. Bassett, K. H. Jr, Schmitz, P. O. Emplaincourt, D. R. Jacobs, A. S. Jr, Leon,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32, NO. 9, pp. S498-504, 2000. 

  3. D. Andre, D. L. Wolf, Recent advances in free-living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a review. Journal of Diabetes Science and Technology, Vol. 1 NO. 5, pp. 760-767, 2007.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Prevalence of no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35 states and the District of Columbia, 1988-2002.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Vol. 53, pp. 82-86, 2004. 

  5. C. B. Chan, D. A. J. Ryan, C. E. Tudor-Locke, Health benefits of a prdometer-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n sedentary workers. Preventive Medicine, Vol. 39, pp. 1215-1222, 2004. 

  6. P. DeVita, T. Hortobagyi, Obesity is not associated with increased knee joint torque and power during level walking.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6, pp. 1355-1362, 2003. 

  7. B. Elsawy, K. E. Higgin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older adults. American Family Physician, Vol. 81, No. 1, pp. 55-59, 2010. 

  8. M. Hagstromer, P. Oja, M. Sjostrom, Physical activity and inactivity in an adult population assessed by accelerometr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39, No. 9, pp. 1502-1508, 2007. 

  9. J. F. Horowitz,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Trends Endocrinology Metabolism, Vol. 14, No. 8, pp. 386-392, 2003. 

  10. Y. Y. Jin, E. S. Ahn, H. S. Kang, The Test of Validity Using an Accelerometer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related Energy Expenditur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Vol. 20, No. 4, pp. 185-192, 2011. 

  11. C. K. Kang, M. G. Lee, M. J. Lim, Effects of a 10-week rope skipping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insulin sensitivity in general collegi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7, No. 1, pp. 59-69, 2008. 

  12. D. W. Kang, J. S. Choi, K. R. Mun, Y. H. Bang, G. R. Tack, A Study on the Estimation Accuracy of Energy Expenditure by Different Attaching Position of Accelerometer.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 19, No. 1, pp. 179-186, 2009. 

  13.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Prescription of exercise for professional. korean sports promotion foundation, 1999. 

  14. H. Kumahara, Y. Schutz, M. Ayabe, M. Yoshioka, Y. Yoshitake, M. Shindo, K. Ishii, H. Tanaka, The use of uniaxial accelerometry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activity-related energy expenditure: a validation study against whole-body indirect calorimetry.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Vol. 91, No. 2, pp. 235-243, 2004. 

  15. W. Lengfelder, Physical inactivity: a modifiable risk factor in primary prevention?. Medizinische Klinik, Vol. 96, No. 11, pp. 661-669, 2001.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Facts & Figures 2010. Nation Cancer Center, 2010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ealth promotion business 2014.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2014. 

  18. O. E. Owen, E. Kavle, R. S. Owen, M. Polansky, S. Caprio, M. A. Mozzoli, Z. V. Kendrick, M. C. Bushman, G. Boden, A reappraisal of caloric requirements in healthy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 44, No. 1, pp. 1-19. 1986. 

  19. T. G. Park, W. S. Choi, Effects of Aerobic Combined with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in Obese Middle -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4, No. 6, pp. 1141-1149, 2005. 

  20. Y. J. Park, K. M. Go, S. S. Kim, B. K. Kim, M. K. Kim, The Analysis of Walking Pattern on Muscle Activation and Fatigue in Obesity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32, pp. 1059-1068, 2008. 

  21. J. H. Shin, J. O. Lee, M. Kang,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sedentary working women. Educating sport and exercise professionals: current approaches and future tasks. Paper presented at the 2006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379), Yongin, Korea. KAHPRERD, 2006. 

  22. Statistics korea,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23. C. Tudor-Locke, M. M. Barshear, W. D, Johson, P. D. Katzmarzyk, Accelerometer profiles of physical activity and inactivity in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U.S.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Vol. 7, No. 60, 2010. 

  24.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 http://www.health.gov/paguidelines, 2008. 

  25. United States, Public Health Service,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Prevention(US), President'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 Sports(U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Jones & Bartlett Learning, 1996. 

  26. D. E. Warburton, C. W. Nicol, S. S. Bredin, Health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the evidenc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 174, No. 6, pp. 801-809, 2006. 

  27. E. G. Wilmot, C. L. Edwardson, F. A. Achana, M. J. Davies, T. Gorely, L. J. Gray, K. Khunti, T. Yates, S. J. Biddle, Sedentary time in adults and the association with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ologia, Vol. 55, No. 11, pp. 2895-2905, 2012. 

  28. J. H. Yun, H. H. Lee, Y. H. Kim, Analysis of Energy Expenditure and Muscle Fatigue during Walking and Running in Obese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18, pp. 1257-1269, 2002a. 

  29. J. H. Yun, H. H. Lee, D. H. Lee, Response to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Upper body Muscle Fatigue during Maximal Arm Ergometer Exercise in obese middle-School Students.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 Biochemistry, Vol. 6, No. 3, pp. 231-237, 2002b.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