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백피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 면포의 항생제 내성균주 증식 억제효능
Effe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Extract on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n Dyed Cott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2, 2015년, pp.287 - 293  

최나영 (원광대학교 가정교육과) ,  강선영 (원광대학교 식품융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verifies stainability, super bacteria antibacterial feature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UD) extract in dye cotton cloth. UD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the test cloth dyed, and then processed by mordanting treatment using $FeSO_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백피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 면포의 최근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백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색한 면시험포의 염색성과 .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백피란 무엇인가? 천연염료로 쓰이는 유백피는 느릅나무의 수피를 말하며 옛날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대· 소변의 불통, 불면증, 부종, 거담, 위통 및 다양한 종기나 종창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 되었다(Heo, 1610/1994).
유백피는 어떠한 질환에 효능이 있는 약인가? 천연염료로 쓰이는 유백피는 느릅나무의 수피를 말하며 옛날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대· 소변의 불통, 불면증, 부종, 거담, 위통 및 다양한 종기나 종창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 되었다(Heo, 1610/1994). 민간에서는 뿌리껍질에서 나오는 액을 간암의 치료에, 뿌리를 찧어 환부에 발라서는 염증의 치료에, 그리고 가지와 잎은 위궤양의 치료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유백피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유백피(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의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계인 카테킨과 탄닌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백피 추출물의 주성분은 (+)-catechin 및 그 배당체 화합물인 (+)-catechin-7-O-β-D-apiofuranoside로 보고된 바 있다(Bae & Kim, 2000; Kim et al., 1992; Moon im, 1995; 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Y. S., & Kim, J. K. (2000). Extractives of the bark of ash and Elm as medicinal hardwood tree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8(3), 62-69. 

  2. Cho, K. R. (2000). 천연염료와 염색 [Natural dyes and dyeing]. Seoul: Hyeongseol Publishing firm. 

  3. Cho, K. R., & Kim, M. S. (2003). The dyeing properties of Ulmi cortex extrac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15 (1), 30-38. 

  4. Choi, H., Shin, Y. S., Choi, C. N., Kim, S. Y., & Chung, Y. S. (2007). Dyeing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ybean fiber with gromwell color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1), 119-123. 

  5. Choi, Y. H., Kwon, O. K., & Moon. J. G. (2003).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fabrics with Elm-bark extracts.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15(3), 14-19. 

  6. Dulon, M., Haamann, F., Peters, C., Schablon, A., & Nienhaus, A. (2011). MRSA prevalence in European healthcare settings: a review. BMC Infectious Diseases, 11, 138. doi:10.1186/1471-2334-11-138 

  7. Heo, J. (1994). 동의보감 [Donguibogam] (Donguihak Institute, Trans.). Seoul: Yeogang Publishing firm. (Original work published 1610) 

  8. Im, E. S., & Lee, H. S. (2011). A study on function of natural dyeing with cotton fabrics using Jeju scoria.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3(3), 179-186. 

  9. Jang, Y., Choi, Y., Lee, H., Tak, M., Lyoo, W. S., & Jang, J. (2011). Color deepening and antimicrobial finish in the dyeing of cotton fabrics using Rhus verniciflua extrac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3(1), 28-34. 

  10. Kim, B. H., & Song, W. S. (2002). Dyeability and antimicrobiality of the silk fabric dyed with Inula Britannic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8), 99-105. 

  11. Kim, K. S., & Kim, Y. J. (1997).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soluble colorants of the gardenia jasminoides Ellis.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9(3), 10-17. 

  12. Kim, S. H., Hwang, K. T., & Park, J. C. (1992). Isolation of flavonoids and determination of rutin from the leaves of Ulmus parviflor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3 (4), 229-233. 

  13. Kim, S. H., & Shin, Y. S. (2010). Evaluation of clothing comfort and anti-atopy properties by human wear test-Focused to inner wear natural dyed with bamboo charco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2(1), 122-128. 

  14. Lee, J. S., & Jeong, G. E. (2012). A study on natural dye having the effects on the atopic dermatitis (Part I): Bamboo extrac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4(3), 189-195. 

  15. Lee, J. S., & Woo, H. J. (2012). A study on natural dye having the effects on the atopic dermatitis (Part II): Pine needles extrac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4(3), 196-203. 

  16. Lee, M. S., Hong, M. K., Kim, E. K., & Bae, S. W. (2001).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color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dyed with natural dy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3), 617-628. 

  17. Moon, Y. H., & Rim, G. Y. (1995).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Ulmus parvifoli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6(1), 1-7. 

  18. Scott, E., Duty, S., & Callahan, M. (2008). A pilot study to isolate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resistant Saureus from environmental surfaces in the hom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6(6), 458-460. 

  19. Son, B. W., Park, J. H., & Zee, O. P. (1989). Catechin glycoside from Ulmus daviklian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2(3), 219-222. 

  20. Song, K. H., Kim, B. H., Choi, Y. S., & Byun, S. Y. (1999). Study on natural dyeing using the Elm-Bark. Journal of Natural Science Pai Chai University, 11(1), 143-150. 

  21. Woo, H. J., & Lee, J. S. (2011).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pine needles extract (Part II)-Dyeing properties of protein fib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4), 466-475. 

  22. Yoo, K. H., & Jeong, J. M. (2009).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12), 1691-1698. 

  23. You, Y. E. (2001). A study on natural dyeing using the Elm- Ba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Daeje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