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 구매의도의 관계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among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2, 2015년, pp.161 - 174  

김춘연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  황진숙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  조재정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s among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ase of use in mobile fashion shopping. A final sample of 379 (from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wa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Sung(2013)은 패션 앱의 서비스 속성을 중요하게 평가할수록 모바일 쇼핑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된다고 하여 패션 제품의 모바일 쇼핑에서 개인화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을 소셜성, 탐색성, 개인화로 연구하고자 한다.
  • , 2008), 모바일 환경에서도 쇼핑을 통해 얻는 즐거움이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외에 지각된 즐거움을 기술수용모델의 변인으로 포함시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 환경에서의 특성을 외부변수로 설정하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을 포함하여 각 변인 간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 환경에서의 특성을 외부변수로 설정하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을 포함하여 각 변인 간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용용이성이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즐거움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모바일 패션 쇼핑 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태도와 사용증가를 위해서는 그 사용의 용이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모바일 기술이 이용하기 쉬울수록 모바일 패션 쇼핑이 더 유용하다고 지각하게 되고, 모바일 사용이 용이할수록 모바일 패션 쇼핑으로 즐거움을 얻게 되고 모바일 패션쇼핑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작용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 태도, 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검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모바일 사용의 용이함이 모바일 패션 쇼핑 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을 외부변수로, 지 각된 유용성,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을 포함한 확장된 TAM을 접목하여 사용용이성이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즐거움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TAM 모형을 기반으로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을 외부변수로 두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 태도와 구매의도 사이에서 각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이에서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여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Na and Jeong(2013) 은 모바일 패션 커머스의 수용태도에 유행선도력을 포함시켰고, Choi(2009)는 모바일 쇼핑 특성을 포함하여 모바일 쇼핑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들을 통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변수와 기술수용모델의 각각의 변인 사이에서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을 외부변수로 선정하고 사용용이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요인을 포함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각 변수 간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패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의 관계에서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패션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파악하여 기업의 모바일 패션 마케팅 전략 구축에 도움을 주고, 모바일 패션 쇼핑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통해 모바일 패션 소비자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모바일 패션 쇼핑 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태도와 사용증가를 위해서는 그 사용의 용이성이 보장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모바일 기술이 이용하기 쉬울수록 모바일 패션 쇼핑이 더 유용하다고 지각하게 되고, 모바일 사용이 용이할수록 모바일 패션 쇼핑으로 즐거움을 얻게 되고 모바일 패션쇼핑 자체를 즐기는 것으로 작용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패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의 관계에서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패션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파악하여 기업의 모바일 패션 마케팅 전략 구축에 도움을 주고, 모바일 패션 쇼핑 변수들 간의 연관성을 통해 모바일 패션 소비자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TAM 모형을 기반으로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을 외부변수로 두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 태도와 구매의도 사이에서 각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이에서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여 사용용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확장된 TAM 모형과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외에 지각된 즐거움을 기술수용모델의 변인으로 포함시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확장된 기술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 환경에서의 특성을 외부변수로 설정하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사용용이성을 포함하여 각 변인 간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용용이성이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즐거움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소셜성, 탐색성, 개인화)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소셜성, 탐색성, 개인화)은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소셜성, 탐색성, 개인 화)은 사용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1: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사용용이성은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소셜성, 탐색성, 개인화)과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쇼핑의 특징은 무엇인가? 모바일 쇼핑은 스마트폰, PDA 및 태블릿 PC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있는 것으로(Choi, 2009), 모바일 쇼핑의 특성은 기존 인터넷 쇼핑의 특성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인터넷과 달리 사용하는 장소, 시간, 사용맥락에 있어 제약이 덜 한 것이 특징이다(Lee & Choi, 2011). 스마트폰으로 SNS를 이용한 경험자의 과반수 이상은 SNS 를 이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고 정보공유활동을 즉각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모바일 쇼핑의 중요한 특성이라고 했다(“스마트폰 [One of three]”,2013).
종합 온라인 몰의 모바일 쇼핑 입점과 자체 모바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모바일 쇼핑 판매망을 구축한 패션 기업으로 들 수 있는 예시는? 패션 기업들은 종합 온라인 몰의 모바일 쇼핑 입점과 자체 모바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모바일 쇼핑을 연계한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어 모바일을 통한 패션 쇼핑이 패션 기업에게 영향력 있는 유통 채널로서 부상하고 있다. 삼성에버랜드 패션 부분에서는 2012년 이후 온라인 쇼핑몰의 모바일 쇼핑비중이 20%로 늘어났으며, 성주디앤디의 ‘MCM’, 발렌타인의 ‘러브캣’ 등은 모바일 쇼핑몰과 온라인 쇼핑몰을 연동한 상품 판매를 하고 있으며, 모바일 이용자를 대상으로 ‘기프티콘’, ‘카카오톡 선물하기’ 등을 활용한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모바일 쇼핑 [Emerging]”, 2013). 
모바일 쇼핑이란 무엇인가? 모바일 쇼핑은 스마트폰, PDA 및 태블릿 PC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있는 것으로(Choi, 2009), 모바일 쇼핑의 특성은 기존 인터넷 쇼핑의 특성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인터넷과 달리 사용하는 장소, 시간, 사용맥락에 있어 제약이 덜 한 것이 특징이다(Lee & Choi, 2011). 스마트폰으로 SNS를 이용한 경험자의 과반수 이상은 SNS 를 이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고 정보공유활동을 즉각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모바일 쇼핑의 중요한 특성이라고 했다(“스마트폰 [One of three]”,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garwal, R., &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665-694. 

