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DOC-CRM을 이용한 지역기록의 공간 기반 구조화 - 부산항을 사례로 -
A Space-Based Approach to Organizing Local Records Using CIDOC CRM: A Case of the Port of Busan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5 no.2, 2015년, pp.83 - 101  

현문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기반으로 한 지역기록의 구조화 가능성을 실험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공간은 지역기록의 이용과 이해를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록 맥락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공간을 독립 개체로 추가한 공간 중심의 기록 모형을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례 지역과 기록을 대상으로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CIDOC CRM 6.0 버전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사례 공간인 부산항을 거점으로 확인된 기록 중 5개 유형을 사례로 구조화하였다. 실험을 통해 공간은 기록을 포함한 다양한 개체와 다양한 연관 관계로 구조화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공간은 지역기록 구조화에 있어 독립 개체로 정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록의 맥락 이해를 지원하는 주요 개체로 다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organizing local reco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pace can be a useful context of records. Accordingly, it designed a records model on additional space entity. It attempted to organize five sample records based on the sp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틀로 CIDOC CRM을 선택하였다. 구조화 틀의 선택에 있어, 아직 우리나라에서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기록을 효율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틀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과 함께,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는 지역기록의 특성을 충분히 표현해야 할 필요성을 고려하였다. CIDOC CRM은 이형의 문화유산자원을 연계하여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적 구조 모형으로(ICOM/CIDOC CRM SIG, 2015, p.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떤 ‘곳’을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이든 추상적이든 인간 활동이 개입되어 생산된 기록의 구조화를 실험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 이 연구는 지역기록을 대상으로 한 공간 중심의 구조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을 지역기록의 구조화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 후 기록 구조화를 위한 공간 중심의 기록 모형을 제안하고 사례 공간과 기록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 공간으로는 부산, 그 중에서도 부산항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를 거점으로 수집된 문서, 사진, 엽서, 관보, 동영상 등 다양한 유형별 샘플 기록을 대상으로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과 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두 개념을 포함하는 ‘공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는 공간을 기반으로 지역기록을 구조화할 수 있는 모형을 제안하고 이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기록 모형을 기초로 하여 공간 및 장소 중심으로 기록을 구조화할 수 있는 공간 기반 기록 모형을 정의하였으며, 이 모형에 따라 사례 지역과 기록을 대상으로 구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 부산항 공간 식별기호는 기본적으로 위도와 경도 기호를 사용하되, 미 국립지리정보국(National Geospacial-Intelligence Agency)이 운영하는 지명서버의 MGRS 코드나 게티 시소러스(Getty Thesaurus of Geographic Names)에서 제공하는 TGN 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이를 함께 표기하였다. 특히 부산항의 경우, 현재 부산항 위치가 아니라 기록 생산 당시의 부산항 위치를 최대한 추정하여 위치 정보를 표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여러 유형의 공간 표현을 지원한다. 이 표준이 정의하는 ‘장소(place)’는 공간에서 일정 규모를 지니는 지점이며, 지리적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층위로 표현된다(ICOM/CIDOC CRM SIG, 2015, p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루타 하지메는 공간과 장소가 어떻게 연결된다고 보고 있는가? 다시 말하면 공간은 균질적으로 확장되는 특성을 지니며, 이 공간에 인간이 개입하면서 의미와 방향성이 부가되면 균질적 특성이 약화되고 특수성을 띄게 되면서 장소가 된다는 것(마루타 하지메, 2008/2011, pp. 69-70)이다.
공간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21-22). 공간은 특정 “활동이나 사물들 또는 환경을 가지는 위치들 간의 연장으로서 추상적이고 물리적인 범위(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p. 21)”로 이해된다.
일반적인 기록 조직의 원칙은 무엇인가? 일반적인 기록 조직의 원칙은, 업무과정에서 생산된 다양한 기록이 업무 부서나 업무 기능과 같은 생산 출처를 반영한 중층적 집합 계층에 배치되면서도 서로 연계되어야, 이용자가 그 생산 맥락을 재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Roe, 2005, pp. 14-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구본호 (2013). 공공미술, 도시의 지속성을 논하다. 해피북미디어. 검색일자: 2015. 4. 12. https://books.google.co.kr/books?idrbDXBQAAQBAJ, Koo, Bon-Ho (2013). Public art discusses continuity of cities. Happybookmedia. Retrieved April 12, 2015, from https://books.google.co.kr/books?idrbDXBQAAQBAJ 

  2. 국립민속박물관 (2011). Korea 1952: 찰스 버스턴 기증 사진집.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1). Korea 1952: Charles J. Burstone.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3. 김수정, 김용 (2013).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19-141. Kim, Soojung & Kim, Yong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based on FRB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119-141. 

  4. 김혜민 (2014). 창조적 소통공간으로 재탄생한 부산 산복도로. 지역과 발전, 15, 44-46. Kim, H. M. (2014). Rebirth of Sanbokdoro, Busan as ccreative community space. Regions & Development, 15, 44-46. 

  5. 마루타 하지메 (2011). '장소'론: 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박화리, 윤상현 옮김). 서울:심산. (원전 발행년 2008). Maruta, Hajime (2011). Theory of lo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Translated by Park, Haw-ri & Yoon, Sang-hyun). Seoul: Simsan. 

  6. 박대현 (2006). 한국현대시와 부산의 정신성: 부산항과 자갈치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8, 183-210. Park, Dae-Hyun (2006). Korean modern poetry and the mentality of Busan: Focused on Busan Port and Jagalchi. Han'guk Minjok Munhwa, 28, 183-210. 

