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고강도 인터벌 운동이 중년여성의 성장호르몬과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for High-Intensity Interval Exercise on Growth Hormone and Fatigue Elements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9, 2015년, pp.523 - 530  

백순기 (중원대학교 뷰티헬스학과) ,  민영실 (중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성장호르몬과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40대 비만 중년여성 2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을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고강도 인터벌 운동을 8주간 4일 35분 운동을 실시하고 운동 전과 8주 후의 성장호르몬과 피로물질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에 따른 성장호르몬은 실험군에서 운동전 보다 8주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에 따른 피로물질은 실험군에서 운동전 보다 8주 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은 성장호르몬을 증가키고 피로물질을 감소시켜 피로예방, 관상동맥질환 및 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ested growth hormone and fatigue materials after eight-week high-intensity interval exercise to middle aged women (40's~50's women) who have been obesity without other disease. Two group of 20 candidates were randomly divided 10 persons as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Exercis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을 적용한 후 성장호르몬 및 피로물질을 분석하여 고강도 인터벌운동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성장호르몬과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40대 비만 중년여성 2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을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고강도 인터벌운동을 8주간 4일 35분간 운동을 실시하고 운동 전과 8주 후의 성장호르몬과 피로물질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고강도 인터벌운동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성장호르몬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사전검사로서 신체구성, 혈액분석 및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참여 집단은 8주 동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각각 주당 4일의 운동빈도로 1회 35분간, HRmax 80∼85%의 운동 강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피험자들의 운동강도 조절과 건, 인대 등 결체 조직 등의 손상방지, 기초 기술 습득 및 자세교정 등을 위하여 2주 동안 HRmax 60∼80%의 적응기간을 두었다.
  •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고강도 인터벌 운동을 통하여 얻은 성장호르몬 및 혈중피로물질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고강도 인터벌운동을 통하여 피로, 관상동맥질환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운동참여 전⋅후의 신체구성 검사를 하기 위하여 In-body 520 Bio space를 이용하여 체중, 신장, 체지방률, 체지방량 등을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75년 여성 평균 기대수명은? 2013년 통계청 보고에 의하면, 1975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여성 평균이 67.91세, 남성 평균이 60.19세로서, 전체 평균은 63.
1975년 남성 평균 기대수명은? 2013년 통계청 보고에 의하면, 1975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여성 평균이 67.91세, 남성 평균이 60.19세로서, 전체 평균은 63.82세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여성 평균이 84.
무엇 때문에 중년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는가? 19세로서, 전체 평균은 63.82세에 불과했으나, 2013년에는 여성 평균이 84.64세, 남성 평균이 77.95세로 전체 평균은 81.44세로 38년 전에 비해 전체 13.73세가 증가하였다. 이 중 여성은 16.73세가 증가하여 남성보다 여성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40-49세에 해당하는 중년여성의 경우 약 400만 명을 넘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명 연장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해 중년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3.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4. Kim, Kye-Boon, Effect of Twenty Weeks' Toning Exercises on Blood Components, and Bone Density of Aged Women in Rural Area,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5. Kim, Mi-Lyang, Chung,Jin-Wook, Verifying Health Behavior Model of Middle Aged Women Participating Regular Exercise : Emphasis on Spousal Suppor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54, No. 1, pp. 877-886. 2013. 

  6. Cho Yoon-sil, Differences in Outpatients Healthcare Utilization by Level of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7.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8th ed.) Baltimore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9. 

  8. Babraj, J. A., Vollaard, N., Keast, C., Goppy, F. M., Cottrell, G., & Timmons, J. A, Extremely short duration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substantially improves insulin action in young healthy male. BMC Endocrine Disorders, 9, 3. 2009. 

  9. Kirsten A. B., Scott, C. H., George J. F. H, Suzanne, N. B, Martin J. G, Six sessions of sprint interval training increases muscle oxidative potential and cycle endurance capacity in human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98, pp. 1985-1990. 2005. 

