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 우울의 고찰: 정신신경면역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 Review of Postpartum Depression: Focused on Psychoneuroimmunological Interac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2, 2015년, pp.106 - 114  

김윤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describe a psychoneuroimmunology (PNI) framework for postpartum depression (PPD) and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for postpartum women.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and in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후 우울의 발생기전을 정신신경면 역학적 관점으로 밝히는 연구논문을 고찰하여 산후 내분비계와 면역계에 일어나는 신체 변화와 산후 우울 간 관계에 대한 견해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우울의 원인을 시상 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장애와 염증 반응으로 평가하는 논문을 고찰하여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후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산욕기 신체변화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장애와 염증 반응에 초점을 두고 산후 우울과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연구논문을 고찰하였다.
  • 또한 산후 우울과 PNI 관계를 평가한 문헌고찰 논문의 경우 산후 우울의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스트레스와 염증 간 관련성을 요약 기술하였다. 연구 논문의 경우 연구대상자, 스트레스와 염증지표 및 우울에 대한 측정변수와 측정시기, 연구 결과를 도표에 요약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산욕기에 일어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기능장애와 염증 반응과 산후 우울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 문헌을 고찰하여 기술하는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산후 우울의 발생기전을 정신신경면역학적 관점으로 밝히는 연구논문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산후 우울과 PNI 관계를 평가한 문헌고찰 논문의 경우 산후 우울의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스트레스와 염증 간 관련성을 요약 기술하였다. 연구 논문의 경우 연구대상자, 스트레스와 염증지표 및 우울에 대한 측정변수와 측정시기, 연구 결과를 도표에 요약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도표에는 저자, 연구대상자, 연구변수, 측정시기, 연구결과 및 의의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간호사는 산욕기 여성을 간호할 때 산후 우울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사회심리적 요인뿐 아니라 내분비계와 면역과 행동(기분과 우울)간 상호작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 신경-내분비계, 면역계가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만성 스트레스-염증반응이 우울증의 발병에 기여하거나 우울증의 회복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는 가정에 근거하여, 산후 우울의 원인을 정신신경면역학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산욕 초기에 일어나는 시상하부-뇌하수 체-부신 축의 기능장애 또는 염증반응이 산후 우울의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연구자는 먼저 연구대상 논문의 원문을 수집하여 논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우울과 PNI 관련된 논문의 경우 연구자가 주장한 우울 현상의 이해와 이를 설명하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간 관련성을 요약 기술하였다.

가설 설정

  • 출산 후 모체에서는 임신 중 태아보호를 위한 항염증성 환경이 수시간 내에 급격히 사라지고, 산후 신체기능의 회복을 위한 염증성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9-11]. 일 연구에서는[10]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과 우울 간 관계를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하고 있다: a) 출산 시 회음부 조직의 손상, b) 산후 자궁퇴축 과정(자궁의 허혈, 자가 용해 및 식작용), c) 출산 관련 통증, 제왕절개 분만, 산후 출혈로 인한 빈혈 및 출산 후 정서적 스트레스로 인해 염증 반응이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출산 후 6개월간 산모의 염증반응을 추적 조사한 연구팀[24]에 따르면 출산 직후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높은 수치를 유지하다가 산후 3~4개월에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산후 낮은 수치를 유지하다가 3~4개월에야 상승되는 양상을 보였다.
  • 연구자는 연구대상 논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간호학자이며 정신신경면역학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평가 지침은 연구 논문에서 사용한 대상자는 적절한가? 측정변수가 정신신경면역학적 지표를 사용하였는가? 연구결과는 정확하게 보고/해석하였는가? 문헌고찰 논문의 경우 우울과 정신신경 면역학적 관련성을 고찰하였는가? 고찰의 범위가 적절한가?로 설정하였다. 자문 결과, 최종 연구대상 논문은 우울과 PNI 관련성의 경우 문헌고찰 논문 7편이었고, 산후 우울과 PNI 관련성의 경우 문헌고찰 논문 6편, 연구 수행을 통해 그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 논문 9편으로 총 15편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 우울이란 무엇인가요? 산후 우울은 산욕기 산모에게 가장 흔히 발생하는 정신건강 문제이다. 산후 우울의 발생률은 나라에 따라, 도구에 따라 또는 측정시기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지만 최저 11%에서 최고 42.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축)은 어디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나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축)은 면역, 대사 및 생식 과정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신체에 급성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HPA축은 생체리듬에 따라 분비하는 코티졸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을 분비하여 혈중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증가시키고, 이는 단시일적으로 염증촉진 사이토카인(cytokine)을 억제함으로써 면역력 강화 효과를 나타낸다[12].
연구자들이 산후 HPA 재조직 또는 불응기가 PPD의 병태생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러한 HPA축의 기능 저하는 태반 만출과 함께 임신이 종료되어도 출산 후 HPA축의 조절 장애가 지속되고[8], 임신 전 역동적인 균형상태로 HPA축의 기능이 회복되는데 최소 2~3개월이 소요된다고 예측한다[20]. 따라서 연구자들은 산후 HPA 기능의 재조직 또는 불응기가 바로 PPD의 병태생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8,20,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ck CT. State of the science on postpartum depression: What nurse researchers have contributed-Part 1.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008;33(2):121-126. 

  2. Barker ED, Jaffee SR, Uher R, Maughan B. The contribution of prenatal and postnatal maternal anxiety and depression to child maladjustment. Depression and Anxiety. 2011;28(8): 696-702. 

