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라산 영구춘화(瀛邱春花)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 및 지역문화상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with the Image of the Spring Flowers on Halla Mountai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2, 2015년, pp.307 - 322  

김기억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  홍희숙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fashion products with the image of 'Youngguchunhwa', which means the beautiful spring flowers of Jeju. Historical literature was reviewed to emphasize the authenticity of Halla Mountain and Youngguchunhwa. Consumers' responses to Halla Mountain, Baeng...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패션문화상품이란 무엇인가? 패션문화상품이 국가의 대표적 이미지나 전통문화 자원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상품이라면, 지역패션문화상품은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발된 패션상품을 의미한다. 지역문화상품은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특수성과 우수성을 알림으로써 지역이미지를 향상시키는 한편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하다.
매계선생문집에서 예찬하는 것은 무엇인가? , 2007). 이 문집에서 영주십경은 해가 뜨고 지는 자연의 질서를 대표하는 경관(성산일출, 사봉낙조), 4계절의 변화를 대표하는 경관(영구춘화, 정방하폭, 귤림추색, 녹담만설), 기암과 굴사의 경관(영실기암,산방굴사), 제주 풍물과 관련한 경관(산포조어, 고수목마)들을 예찬하고 있다(Oh, 1991). 영주십경은 글 이외에 그림으로 그려져 화첩과 병풍으로도 만들어졌는데,[Fig.
지역문화상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패션문화상품이 국가의 대표적 이미지나 전통문화 자원의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상품이라면, 지역패션문화상품은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발된 패션상품을 의미한다. 지역문화상품은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특수성과 우수성을 알림으로써 지역이미지를 향상시키는 한편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패션문화상품 개발은 대부분 다른 국가와 차별화되는 한국 전통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문화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o, M. B. (1932). 이재수실기 [The record about the real case of Jaesoo Lee]. Jeju: Jungdomunhwadang. 

  2. Institute of Hallasan Ecological Culture. (2006). 한라산의 등반.개발사 [The history on the development and climbing of Hallasan]. Jeju: Gak. 

  3. Je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2013). Old painting and calligraphy embracing Jeju Island. Jeju: Daesininsoa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4. Resourse Research. (2009). The natural resources in Mt. Hallasan. Jeju: Design Yeolrim. 

  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ourse Research. (2013). The story of Mt. Hallasan. Jeju: Seonjin Insoaisa. 

  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8). Jeju culture symbol. Jeju: Hanachulpan. 

  7.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Tourism Association. (2014, January 17). 2013년 12월 관광객 입도현황 [The number of the tourists coming to Jeju Island in December, 2013].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Tourism Association. Retrieved August 12, 2014, from http://www.hijeju.or.kr/APP/bbs/board.php?bo_tabletotal&wr_id199 

  8. Jeju Tourism Organization. (2013a). 2012 제주특별자치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2 Jeju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9. Jeju Tourism Organization. (2013b). 제주관광시장동향분석보고서 1권 [Jeju tourism market report, Vol. 1]. Jeju: Author. 

  10. Jin, Y. I. (2008). 고대 중세 제주역사 탐색 [A study o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Jeju]. Seoul: Bogosa. 

  11. Jung, J. S.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image of souvenir package design using Cheju island dialect-Focusing on the "fancy"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Kang, C. R. (2004). 이익태 제주 목사와 탐라십경도 [Lee Iktae, Jeju local governor and Tamnasipkyungdo]. Life and Culture, 13, 4-7. 

  13. Kang, K. C., Kim, K. S., Kang, T. H., & Hong, E. S. (2012). 제주 천연염색산업 실태조사 및 디렉토리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natural dying industry-Focusing on companies in Jeju]. Jeju: Jeju Tourism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14. Kang, N. Y.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Jeju tourism adornment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on University, Naju. 

  15. Kim, D. J. (2003). 제주 지역 문화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방안 -제주국제자유도시 시대와 관련하여- [The right understanding of Jeju cultures and it's application plans-Related to the period of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6(2), 315-346. 

  16. Kim, H. G. (2003). A study on policies for the vitalization of Jeju souvenir industry. Journal of Cheju Studies, 24, 169-185. 

