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남성 근로자의 알코올 섭취와 혈압, 혈청 지질, 간기능검사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Intake and Blood Pressure, Serum Lipids, Liver Function Tests and Obesity Indices in Middle-Aged Mal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5, 2015년, pp.3323 - 3332  

박승경 (대전보건대학 피부미용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년 남성 근로자에 대한 알코올 섭취와 혈청지질, 간기능검사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련성을 알아볼 목적으로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59세의 남성 근로자 2,17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1일 알코올 섭취량과 혈압, 혈청지질, 간기능검사치 및 비만지표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혈압은 음주량의 증가와 함께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TG)도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HDL-콜레스테롤은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ST, ALT, ALP${\gamma}$-GTP도 음주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비만지표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SBP, DBP), 혈청지질치(HDL-C, LDL-C, TG) 및 간기능검사치(AST, ALT)가 비정상으로 높아질 위험비는 소량 음주군에 비해 다량 음주군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다량의 음주는 혈압, 혈청지질 및 간기능검사치 증가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 비만지표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인정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cohol intake on blood pressure, serum lipids, liver function tests and obesity indices in middle-aged male workers. The 2,175 male workers aged 30-59 years who examined health checkup were recruited as the study subjects during the per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에 비해 지배적으로 많은 알코올 섭취를 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음주량과 혈압, 혈청지질 및 비만관련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각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습관병을 초래하기 쉬운 요인들은? 근래 우리나라는 식습관 및 생활양식의 급격한 서구화로 인하여 소위 생활습관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생활양식은 고 칼로리의 식이 섭취, 운동량의 부족, 과다한 스트레스 등 생활습관병을 초래하기 쉬운 요인들이 증가하는 환경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생활양식 가운데 건강과 관련된 대표적인 요인으로 운동, 음주, 흡연이 포함된다[1].
음주의 특징은? 음주는 인류에게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생활습관의 하나였으며 식습관을 비롯한 다른 생활습관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3,4]. 또한 음주습관은 성, 연령 및 직업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며[5], 특히 직장에서의 남성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사회적 음주문화는 건강문제의 관련인자로서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음주와 비만지표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주장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이유는? 조사대상자의 연령별 및 알코올섭취별 비만지표의 평균치는 BMI, 체지방율 및 허리둘레 모두 30대에서는 음주량의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40대와 50대 연령군에서 는 음주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음주와 비만지표 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주장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ayashi T, et al. Walking to work and the risk for hypertension in men: the Osaka Health Survey. Ann Intern Med, 131:21-6, 1999. DOI: http://dx.doi.org/10.7326/0003-4819-131-1-199907060-00005 

  2. Helderstdet W, Jeffery R, Murray D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intake and adipos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Am J Epid, 132:594-611, 1990. 

  3. Hillers VN, Massey LK. Interrelationships of moderate and high alcohol consumption with diet and health status. Am J Clin Nutr, 41;356-362, 1985. 

  4. Fisher M, Gordon T. The relation of drinking and smoking habits to diet: the Lipit Research Clinics Prevalence Study. Am J Clin Nutr, 41;623-630, 1985. 

  5. Colditz GA, Giovannucci E, Rimm EB, et al. Alcohol intake in relation to diet and obesity in women and men. Am J Clin Nutr, 54;49-55, 1991. 

  6. Ueshima H, Ozawa H, Baba S, et al. Alcohol drinking and high blood pressure: Data from a 1980 national cardiovascular survey of japan. J Clin Epidemiol, 45;667-673, 1992. DOI: http://dx.doi.org/10.1016/0895-4356(92)90139-E 

  7. Tsuruta M, Adachi H, Hirai Y, et al. Association between alcohol intake and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japanese normotensive men; 12-year follow-up study. Am J Hypertens, 13;482-487,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895-7061(99)00238-1 

  8. Adachi H, Hirai Y, Fujiura Y, Imaizumi T, Effect of alcohol intake on dietary habits and obesity in japanese middle-aged men Japanese J Public Health, 47(10);879-886, 1999. 

  9. Mann GV. Obesity reconsidered. South Med J, 75:1389-91, 1982. DOI: http://dx.doi.org/10.1097/00007611-198211000-00022 

  10. Levine JA, Harris MM, Morgan MY. Energy expenditure in chronic alcohol abuse. Eur J Clin Invest, Sep;30(9):779-86, 2000. 