  3. Jones NA. Delayed reactive cries demonstrate emotional and physiological dysregulation in newborns of depressed mothers. Biological Psychology. 2012;89(2):374-381. 

  4. Murray L, Arteche A, Fearon P, Halligan S, Goodyer I, Cooper P.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offspring up to 16 years of ag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11; 50(5):460-470. 

  5. McCoy SJ, Beal JM, Watson GH. Endocrine factors and postpartum depression. A selected review.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2003;48(6):402-408. 

  6. Bloch M, Rubinow DR, Schmidt PJ, Lotsikas A, Chrousos GP, Cizza G. Cortisol response to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in a model of pregnancy and parturition in euthymic women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5; 90(2):695-699. 

  7. Sacher J, Wilson AA, Houle S, Rusjan P, Hassan S, Bloomfield PM, et al. Elevated brain monoamine oxidase A binding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Archive of General Psychiatry. 2010; 67(5):468-474. 

  8. Glynn LM, Davis EP, Sandman CA. New insights into the role of perinatal HPA-axis dysregulation in postpartum depression. Neuropeptides. 2013;47(6):363-370. 

  9. Kendall-Tackett K. A new paradigm for depression in new mothers: The central role of inflammation and how breastfeeding and anti-inflammatory treatments protect maternal mental health.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2007;2:6. 

  10. Corwin EJ, Pajer K. The psychoneuroimmunology of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Women's Health (Larchmt). 2008;17(9):1529-1534. 

  11. Osborne LM, Monk C. Perinatal depression-the fourth inflammatory morbidity of pregnancy?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Psychoneuroendocrinology. 2013;38(10):1929-1952. 

  12. Song HR, Woo YS, Bahk WM. Depression as an Inflammatory Diseas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13;24 (1):5-10. 

  13. Zunszain PA, Anacker C, Cattaneo A, Carvalho LA, Pariante CM. Glucocorticoids, cytokines and brain abnormalities in depression.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2011;35(3):722-729. 

  14. Bockting CL, Lok A, Visser I, Assies J, Koeter MW, Schene AH, et al. Lower cortisol levels predict recurrence in remitted patients with recurrent depression: A 5.5 year prospective study. Psychiatry Research. 2012;200(2-3):281-287. 

  15. Leonard BE. Impact of inflammation on neurotransmitter changes in major depression: An insight into the action of antidepressants.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2014;48:261-267. 

  16. Corwin EJ, Guo Y, Pajer K, Lowe N, McCarthy D, Schmiege S, et al. Immune dysregulation and glucocorticoid resistance in minority and low income pregnant women. Psychoneuroendocrinology. 2013;38(9):1786-1796. 

  17. Maes M. Depression is an inflammatory disease, but cell-mediated immune activation is the key component of depression.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2011;35(3):664-675. 

  18. Berk M, Williams LJ, Jacka FN, O'Neil A, Pasco JA, Moylan S, et al. So depression is an inflammatory disease, but where does the inflammation come from? BMC Medicine. 2013;11:200. 

  19. Glynn LM, Sandman CA.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placental corticotrophin-releasing hormone an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Psychosomatic Medicine. 2014; 76(5):355-362. 

  20. Mastorakos G, Ilias I. Maternal and fetal hypothalamic-pituitary- adrenal axe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Annals of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3;997:136-149. 

  21. Jolley SN, Elmore S, Barnard KE, Carr DB. Dysregula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in postpartum depression.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2007;8(3):210-222. 

  22. Groer MW, Morgan K. Immune, health and endocrine characteristics of depressed postpartum mothers. Psychoneuroendocrinology. 2007;32(2):133-139. 

  23. Taylor A, Glover V, Marks M, Kammerer M. Diurnal pattern of cortisol output in postnatal depression. Psychoneuroendocrinology. 2009;34(8):1184-1188. 

  24. Groer ME, Jevitt C, Ji M. Immune changes and dysphoric moods across the postpartum. American Journal of Reproductive Immunology. 2015;73(3):193-198. 

  25. Corwin EJ, Johnston N, Pugh L. Symptoms of postpartum depression associated with elevated levels of interleukin-1 beta during the first month postpartum.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2008;10(2):128-133. 

  26. Boufidou F, Lambrinoudaki I, Argeitis J, Zervas IM, Pliatsika P, Leonardou AA, et al. CSF and plasma cytokines at delivery and postpartum mood disturbanc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2009;115(1-2):287-292. 

  27. Kondo N, Suda Y, Nakao A, Oh-Oka K, Suzuki K, Ishimaru K, et al. Maternal psychosocial factors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breast milk. 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 2011;22(8):853-861. 

  28. Fransson E, Dubicke A, Bystrom B, Ekman-Ordeberg G, Hjelmstedt A, Lekander M. Negative emotions and cytokines in maternal and cord serum at preterm birth. American Journal of Reproductive Immunology. 2012;67(6):506-514. 

  29. Yim IS, Tanner Stapleton LR, Guardino CM, Hahn-Holbrook J, Dunkel Schetter C. Biological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Systematic review and call for integration.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015;11:99-137. 

  30. Logsdon MC, Tomasulo R, Eckert D, Beck C, Dennis CL. Identification of mothers at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by hospital- based perinatal nurses. MCN.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012;37(4):218-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