  10. Baechle, T. R. and R. W. Earle (2008). Essentials of Strength Training and Conditioning.(3rd ed.) USA: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11. Tjonna, A. E., Lee, S. J., Rognmo, O., Stolen, T. O., Bye. A., Haram, P. M., Loennechen, J. P., Al-Share, Q. Y., Skogvoll, E., Slordahl, S. A., Kemi, O. J., Najjar, S. M., & Wisloff, U, Aerobic interval training versus continuous moderate exercise as a treatment for the metabolic syndrome: A pilot study. American Heart Association, Vol. 118, pp. 346-354. 2008. 

  12. Wisloff, U., Stoylen, A., Loennechen, J. P., Bruvold, M., Rognmo, O., Haram, P. M., Tjonna, A. E., Helgerud, J., Rognmo, O., Helgerud, J., Slordahl. S. A., Lee, S. J., Videm, V., Bye, A., Smith, G. L., Najjar, S. O., Ellingsen, O., & Skjaerpe, T, Superior cardiovascular effect of aerobic interval training versus moderate continuous training in heart failure patients: a randomized study. Circulation, Vol. 115, pp. 3086-3094. 2007. 

  13. J. Yim, J. Yoo, S. Chang, J. Lee, J. Yoo, "2013 Mobile Internet Report,"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3. 

  14. S. Fox, M. Duggan, "Mobile health 2012," PEW Research Center, 2013. 

  15. Kim, Hak-Kyun, The Effects of Smartphone Applica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mong University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16. Patrick K, Griswold W, Raab F, Intille S. Health and the mobile phone. American Journal of Prevent Medicine, Vol. 35, No. 2, pp. 177-181, 2008. 

  17. Kang, Hui-Won, The Effect of TABATA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Immunoglobulin of Middle-aged Women,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18. Eliakim, A., Scheett, T. P., Newcomb, R., Mohan, S., & Cooper, D. M, Fitness, training, and the growth hormone, insulin-like growth factor 1 axis in prepubertal girls. J Clin Endocrinol Metab, Vol. 86, No. 6, pp. 2797-2802. 2001. 

  19. Westphal, O, Normal growth and growth disorders in children. Acta Odontol Scand, Vol. 53, pp. 174-178. 1995. 

  20. Kang, lk-won, Cho, Won-Je, The Relationship of Maximal Oxygen Uptake, Growth-Related Hormone, Serotonin and Working Memory in Adolescent by High-Intensity Aerobic Exercis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4, No. 1, pp. 1051-1063. 2015. 

  21. Wideman, L., Consitt, L., Patrie, J., Swearingin, B., Bloomer, R., Davis, P., Weltman, A, The impact of sex and exercise duration on growth hormone secre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01, No. 6, pp. 1641-1647. 2006. 

  22. Boisseau, N., & Delamarche, P, Metabolic and hormonal responses to exerci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ports Med. Vol. 30, No. 6, pp. 405-442. 2000. 

  23. Kraemer, R. R., Kilgore, J. L., & Kraemer, G. R, Growth Hormone, IGF-1 and testosterone response to resistive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Vol. 24, pp. 1346-1352. 2002. 

  24. Park, So-Young, The effects of 12 weeks aerobic dance program on the old women's cardiorespiratory functi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hormones, Graduate School of Yong-In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3. 

  25. Kim, Chang-Hwan, Effect of 12 Wk aerobic training on muscle perfusional capacity, IGF-1 and Growth related hormone concentration in old aged adults, Graduate School of Korean Nationa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3. 

  26. Felsing N. E., Brasel J. A., Cooper D. M, Effect of low and high intensity exercise on circulating growth hormone in men. J. Clin. Endocrinol. Metab, Vol. 75. pp. 157-162. 1992. 

