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성지식, 성행동, 자기효능감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xual Knowledge, Sexual Behavior and Self-efficacy on thei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18 - 25  

김보경 (화명일신기독병원)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which effect to female college studen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correlational study and subjects were 127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B metro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생식건강에 대한 연구는 성태도와 성행동[10], 생식건강증진 행동[6]과 건강증진 생활양식[12], 건강 증진행위 관련 요인[14] 등이 있으나 생식건강증진행위와 성지식, 성행동,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성지식, 성행동, 자기 효능감 및 생식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요인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여대생의 생식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함이며, 향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여대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여대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성지식과 성행동이 생식건강증진행 위를 21.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성지식, 성행동, 자기효능감, 생식건강증진행위 정도와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고 생식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자료수집방법은 연구자가 B광역시 소재의 2개의 전문대학을 직접 방문하여 해당 학과장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 및 자료수집 방법을 설명한 후 허락을 받았다. 연구자는 간호사로서 설문 대상 학생들과 관련성이 없으며 대상 학교도 편의 표출한 것이므로 가능한 위계관계에 의한 윤리적 문제의 발생을 차단하고자 노력하였다. 자료 수집은 직접 대면하여 여대생에게 연 구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설명하고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임신중절로 인한 불완전한 임신 종결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6%가 임신 경험이 있었으며, 임신 경험이 있는 대상자 모두가 인공임신 중절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임신중절로 인한 불완전한 임신 종결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사회적 부담과도 직결되고, 당사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출산 수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1].
대학생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성적 충동을 적절히 수용하고 판단하는데 필요한 성에 관한 가치체계는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 주체적인 판단이나 선택에 따른 성행동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또한 이 시기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지식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어 성적 접촉 등 성건강의 신체적 측면인 생식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가 빈번해지게 되며, 이성과의 성행동에 의하여 성적 욕구를 해소하게 된다[5-6]. 대학생 특히 여대생의 성교 경험은 2001년 14.
성지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지식은 건강증진행동을 증가시키는 반면 위험한 행동은 감소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로[4], 성지식은 신체 변화에 대한 지식을 앞서 습득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심리적 적응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으며 성행동으로 인한 잠재적인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5]. 특히 대학생의 성지식은 이들의 생식건강증진 행위의 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므로[6], 대학생의 성지식과 이들의 성행동,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행위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ohn AR, Chun SS. Comparing sexual attitude, sexual initiation and sexual behavior by gender in Korean college student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05;18:73-100. 

  2. Yoo GS, Kang SH. A study on sexu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and sexual intercours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0;15(1):101-118. 

  3. Kim SH, Yoon WC. Sexual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2):248-257. 

  4. Ganga M, Mary AS, Robert S. HIV/AIDS knowledge, self-efficacy for limiting sexual risk behavior and parental monitoring.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6;31(1):63-69. http://dx.doi.org/10.1016/j.pedn.2015.06.015 

  5. Kim NH, Park JJ, Jung HS.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 2015;7(2):17-42. 

  6. Kim MS, EO YS. A study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universit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5;21(2):140-147. 

  7. Jo HY, Kim YH, Son HM.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2014;31(5):29-43. 

  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Internet]. Cheongju:Author;2016 [cited 2016 October 21]. Available from: http://is.cdc.go.kr/dstat/jsp/stat/stat0105.jsp 

  9. Shin KR, Park HJ, Bae KE, Cha CY.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 -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0;22(6):624-633. 

  10. Ko YS. Study o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1. 89 p. 

  11. Hwang NM. Policy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pregnancy wastag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07;111:50-62. 

  12. Kim MH, Jeon MH.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3):293-304. 

  13. Do ES, Seo YS. Factors influencing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2):129-136.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2.129 

  14. Chung YH, Seo NS, Moon SH.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 -vior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11;12(2):29-42. 

  15. Kim YH, Son HM. Affecting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0;12(4):1935-1950. 

  16. Jeon GS, Lee HY, Rhee SJ. Sexu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korea college students and effects of sexual education on sexual knowle -dge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4;21(1):45-68. 

  17. Jo HY. Research on sexual attitude and behaviors depending on adult attachment [master's thesis].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2012. 55 p. 

  18. Schwarzer R, Jerusalem M.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Internet]. Berlin: Author; 1994 [cite 2016 February 1]. 

  19. Park HJ, Kim MY, Jung DY. The effect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 (4):513-521. 

  20. Oh HK. A study on body image,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female students in colleg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3;15(2):278-286. 

  21. Hong SR. Perceptions of the self-efficacy of youth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11;29(6):71-87. 

  22. Paek KS, Choi YH.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3;20(2):127-147. 

  23. Kim MO, Yu M, Ju SJ, Kim KS, Choi JH, Kim HJ. Depression cogni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moking and non-smok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3;30(3):35-46. 

  24. Kim SO.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nutrition knowledge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6;18(2):87-93. 

  25. Monique J. A concept analysis of self-efficacy and adolescent sexual risk -taking behavior. Nursing Forum. 2015;50(1):3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