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건강불평등 및 관련요인 연구
Gender Based Health Inequality and Impacting Facto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2, 2015년, pp.150 - 159  

송미영 (충남여성정책개발원) ,  임우연 (충남여성정책개발원) ,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gender-based health inequality and explore impacting factors on health inequality in one province in Korea. Methods: This was an explanatory study using the secondary data on Chungnam province from the Fifth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August 16 to Oct 3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2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남여성의 건강불평등의 정도와 성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젠더 관점에서 충남여성의 건강불평등 문제 가시화시키고, 연구결과를 통한 정책제언으로 충남여성의 건강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불평등은 주관적 건강상태나 주관적 안녕 등으로 평가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로서 측정한 이유는? 건강불평등은 주관적 건강상태나 주관적 안녕 등으로 평가할 수 있어[5-7]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로서 측정하였다. 연구자들 또한 객관적 수치로 나타내는 신체적 건강수준보다 구강건강, 정신건강, 신체적 건강, 사회적 관계 등이 포함된 주관적 건강상태의 평가가 건강불평등을 평가하는 도구로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사회계층은 무엇으로 분류하였나? 사회계층은 교육수준(최종학력), 빈곤여부, 결혼유무로 분류하였다. 교육수준은 최종학력을 기준으로 무학, 초졸 이하(서당포함), 중졸 이상~고졸 이하, 대학교졸(전문대졸 포함), 대학원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향후 관련 정책 수립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여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본 연구결과 성별이 건강불평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보다 여성의 건강상태가 나쁘며,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건강불평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건강의 불평등은 교육수준, 빈곤, 결혼유무, 연령과 같은 요인이 모두 관련되어 있었다. 따라서 향후 관련 정책 수립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여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raham H, Kelly MP. Health inequalities: Concepts, frameworks and policy. [Cited 2015 June 12]. London: Health Development Agency. 2004 Available from: https://www.nice.org.uk/proxy/?sourceUrlhttp%3a%2f%2fwww.nice.org.uk%2fniceMedia%2fdocuments%2fhealth_inequalities_concepts.pdf 

  2. Giddens A. Sociology. 5th ed. Hyundae Sahyoihak. Kim MS, Kim YH, Song HG, Shin KY, Yu HJ, Translator. Seoul: Eulyoo Co; 2009:236-237. 

  3. Kim DJ, Lee SY, Ki M, Kim MH, Kim SS, Kim YM, et al.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indicators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Sejong: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p.79-102, 419. 

  4. Oakley A. Life stress, support and class inequality: Explaining the health of women and children.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4;4:81-91. 

  5. Macinko JA, Starfield B. Annotated bibliography on equity in health, 1980-2001. International Journal of Equity and Health. 2002;1:1. 

  6. Ishikawa Y, Nishiuchi H, Hayashi H, Viswanath K.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ommunication inequalities in Japan: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PLoS ONE 2012;7(7):e40 [Cited June 12].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395686/pdf/pone.0040664.pdf 

  7. de Looper, M. and Lafortune G. Measuring disparities in health status and in access and use of health care in OECD countries. OECD Health Working Papers: OECD Publishing; 2009;43:56. [Cited June 12]. Available from: http://www.oecd ilibrary.org/content/workingpaper/225748084267 

  8. Lee EH, So AY, Choi SS. A study about promoting health lifestyles and relating variables on the life-cycle of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3):700-710. 

  9. Kim YT, Chung JJ. Importance of a gender-specific health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35-46. 

  10. Kim YT, Kim DS, Kim IS, Chung JJ. A study on the foreign cases for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women's health policy in Korea.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Cited 2014 Dec 16]. Available from: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 

  11. Kim YT, Ahn SS, Chung JJ, Choi SW. Korean women's health condition and policy agenda.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8. [Cited 2014 Dec 16]. Available from: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 

  12. Kim SG, Kim DJ, Lee EK, Hwang JH, Hwang NH, Park SN, et al. Mid-to-long-term plans for health and well-being of Chungcheongnam- do. Sei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354-35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 health survey. [Cited 2014 March 20]. Available from: https://chs.cdc.go.kr/chs/index.do 

  14. Solar O, Irwin A.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ited 2015 June 1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ocial_determinants/resources/csdh_framework_action_05_07.pdf 

  15. Moss NE. Gender equity and socioeconomic inequality: A framework for the patterning of women's health. Social Science & Medicine. 2002;54(5):649-661. 

  16. Kim MH, Lee JH. Current status of policy developments in tackling health inequalities and the next steps to be tak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3): 206-212. 

  17. Afifi M.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Singapore Medical Journal. 2007;48(5):385-391. 

  18. Bertakis KD. Gender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00;49(2):147-152. 

  19. Han KT, Park EC, Kim JH, Kim SJ, Park SH. Is marital statu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4;12:109. 

  20. Doyal L. What makes women sick: gender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health. British Medical Journal. 1995;311:577. 

  21. Rieker PP, Bird CE. Rethinking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Why we need to integrate social and biological perspective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2005;60B(special issue II):40-47.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Depression [Cited 2014 March 20].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69/en/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Women health [Cited 2015 May 0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topics/womens_health/en/ 

  24. McElmury BJ, Norr LF, Park RS. Women's health and development: A global challenge (World Health Organization). Jones & Bartlett Publishers. Cited in Lee KH. Women's health and equality of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9;5(2):237-244. 

  25. Kim DJ, Ki M, Kim MH, Kim YM, Yun TH, Jang SR. et al. Health inequalities indicators and policy issues in Korea. Sejong: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pp. 15-26, 217-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