  2. Baek, S. W., Ahn, H. Y., & Lee, Z. K. (2012). 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 term of attributes of apps in appstore and buyer's innovativeness.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3(4), 103-119. doi:10.7472/jksii.2012.13.4.103 

  3.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doi:10.1037/0033-2909.88.3.588 

  4. Cheung, G. W., & Lau, R. S. (2007). Testing mediation and suppression effects of latent variables bootstrapp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1(2), 296-325. 

  5. Choi, H. (2009). A study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usage intention of mobile shopp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6. Choi, H. R. (2004).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on mobile commerce acceptance in mobile environment.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7(1), 1-28. 

  7.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1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3rd ed.). New York, NY: Routledge. 

  8.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9.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10.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New York, NY: Dryder. 

  11. Fan, H., & Poole, M. S. (2006). What is personalization? Perspectives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ization in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Organizational Computing and Electronic Commerce, 16(3-4), 179-202. 

  12.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13. Gillenson, M. L., & Sherrell, D. L. (2002). Enticing online consumers: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39(8), 705-719. 

  14. Ha, S., & Stoel, L. (2009). Consumer e-shopping acceptance: Antecedents in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5), 565-571. 

  15. Hair, J. F. Jr.,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16. Holmbeck, G. N. (1997).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4), 599-610. 

  17. Hong, B. S., Lee, E. J., & Cho, M. A. (2009). The effect of purchase reviews on the trust, satisfaction, commit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 in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817-1827. 

  18. Hong, B. S., & Na, Y. K. (2007). The effect of apparel customer's product, price attributes and shopping values on internet shopping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7), 1075-1084. 

  19. Hong, S. B. (2013). A study on the mobile fashion commerce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Hoyle, R. H., & Smith, G. T. (1994). Formulating clinical research hypotheses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 conceptual over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3), 429-440. 

  21. Igbaria, M., Parasuraman, S., & Baroudi, J. J. (1996). A motivational model of microcomputer usag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27-143. 

  22. Kang, J. H., & Jin, B. H. (2010). Korean college students' purchase intention of foreign jeans brands-Applying an integrated behavioral inten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41-1351. 

  23. Kim, J. H., & Hwang, J. S. (2013).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and internet shopping familiarity on purchase behavior in mobile fashion shopping.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8, 199-214. 

  24. Kim, M. J. (2009). The study of the effects of factors on the attitude and the using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Focused on 20's-30's fema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4), 709-722. 

  25. Ko, E. J., Kim, K. H., & Kim, S. S. (200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7), 1164-1179. 

  26. Lee, E. K.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risk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personal innovation and mobile internet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Lee, D. I., & Choi, S. H. (2011). The impact of product display on consumers' evaluation of usefulness of product information in mobile shopping.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9(5), 173-182. 

  28. Lee, H. M. (2012). A study on consumers' buying intention toward fashion goods through global internet shopping mall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 (4), 573-593. 