  7. 부산광역시 (2013). 미국 국립문서관리청 소장 사진자료집. 부산: 부산발전연구원. Busan Metropolitan City (2013). A photographs collection of 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related to Korean War and Busan.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8.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 Seol, Moon-Won (2011). A study on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207-230. 

  9. 설문원 (2012).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37-455. Seol, Moon-Won (2012).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37-455. 

  10. 송정숙 (2011).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73-298. Song, Jung-Sook (2011). As an open port, Busan Port and related reco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273-298. 

  11. 송정숙 (2012). 부산의 기억과 로컬리티: 과 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343-364. Song, Jung-Sook (2012). Memories and the locality of Pusan: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343-364. 

  12. 이기봉 (2005). 지역과 공간, 그리고 장소. 문화역사지리, 17(1), 121-137. Lee, Ki-Bong (2005). Region, Space and Place.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17(1), 121-137. 

  13. 이윤용, 강은비, 이재나, 김용 (2014). FRBR기반의 전통건축물 메타데이터 스키마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29-57. Lee, Youn-yong, Kang, Eun-bi, Lee, Jae-na, & Kim, Yong (2014).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etadata schema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based on FRBR.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29-57. 

  14. 장훈종, 정종완 (2009). 지역문화 기반을 활용한 에코뮤지엄 사례연구: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9(3), 281-291. Jang, Hunjong & Jung, Jongwan (2009). Case study research on ecomuseum of local area:Based on foreign case study. Journal of Digital Design, 9(3), 281-291. 

  15. 정희선, 김희순, 송현숙, 이명희 (2013). 종교유적 건축물 정보의 메타데이터 구성과 온톨로지 구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5-26. Chung, Heesun, Kim, Heesoon, Song, Hyun-Sook, & Lee, Myeong-Hee (2013). Construction of metadata format and ontology for religious architecture heritage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5-26. 

  16. 조선총독부 (1943). 조선총독부고시 제564호.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43). The bulleti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 564. 

  17. 조성태, 강동진 (2009). 부산항 해안선의 변천과정 분석: 근대기 이후 시계열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4), 249-266. Cho, Sung-Tae & Kang, Dong-Jin (2009). Analysis of change process for coastline of Busan Port: With focus on time-series approach after modern era. Urban Design, 10(4), 249-266. 

  18.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2010).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서울: 해안. Korean Studies Institute (Eds.). (2010). Formation and representation of placeness. Seoul: Hae-an. 

  19. CNEDA (2012). Report on the work of CNEDA (2007-2012): Toward a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 in Spain. Retrieved April 21, 2015, from http://www.mcu.es/archivos/docs/MC/CNEDA/ReportCNEDA_11_07_2012.pdf 

  20. Dorr, Martin & Stead, Stephen (2012, June). Harmonized model for the digital world: CIDOC CRM, FRBRoo, CRMDig, EDM. Paper presented at the CIDOC CRM SIG Meeting in CIDOC2012, Helsinki. Retrieved April 1, 2015, from http://www.cidoc-crm.org/docs/CRM_for_TPDL.ppt 

  21. ICOM (2014a). What is the CIDOC CRM. Retrieved April 12, 2015, from http://www.cidoc-crm.org/ 

  22. ICOM (2014b). Comprehensive introduction. Retrieved April 11, 2015, from http://www.cidoc-crm.org/comprehensive_intro.html 

  23. ICOM/CIDOC CRM SIG (2015). Definition of the CIDOC Conceptual Reference Model. Retrieved April 2, 2015, from http://www.cidoc-crm.org/docs/cidoc_crm_version_6.0.doc 

  24. Kansallisarkisto (2013). Finnish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 draft version 0.1. Retrieved April 2, 2015, from http://www.arkisto.fi/uploads/Arkistolaitos/Teht%C3%A4v%C3%A4t%20ja%20toiminta/Hankkeet/AHAA/The%20Finnish%20Conceptual%20Model%20of%20Archival%20Description_text.pdf 

  25. Kilkki, J., Hupaniittu, O., & Henttonen, P. (2012). Towards the new era of archival description:The Finnish approach. International Counccil on Archives Congress 2012. Brisbane, 20-24 August, 2012. Retrieved April 2, 2015, from http://ica2012.ica.org/files/pdf/Full%20papers%20upload/ica12Final00361.pdf 

  26. Pitti, Daniel, Popovici, Bogdan-Florin, Stockting, Bill, & Clavaud, Florence (2014). Expert group on archival description: Interim report. Girona 2014: Archives & Cultural Industries, Retrieved April 2, 2015, from http://www.girona.cat/web/ica2014/ponents/textos/id56.pdf 

  27. Roe, Kathleen D. (2005). Arranging and describing archives and manuscripts. Chicago: SAA. 

  28. 문화재청 (2015).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 사업' 보고서 발간. 검색일자: 2015. 3. 27.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Il2AOcUliOYOapvV1p9ErXYLSDEfaS0CXTARIbfzfpGx1F3sqdlqA6l1qluTa335?newsItemId155699135§ionIdb_sec_1&mnNS_01_02_01 

  29. 서울 역사박물관 홈페이지. 검색일자: 2015. 4. 7. http://www.museum.seoul.kr/[ 신문기사 ] 

  30. 이승륜 (2014. 11. 24). 공단이미지 사상, 문화- 녹색공간 탈바꿈 시동. 국제신문. 검색일자: 2015. 4. 9.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41124.22009203612 

  31. 이은수 (2015. 1. 22). 진해에 '에코뮤지엄시티'로 부활 날개짓. 경남일보. 검색일자: 2015. 4. 9.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2452 

  32. 이재희 (2012. 6. 5). 미 문서관리청 보관 미군 기록사진 최초 공개. 부산일보. 검색일자: 2015. 4. 9.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206050001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