  27. Baird MF, Graham SM, Baker JS, & Bickerstaff GF, Creatine-kinase and exercise-related muscle damage implications for muscle performance and recovery. Journal of Nutrition Metabolism, Vol. 11, No. 3, pp. 247-254. 2012. 

  28. Lee MS, Paik IY, Kwak YS, No HT, & Jin HE,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muscle strength improvement, blood fatigue factors, muscle fatigue and damage index. Journal of Life Science, Vol. 20, No. 6, pp. 870-876. 2010. 

  29. Brancaccio P, Lippi G, & Maffulli N (2010). Biochemical markers of muscular damage. Clinical Chemistry and Laboratory Medicine, 48(6): 757-767. 

  30. Sang-Hoon Yang, The influence of judo masters' pre-season winter hard-training on fatigue substance, muscle injury marker and inflammation markers. Exercise Science, Vol. 24, No. 1, pp. 39-47. 2015. 

  31. Mooren, F. C., Lechtermann, A., Fobker, M., Brandt, B., Srg, C., VOlker, K., & Nacken, W, The response of the novel pro-inflammatory molecules S100A8/A9 to exercise. Int J Sports Med, Vol. 27, No. 9, pp. 751-758. 2006. 

  32. Taribian, B., Azadpoor, N., & Abbasi, A, Effects of two different type of treadmill running on human blood leukocyte populations and inflammatory indices in young untrained men, J Sports Med Phys Fitness, Vol. 49, No. 2, pp. 214-223. 2009. 

  33. Poulsen HE, Loft S, & Vistisen K, Extreme exercise and oxidative DNA modification. J Sports Sci, Vol. 14, No. 4, pp. 343-346. 1996. 

  34. Lacour, J. R, Muscle activity and energy expenditure. Revue des maladies respiratoires. Vol. 28, No. 10, pp. 1278-1292. 2011. 

  35. Wagenmakers, A. J. M., Coakley, J. H., Feilly, T., & Edwards, R. H. T, Metabolism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and Ammonia During Exercise: Clues from McArdle's Disease. J. Int. Sports Med. Vol. 11, No. 2, pp. S101-S113. 1990. 

  36. Kim, Dong-Jae, Ahn, Byung-Keun, Yoon Hyun,Kim, Sung-Hee,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isokinetic leg strength, power, agility, and blood fatigue materials in high school judo players, The J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Vol. 13, No. 2, pp. 235-247. 2011. 

  37. Warren, B. J., M. H. Stone, J. T. Kearney, S. J. Fleck, R. L. Johnson, G. D. Wilson, and W. J. Kraemer, Performance measures, blood lactate and plasma ammonia as indicators of overwork in elite junior weightlifters. Int. J. Sports Med. Vol. 13, pp. 372-376. 1992. 

  38. Bangsbo, J, Physiology soccer with special reference to intense intermittent exercise Acta. Physiol. Scand., Vol. 151, pp. 619. 1994. 

  39. Palmer RM, Rees DD, Ashton DS, Moncada S. L-arginine is the physiological precursor for the formation of nitric oxide in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Vol. 153, No. 3, pp. 1251-1256. 1988. 

  40. Juan GP, Luis MR, Uric acid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 arterial hypertension. J Hypertens, Vol. 17, pp. 869-872. 1999. 

  41. Kreider RB, Melton C, Greenwood M, Rasmussen C, Lundberg J, Earnest C, Almada A, Effects of oral D-ribose supplementation on anaerobic capacity and selected metabolic markers in healthy males. Int. J. Sport Nutr. Exerc. Metab, Vol. 13, No. 1, pp. 76-86. 2003. 

  42. Kim, Yoo-Jin, The effect of obesity treat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blood ingredient of middle-aged women, Graduate School of Je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43. Shin, Kyung-A, Kwon, Dae-keun, Song, Young-ju, The Effect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Supplementation on Exercise Performance, Muscle Fatigue and Related Blood Components, The Korean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Vol. 11, No. 2, pp. 117-12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