  29. Lee, J. W., & Kim, M. Y. (2013). The effect of involvement in smartphones on purchase intention in fashion shopping malls based on mobile web apps and PC web app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3), 393-405. 

  30. Lee, M. J., & Lee, K. H. (2013). Mobile shopping motives and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153-163. 

  31. Lee, S. H., Lee, U. O., & Yu, J. P. (2011). Antecedents of purchase intention toward fashion T-commerce: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2(1), 93-115. 

  32. Lee, T. 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social network usage and brand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smart shopper feelings. Korean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22(2), 125-150. 

  33. Muller-Veerse, F. (1999). Mobile commerce report. London: Durlacher Research Ltd. 

  34. Na, Y. K., & Hong, B. S. (2008). The effect of the perceived risk, trust of internet shopping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5), 834-845. 

  35. Na, Y. K., Hong, B. S., & Kang, S. M.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value and risk of internet shopp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213-1225. 

  36. Na, Y. K., & Jeong, H. Y. (2013).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and commercvve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fashion mobile commerc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5(1), 1-19. 

  37. Park, J. O., Lee, K. H., & Lee, A. N. (2007). A study of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related to mobile fashion advertising and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131-140. 

  38. Shim, S. I., Jang, S. J., & Lee. Y. R. (2008). Effects of product and situation on internet browsing behavior for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7), 1046-1055. 

  39. Shin, M. S., & Kim, H. J. (2013). The study for IPA (Importance- Performance) of mobile commerce selection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82, 335-355. 

  40. Stine, R. (1989). An introduction to bootstrap methods examples and idea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8(2-3), 243-291. 

  41. Sung, H. W.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ttitude toward and intention to use mobile shopping through fashion apps-Comparisons of gender and age group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7), 1000-1014. doi:10.5850/JKSCT.2013.37.7.1000 

  42. Teo, T. S., Lim, V. K., & Lai, R. Y. (1999).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Internet usage. Omega, 27(1), 25-37. 

  43. Van der Heijden, H. (2004). User acceptance of hedonic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695-704. 

  44. Venkatesh, V., &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45. Wang, Y. S., Lin, H. H., & Luarn, P. (2006). Predicting consumer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 Information Systems Journal, 16(2), 157-179. 

  46. Wu, J. H., Wang, Y. M., & Tai, W. C. (2004). Mobile shopping site selection: The consumers' viewpoint. Proceedings of System Sciences, the 37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USA, 1-8. 

  47. Yoon, N. H., & Choo, H. J. (2011). The effects of mobile using benefits and costs on the self-connection with mobile device: Comparing between mobile fashion application users and non-users. Journal of Comsumer Studies, 22(2), 227-252. 

  48. Yoon, Y. S., & Lee, K. Y. (2010). The impact of users' satisfaction and habits in customer loyalty to continue the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5(4), 123-142. 

  49. 모바일쇼핑 이용실태 조사 [The survey of using mobile shopping]. (2013, May 15).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Retrieved October 8, 2014, from http://retaildb.korcham.net/Service/Report/appl/ActualResearchView.asp?nkey1841 

  50. 모바일 쇼핑 주요 유통채널로 부상 [Emerging mobile shopping as a main distribution channel]. (2013, June 12). Apparel News. Retrieved October 8, 2014, from http://www.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46949 

  51. 스마트폰 사용자 3명중 1명 '모바일 쇼핑중' [One of three in smart phone users is 'on mobile shopping']. (2013, April 25). Newsis. Retrieved October 21, from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130412_0011997811 

  52. 이제는 모바일 쇼핑이 대세...시장규모 10조 원 넘어 [The tide of mobile shopping...Over 10 trillion won scale of market]. (2014, August 11). MBC News. Retrieved October 8, 2014, from http://imnews.imbc.com/replay/2014/nwdesk/article/3508724_13490.html 

  53. 해외 모바일 쇼핑서비스의 현황과 주요 특징 [The statu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global mobile shopping service]. (2010, July 19). Digieco. Retrieved May 10, 2011, from http://www.digieco.co.kr/KTFront/dataroom/dataroom_start_up_view.action?board_idissue_trend&board_seq4057&sort_ordernew&list_pa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