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성당 비전례공간 평가 - 부산교구 6개 사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n Non-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Focused on 6 Cases in Busan Parish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4 no.3 = no.110, 2015년, pp.38 - 47  

조연주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남경화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신경주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non-liturgical space of catholic churches based on the four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ccessible design, supportive design, safety-oriented design, and adaptable design. To design those spaces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principle, diaper exchanging station needs to b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의 유무, 연령, 성별 등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편리하고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이다. 로널드 메이스(Ronald L. Mace)가 중심이 되어 제안한 개념으로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공평하고 편리하게 제품이나 공간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제품이나 환경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잔(Susan Behar)5)은 4A’s(accessibility, adaptability, aesthetics, affordability)를 제시하는 등, 많은 연구자들이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 신축된 부산교구의 6개 성당을 대상으로 비전례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현황을 분석한다. 비전례공간은 미사집전이 이루어지는 전례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 중 일반 신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성당 비전례공간의 현황 분석을 토대로 UD관점에서 성당공간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UD 관점에서 전례공간의 계획 지침을 제시한 지난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가 성당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 발전의 기초가 되었던 Null & Cherry의 4가지 원리를 살펴보고 적용하였다.
  • 본 연구자는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적합한 데스크의 형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편의시설의 구조, 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 제1항 관련)』에서 제시하고 있는 접수대 형태의 도입을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3)를 바탕으로 부산교구 6개 성당의 비전례공간을 평가하며, 이를 통하여 성당건축에서의 비전례공간의 개선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성당공간이 어린이, 노약자, 보행 장애인 등에 대한 배려 없이 계획되어 이들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성당건축용 자료 역시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성당공간 계획 시 참고 가능한 성당 전례공간의 계획지침을 제시하였으며,2) 본 연구에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비전례공간의 개선안을 제시한다. 성당건축에서의 비전례공간이란 강당, 모임 및 기도실, 교리실, 화장실 등의 공동공간이 포함되며, 이러한 공간은 다양한 신체능력과 연령대의 신자나 비신자(결혼식 등의 참가자 포함)가 폭넓게 사용하는 공간으로 전례공간 이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의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이는 통로 및 각 실 안내를 위한 사인물이 시인성과 인지도가 낮았으며, 6곳 모두 1층 로비에 각 층별 안내를 위한 사인물이 설치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천정형이나 돌출형에 누구나 인지하기 쉬운 디자인의 사인물의 설치를 권한다. 계단 손잡이의 높이는 KR 880㎜, MR 950㎜, MG 860㎜, SG 850㎜, NC 860㎜, UH 800㎜이었고, 벽손잡이는 KR, NC, UH의 3곳에 설치되어 있어 그 높이를 검토한 결과 KR 700㎜, NC 880㎜, UH 800㎜로 수용성에서 다소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어린이용 변기의 설치 여부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용 변기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곳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어린이용 변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못할 경우 필요 시 사용 가능한 유아용 시트를 비치할 것을 권한다. 세면대 높이는 남녀 화장실 모두 KR 770㎜, MR 750㎜, MG 750㎜, SG 770㎜, NC 730㎜, UH 600㎜이었으며 어린이용 세면대 역시 별도로 마련되어있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당건축에서 실내 공간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성당건축에서 실내 공간은 크게 전례공간과 이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인 비전례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례공간은 종교적 예배의식이 집전되는 공간으로 성당의 중심공간이다.
전례공간이란? 성당건축에서 실내 공간은 크게 전례공간과 이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인 비전례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례공간은 종교적 예배의식이 집전되는 공간으로 성당의 중심공간이다. 비전례공간은 전례집전과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위한 교육, 모임 등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전례공간과 함께 성당건축에서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다.
성당건축에서 실내 공간 중 비전례공간이란? 전례공간은 종교적 예배의식이 집전되는 공간으로 성당의 중심공간이다. 비전례공간은 전례집전과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위한 교육, 모임 등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전례공간과 함께 성당건축에서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Roberta L. Null & Kenneth F. Cherry, Universal Design, Professional Publications, Inc. Belmont, california, 1996 

  2. 남경화, 신경주, 성당건축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도입을 위한 시도 II-공동공간 평가용 체크리스트 개발을 중심으로-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3권 1호, 2011.05 

  3. 조연주.남경화.신경주, 성당 실내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 분석-부산교구 6개 사례의 전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4권 2호, 2015.04 

  4. 주교회의 교회법위원회, 교회법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8 

  5. 주교회의 전례위원회, 미사경본 총지침,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9 

  6. 천주교 서울대교구 관리국, 건축지침서, 천주교 서울대교구, 2010 

  7. 법제처 홈페이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http://www.moleg.go.kr 

  8. 천주교 서울대교구 홈페이지, http://www.catholicpusan.or.kr 

  9. 천주교 부산교구 홈페이지, http://www.catholicpusan.or.kr 

  10. 카톨릭 정보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4355&keyword%B7%B9%C1%F6%BF%C0&gubun01 

  11. 부산교구 관리국 2011년 재산현황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