  17. Kim, K. M., Hong, J. M., & Kim, K. Y. (2007). Utility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for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An examination of Yeongcheon Arear.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0(2), 41-47. 

  18. Kim, K. Y., Hong, J. M., & Kim, Y. M. (2005). Utility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for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An examination of Kyungju Arear.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8(1), 145-150. 

  19. Kim, S. B. (2007). A study on the view of picturesque scenery of Jeju-island to Yeoung Ju-Sipkyung & it's experience devices.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32(1), 1-14. 

  20. Kim, S. H. (1992). 남사록 [Namsarok] (H. D. Kim, Trans.). Seoul: Younggamunhwasa. (Original work published 1601) 

  21. Lee, G. H. (2013). 탐라직방설 [Tamnajikbangseol] (H. B. Hyun, Trans.). Jeju: Gak. (Original work published 1819) 

  22. Lee, H. S. (2009). 남환박물 [Namhwanbakmul] (S. G. Lee, & C. M. Oh, Trans.). Seoul: Purnyouksa. (Original work published 1704) 

  23. Lee, W. J. (1991). 탐라지 [Tamnaji] (S. J. Kim, Trans.). Jeju: Gyeongsin Insoaisa. (Original work published 1653) 

  24. Lee, W. J. (2007). 탐라지초본(상) [Tamnajichobon(sang)] (C. S. Ko, H. C. Kim, M. B. Oh, H. W. Kim, S. O. Kim, C. M. Oh, & S. J. Oh, Trans.). Jeju: Jeju Education Museum. (Original work published 1843) 

  25. Lee, Y. J., Bae, S. H., & Park, S. S. (2011). Natural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from google Earth-A focused on the ten scenic views of Yeongju on Jeju Island-. The Journal of Tourism Studies, 23(2), 41-56. 

  26. Monthly Jeju Tour. (1986). 임제의 남명소승 [Nammyeongsoseung by Je Lim]. Monthly Jeju Tour, 9, 120-123. 

  27. Oh, J., & Hong, H. (2015).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nd textile designs with the patterns of Jeju Bangsatop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 (1), 126-144. 

  28. Oh, M. B. (1991). 영주십경 소고 [The study on Yeoungjusipkyung]. 제주도, 90, 215-230. 

  29. Rho, J. H., Shin, B. C., & Han, S. Y. (2009). A study on the traditional sceneries of Jeju-island through T'amna-Sipkyubg and T'amna-Sullyokt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7(3), 91-104. 

  30. Rho, J. H., Shin, S. S., Kim, S. B., & Jo, C. M. (2007). A study on the scenery view approach to structural forms & meaning contexts of Yeoung Ju-Sipkyung on Jeju-islan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2), 47-58. 

  31. Suh, Y. K. (2011). 제주 중국관광객 유치성과와 발전방안 [Performance and development plans to induce Jeju tourists]. Korea Tourism Policy, 46, 24-31. 

  32. Tamla Culture Research Institute. (1992). 탐라별곡 해제 [The summary and explanation of Tamnabyulkok]. Tamla Munwha, 12, 275-280. 

  33. Yoon, S. H. (2012).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applying Jeju traditional woman diver's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34. Yoon, S. H., & Hong, H. (2015).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nd textile designs with Jeju Choga patter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1), 45-62. 

  35. 담수계 [Damsugye]. (2005). 증보탐라지 [Jeungbotamnaji]. (S. M. Hong, C. H. Kim, M. B. Oh, E. S. Koh, I. S. Kim, S. I. Kim, I. W. Kim, C. S. Park, & K. P. Hong, Trans.). Jeju: Kyungsininshoiso. (Original work published 1953) 

  36. 한라산 백록담 [Hallasan Baengnokdam]. (n.d).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Retrieved January 12, 2015, from http://search.cha.go.kr/srch_new/search/search_top.jsp?searchCnd&searchWrd&hometotal&mn&gubunsearch&query%ED%95%9C%EB%9D%BC%EC%82%B0&x0&y 

  37. 拏. (n.d.). Naver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Online. Retrieved January 12, 2015, from http://hanja.naver.com/hanja?q%EF%A5%9B 

  38. 漢. (n.d.). Naver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Online. Retrieved January 12, 2015, from http://hanja.naver.com/hanja?q%E6%BC%A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