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신혼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Study on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s in Pre-honeymoone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2, 2015년, pp.71 - 82  

제남주 (경상대학교 간호대학원)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levels of awareness on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pre-honeymooners; and 2)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level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and reproductive health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을 앞둔 예비 신혼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예비 신혼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을 높이고 고위험 임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예비 신혼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예비신혼 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과 생식건강증진 행위와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을 높이고 생식 건강증진 행위를 통해 고위험 임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예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을 높이고 생식건강증진 행위를 이끌어냄으로써 고위험 임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저체중아의 증가의 이유는 무엇인가? 5%로 늘어 저체중아, 조산아 출산 등 부정적 출산결과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3]. 우리나라 저체중아의 증가는 고령임신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보조생식술에 따른 쌍태임신이 주로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그것보다 더욱 중요한 이유는 선진국과 달리 수태 전 건강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1]. 일반적으로 나이, 임신 전 만성질환 병력, 음주, 흡연, 약물 등과 같은 건강위험 행동, 계획임신, 운동 및 영양 상태, 엽산의 섭취, 임신 전 ‧ 임신 중 감염, 고혈압, 풍진, 성병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이 출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4].
산전관리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산전관리는 임신 중 검진을 나타내는 뜻으로 임신하기 전의 건강관리인 수태 전 관리와는 구별되어야 한다[1]. 여성의 수태 전 건강관리는 임신부와 태아의 기형예방 및 건강증진에 가장 중요하고 실질적인 조치에 해당된다[2].
태아의 환경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주는 것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생활습관은 생식능력과 연관되어 있고 태아의 환경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7]. 예를 들어 알코올, 흡연 및 약물남용 등은 정자 기형, 정자 수 감소로 인한 불임, 태아 기형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졌어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금연, 금주의 필요성을 이해시키는 것은 중요하다[2,8]. 따라서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수태 전에 유해결과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인식하는 것이 이러한 인자를 최소화하는 중요한 조치이며[9], 수태 전 건강관리에 대한 현재 남성과 여성의 인식수준을 파악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ark MI. Importance of preconception care in low-fertility societ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8):796-798. 

  2. Hong SC, Choi JS, Han JY, Nava-Ocampo AA, Koren G. Essence of preconception counseling and ca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8):799-807. 

  3. Statistics Korea. 2013 Birth statistics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August 2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29406. 

  4. Lee SR. Women of childbearing age before pregnancy maternity health care support Study (General Report). Seoul: Kyungsung cultural history; 2013. 

  5. Drever N, Saade GR, Bytautiene E. Fetal programming: Earlylife modulations that affect adult outcomes. Current Allergy and Asthma Reports. 2010;10(6):453-459. 

  6. Ko HS, Park IY, Shin JC. Pre-pregnancy lifestyle of couple for a healthy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8):825-831. 

  7. Burdorf A, Figa'-Talamanca I, Jensen TK, Thulstrup AM.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on the reproductive system: Core evide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ccupational Medicine. 2006;56(8):516-520. 

  8. Kennedy HP, Griffin M, Frishman G. Enabling conception and pregnancy: Midwifery care of women experiencing infertility. Journal of Nurse-Midwifery. 1998;43(3):190-207. 

  9. Delgado CE. Undergraduate student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preconception health and pregnancy.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08;12(6):774-782. 

  10. CDC. Recommendations to improve preconception health and health care-United States: A report of the CDC/ATSDR preconception care work group and the selected panel on preconception care. MMWR. 2006;55(RR-6):1-23. 

  11. Cho DS, Kim EJ, Jun EM. Gender differences in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19-229.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roductive health indicators. Guidelines for their generation, interpretation and analysis for global monitoring [internet]. Geneva: WHO: 2012 [cite 2012 July 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reproductivehealth/publications/monitoring/924156315x/en/index.html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Milestones in health promotion statements from global conferences. Geneva: WHO press; 2009. 

  14. Jo HY, Kim YH, Son HM.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2014;31(5): 29-43. 

  15. Je NJ, Choi SY. The study on unmarried women over the age 30, regarding the value of marriage and children and the knowledge of high risk pregna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2):250-263. 

  16. Statistics Korea. The lives of women looking to 2014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June 25]. Available from: http://kosis.kr/upsHtml/online/downSrvcFile.do?PUBCODEKL&FILE_NAME/KL/KL0806.xlsx&SEQ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