  11.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 and health statistitical data collection. p182-196, 2000. 

  12. Adachi A, Hirai Y, Fujiura Y, Imaizumi T. Effects of alcohol intake on dietary habits and obesity in japanese middle-aged men. Japanese J Public Health, 47(10):879-886, 2000. 

  13.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499, 1972. 

  14.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et al.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42(6):1206-1252,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HYP.0000107251.49515.c2 

  15. NCEP. Reports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al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 2008.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Examination Statute Book, 2008. 

  17.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18. Smith AM, Baghurst KI. Public health implications of dietary differences between social status and occupational category group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46:409-416, 1992. DOI: http://dx.doi.org/10.1136/jech.46.4.409 

  19. Ueshima H, Ozawa H, Baba S, et al Alcohol drinking and high blood pressure: Data from a 1980 national cardiovascular survey of japan. J Clin Epidemiol, 45:667-673, 1992. DOI: http://dx.doi.org/10.1016/0895-4356(92)90139-E 

  20. Tsuruta M, Adachi H, Hieai Y, et al Association between alcohol intake and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Japanese normotensive men: 12-year follow-up study. Am J Hypertens, 13:482-487,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895-7061(99)00238-1 

  21. Karsenty BC, Chanussot F, Ulmer M, Debry G. Influence of chronic ethanol intake on obesity liver ststosis and hyperlipidemia in the Zucker fa/fa rat. Brit J Nutr, 54:5-13, 1985. DOI: http://dx.doi.org/10.1079/BJN19850086 

  22. Glueck CJ, Hogg E, Allen C, Gartside PS. Effects of alcohol ingestion on lipids and lipoproteins in normal men: isocaloric metabolic studies. Am J Clin Nutr, 33:2287-2293, 1980. 

  23. Thompson JA, Reitz RC. Effects of ethanol ingestion and dietary fat levels on mitochondrial lipids in male and female rats. Lipids, 13:540-550, 1978. DOI: http://dx.doi.org/10.1007/BF02533593 

  24. Fallon HJ, Gertman PM, Kemp EL The effects of ethanol ingestion and choline deficiency on hepatic lecithin biosynthesis in the rat. Biochem Biophy Acta, 187:94-104, 1969. DOI: http://dx.doi.org/10.1016/0005-2760(69)90136-2 

  25. Lieber CS, De Carli LM. An experimental model of alcohol feeding and liver injury in the baboon. J Med Prim, 3:153-163, 1974. 

  26. Kim MH, Choi MK. a coperative study on serum lipid levels in normals and chronic alcoholics. Korean J Nutrition, 27(1):53-58, 1994. 

  27. Barboriak JJ, Anderson AJ, Hoffman RG. Inter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acclusion,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lcohol intake. J Lab Clin Med, 94:348, 1979. 

  28. Barboriak JJ, Anderson AJ, Rimm AA, King JF.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coronary artery ooclusion. Metabolism, 28:735, 1979. DOI: http://dx.doi.org/10.1016/0026-0495(79)90178-1 

  29. Wilkinson JA, Shane B. Folate metabolism in the ethanol-fed rat. J Nutr, 112:604-609, 1982. 

  30. Naughton CA, Chandler CJ, Duplantier RB, Halsted CH. Folate absorption in alcoholic pigs: In vitro hydrolysis and transport at the intestinal brush border membrane. Am J Clin Nutr, 50:1436-1441, 1989. 

  31. Tamura T, Romero JJ, Watson JE, Gong EJ, Halsted CH. hepatic folate metabolism in the chronic alcoholic monkey. j Lab Clin Med, 97:654, 1981. 

  32. Mezey E. Alcoholic liver disease: Roles of alcohol and metabolism. Am J Clin Nutr, 33:2709-2718, 1980. 

  33. Weir DG, McGing PG, Scott JM. Folate metabolism, the enterohepatic circulation and alcohol. Biochem Pharm, 34(1):1-7, 1985. DOI: http://dx.doi.org/10.1016/0006-2952(85)90092-9 

  34. Pirola RC, Lieber CS. The energy cost of the metabolism of drugs, encluding ethanol. Pharmacology, 7:185-196, 1972. DOI: http://dx.doi.org/10.1159/000136288 

  35. Nakajima T, Murayama N. Drinking -related changes in dietary intake in 2165 male adults. Japanese J Public Health, 39(2):90-99,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