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on the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al Childr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6, 2015년, pp.247 - 258  

박점자 (신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다문화아동을 직접 돌보고 있는 다문화센터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56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과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문화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및 다문화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designed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family's functions,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arent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children.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여성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에 대한 임파워먼트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인적자원의 개발 및 교육을 위한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적 서비스 기관에서 이들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잠재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등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을 위한 물리적 자원구축 예를 들어 ‘다문화멀티센터’를 마련하여 자녀건강 및 교육, 보육과 양육 등에 대한 정보제공과 함께 다문화여성들이 다양한 훈련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복합공간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과정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이 실제 경험적 자료를 적합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측정모형 분석은 구조모형을 분석하기 전에 측정변인들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실시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및 아동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족기능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와 이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자녀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가정기능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 간의 유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 내 다문화아동에 초점을 두어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그 가족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하였다는 점도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에 관심을 두어 가족기능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무엇보다 이들이 가진 적응 및 발달상의 문제가 다문화 어머니 혹은 아동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가정환경의 열악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가족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가족기능은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Sobel 검증은 Z값이 1.
  • 다시 말해 이 시기동안 발생하는 발달 지연은 역기능적인 가족기능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전 생애에 걸쳐 개인에게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8].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에 관심을 두어 가족기능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가족기능이 아동발달에 중요한 요인이긴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대처자원으로서의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변수로 보고되기도 하므로 이들 변수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은 다문화아동에 대한 개입의 영역을 다양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이 다문화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는 다른 연령대와는 달리 아동기에 있어서는 가족 자체보다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아동발달에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한 것이다. 이처럼 아동의 발달에서 가족기능과 어머니요인은 가장 강력한 선행조건임을 전제하고 이들 변수들의 유기적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가족기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이 아동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혹은 어머니 요인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을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이는 아동이 어머니를 환경 탐색을 위한 안정적 기반과 문제해결을 위한 도움의 출처로 삼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머니와의 관계는 다른 사회적 관계의 시초가 된다. 아동은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와 가정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자아를 보호하고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전략을 발달시키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특성 중 하나는 많은 경우 여성결혼이민자들에 의해 다문화가정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언어, 문화, 생활 습관이다른 한국사회에서 결혼생활을 시작하고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기까지 언어소통문제, 문화적인 차이, 정보와 관련된 지지체계의 부족, 경제적 곤란 등 극복해야 할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3]. 주목할 점은 이들이 지닌 여러 문제들 중 많은 부분들이 자녀양육과 관련된 문제 들로 나타난다는 것이다[4].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특성 중 하나는 무엇인가? 이렇듯 다문화사회로의 빠른 변화는 우리사회에게 다문화 사회의 주체로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관심을 요구하고 있다[2].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특성 중 하나는 많은 경우 여성결혼이민자들에 의해 다문화가정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언어, 문화, 생활 습관이다른 한국사회에서 결혼생활을 시작하고 자녀를 출산하여 양육하기까지 언어소통문제, 문화적인 차이, 정보와 관련된 지지체계의 부족, 경제적 곤란 등 극복해야 할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3].
가족기능이 아동기에 초점이 맞춰지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이는 가족의 기능이 적절하지 못할 때 아동들은 여러 가지 문제가 일어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아동들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18]. 이렇듯 가족기능이 아동기에 초점이 맞춰지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는 아동기의 경우 발달상 특성에 따라 가족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된 가치관 및 생활태도가 아동의 성격형성, 대인관계, 자아발달 등의 영역을 통해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처럼 가족기능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의 주요 변인으로 예측되지만 또 다른 연구[19-21]에서는 가족기능이 아동의 사회적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부모 특히 어머니 요인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여성가족부, 2012 다문화가족지원사업 결과보고서 II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서울: 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3. 

  2. 전종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 한상영, 다문화가정 여성의 자녀양육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 김지현,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위한 영유아 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5. 오성배,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글교육, 제32권, 제3호, pp.61-83, 2005. 

  6.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흥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005. 

  7. 이재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8. 

  8. 김화수, 황상심, "다문화가정의 언어환경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 및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pp.122-124, 2008. 

  9. 조영달, 다문화가정 교육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6. 

  10. 김화수, 이은경,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 특성",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 3호, pp.209-226, 2009. 

  11. 김영란,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취학 전 아동의 언어특성 및 CAI를 활용한 부모훈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2. J. Belsky, M. Rovine, and D. G. Taylor, "The Pennsylvania infant and family development project: the origin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mother attachment: maternal contributions," Child Development, Vol.55, pp.706-717, 1984. 

  13. 송연숙, 김영주, "양육신념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효능감 연구", 아동교육, 제16권, 제4호, pp.107-117, 2007. 

  14. 전영실, "가족특성과 아동학대 피해의 관계. 피해자학연구", 제11권, 제2호, pp.53-77, 2003. 

  15. 박삼수, 임경희, "정상가정과 결손가정 청소년의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성숙도의 관계", 상담평가연구, 제1권, 제2호, pp.29-43, 2008. 

  16. 문태형,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3권, 제6호, pp.97-107, 2002. 

  17. 최형성,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최혜숙, "특수아동 부모의 작업치료 요구도", 대한건강과학학회지, 제3권, 제2호, pp.5-19, 2008. 

  19. K MaCdonald and R. D. Parke, "Brin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5, No.4, pp.1265-1277, 1984. 

  20. K. A. Kerns, L. Klepac, and A. K. Cole, "Peer relationships and pre-adolescents' perceptions of security in the child-mother relationship,"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2, No.3, pp.457-466, 1996. 

  21. 김정아, 아동의 사회적능력과 관련된 제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 김숙자,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성숙도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3. 박정임, "문제음주자의 A.A.참여가 음주문제 재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권, 제2호, pp.41-61, 2008. 

  24. J. J. Goodnow,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Child Development, Vol.59, pp.286-320, 1989. 

  25. 안선희, 김선영, "가족의 건강성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12호, pp.219-230, 2004. 

  26. 설경옥, 문혁준, "취학 전 유아의 가정환경 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7권, 제1호, pp.23-40, 2011. 

  27.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28. 이시연,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759-771, 2014. 

  29. C. Izzo, L. Weiss, T. Shanahan, and F. Rodriguez-Brown, "Parenta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arent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Mexica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Community, Vol.20, p.182, 2000. 

  30.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호, pp.2-13, 2001. 

  31. 김현미,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2. W. W. Hartup, Peer relations. In P. 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103-196, New York: Wiley, 1983. 

  33. 한민경,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된 어머니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 이해능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4. 박종인,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문혁준,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호, pp.205-219, 2005. 

  36. P. K. Coleman and H. H. Karraker,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 and future application," Developmental Review, Vol.18, pp.47-85, 1998. 

  37. 김순옥, 유치원, 초등학교 자녀들을 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서 및 지능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8. 이진희, 이주여성 어머니 교육프로그램이 모성 역할 자신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신생아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9. 김금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와의 언어적 상화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0. D. H. Olson, J. Porter, and Y. Lavee, FACES-III (Family Adaptability-Cohension Evaluation Scale),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Department of Family Social Science, 1985. 

  41.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 man & Company, 1977. 

  42. C. Johnston and E. J. Mash,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No.2, pp.167-175, 1989. 

  43. 조영숙, 이양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취학전 아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Vol.45, No.4, 2007. 

  44. B. E. Molnar, S. L. Buka, R. T. Brennan, J. K. Holton, and F. Earls, A Multilevel study of neighborhoods and parent-to-child physical aggression: result from the project on Human development on Chicago neighborhoods, Child Maltreatment, Vol.8, No.2, pp.84-97, 20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