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생태계 관리지역의 산림축적 추정
Estimation of Forest Volumes in the Ecosystem Region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2, 2015년, pp.149 - 160  

서환석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박정묵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이정수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태계 관리권역 내 남한강 상류지역을 대상으로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자료를 기반으로 한 직접추정법과 합성추정법에 의한 층화별(임상 영급) 임목축적을 산출하였으며, 공간단위에 따른 오차검증을 통하여 최적의 추정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직접추정법은 대상지내의 표본점 자료만을 활용하였으며, 합성추정법은 대상지뿐만 아니라 공간확장지역의 표본점 정보를 활용하여 임목축적을 추정하였고, 공간확장기준은 4가지(권역, 지역, 구역, 거리)를 적용하였다. 직접추정법에 의한 ha당 평균임목축적$143.5m^3/ha$이었으며, 합성추정법에 의한 ha당 평균임목축적은 구역, 거리, 지역, 권역기준의 순으로 각각 $146.9m^3/ha$, $144.8m^3/ha$, $139.8m^3/ha$, $138.6m^3/ha$ 추정되었다. 직접추정법에 의한 표준오차$1.79m^3/ha$이었으며, 합성추정법에 의한 표준오차는 공간확장기준에 상관없이 $1.83m^3/ha$으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임상별 표준오차는 추정방법과 확장지역에 관계없이 활엽수림이 ${\pm}2.3m^3/ha$으로 가장 낮았으며, 혼효림과 침엽수림이 각각 ${\pm}3.3m^3/ha$${\pm}4.8m^3/ha$의 순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forest volumes of the upper region of Nam-Han River in ecosystem zoning by forest types and age classes, and to suggest the optimal estimation metho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standard errors according to the spatial unit. In the estimation of forest volumes, we 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산림경관 및 생태계 관리권역의 공간단위 중 생태계 관리지역을 대상으로 직접추정법과 합성추정법에 따른 산림통계량을 산출하고 공간단위에 따른 최적의 추정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생태계관리지역을 대상으로 수치 임상도와 NFI 5th 표본점자료를 이용하여 추정 방법에 따른 산림통계량의 산출 및 표준오차간 비교를 통하여 공간단위에 따른 최적의 추정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직접추정법과 합성추정법을 이용하여 ha당 평균임목축적과 총임목축적을 산출하였으며, 표준오차를 이용하여 추정방법간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접추정법은 무엇인가? 직접추정법은 대상지 내의 자료만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추정방법으로 자료의 양이 적어 빠른 추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Park and Lee, 2001). 한편, 합성추정법은 확장지역에서 수집되는 표본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부가적인 자료의 도움 없이 목표로 하는 소면적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확장지역은 목표로 하는 소면적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대면적 지역을 선정하여 추정하는 기법이다(Gonzalez, 1973; Yim et al.
합성추정법은 무엇인가? 직접추정법은 대상지 내의 자료만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추정방법으로 자료의 양이 적어 빠른 추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Park and Lee, 2001). 한편, 합성추정법은 확장지역에서 수집되는 표본점의 자료를 이용하여 부가적인 자료의 도움 없이 목표로 하는 소면적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확장지역은 목표로 하는 소면적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대면적 지역을 선정하여 추정하는 기법이다(Gonzalez, 1973; Yim et al., 2010).
기존 산림통계산출 연구들의 한계는? (2010) 은 합성추정법의 확장지역 선정에 따른 행정구역 단위의 산림통계를 추정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국가통계자료구축을 목적으로 전국 단위 또는 시·도 단위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산출하여 공간구획별 자원현황에 대한 기초정보를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국제적으로 요구되는 공간별 통계량 산출은 미흡한 실정이다(Hwang, 2009; Kim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g, S.Y., J.S. Yim, H.K. Cho, J.H. Jeong, S.H. Kim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for Muju county using biomass conversion table and remote sensing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409-416 (정상영, 임종수, 조현국, 정진현, 김성호, 신만용. 2009. 산림 바이오매스 변환표와 위성 영상을 이용한 무주군의 산림바이오매스 추정. 한국임학회지 98(4):409-416). 

  2. Cochran, W.G. 1977. Sampling Techniques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3. Cressie, N. 1993.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4. Gonzales, M.E. 1973. Use and evaluation of synthetic estimates. Proceeding of Social Statistics Section,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3:7-15. 

  5. Han, S.H. 2011. Selection of methods for estimation of forest statistics in small area district. Ph.D. Thesis, Univ. of Kookmin, Seoul, Korea (한승훈. 2011. 소면적 시군구 산림통계 추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Hwang, J.H. 2009. Method of forest statistic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Master Thesis, Univ. of Kookmin, Seoul, Korea (황주호. 2009.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통계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Jung, J.H., J. Heo, S.H. Yoo, K.M. Kim and J.B. Lee. 2010.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in Danyang area using kNN Algorithm and Landsat TM seasonal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4):119-129 (정재훈, 허준, 유수홍, 김경민, 이정빈. 2010. kNN알고리즘과 계절별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단양군 지역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추정. 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4):119-129). 

  8. Katila, M. 2006. Empirical Errors of small area estimates from the multisource national forest inventory in eastern Finland. Silva Fennica 40(4):729-742. 

  9. Kim, E.S., K.M. Kim, C.C. Kim, S.H. Lee and S.H. Kim. 2010.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6):827-835 (김은숙, 김경민, 김종찬, 이승호, 김성호. 2010.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한국임학회지 99(6):827-835). 

  10. Kim, E.S., K.M. Kim, J.B. Lee, S.H. Lee and C.C. Kim. 2011.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455-465 (김은숙, 김경민, 이정빈, 이승호, 김종찬. 2011. 국가산림 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지상부 바이오매스의 공간규모 확장. 한국임학회지 100(3):455-465). 

  11. Kim, J.S., H.J. Hwang and K.I. Shin. 2008. Comparison of spatial small area estimators based on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5):855-866 (김정숙, 황희진, 신기일. 2008. 이웃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소지역 추정량 비교. 응용통계연구 21(5):855-866). 

  12. Kim, K.M., Y.H. Roh and E.S. Kim. 2014. Comparison of three kinds of methods on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distribu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B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69-85 (김경민, 노영희, 김은숙. 2014. 국가산림자원조사 DB와 임상도를 이용한 산림 탄소저장량 공간분포 추정방법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69-85).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9. Korean forest landscape and ecosystem zoning. Research Report (국립산림과학원. 2009. 한국의 산림경관 및 생태계 관리권역).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국립산림과학원. 2011.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보고서). 

  15. Korea Forest Service. 2008. A comprehensive plan of forest fiel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Research Report (산림청. 2008. 기후변화대응 산림종합대책). 

  16.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014. World economy update. pp.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5. 오늘의 세계경제. 2-5쪽). 

  17. Leboeuf, A., R.A. Fournier, J.E. Luther, A. Beaudoin and I. Guindon. 2012. Forest attribute estimation of northeastern Canadian forests using QuickBird imagery and a shadow fraction metho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6:66-74. 

  18. Makela, H., H. Hirvela, T. Nuutinen and L. Karkkainen. 2011. Estimating forest data for analyses of forest production and utilization possibilities at local level by means of multi-source national forest inventor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62(2011):1345-1359. 

  19. McRoberts, R.E. and E.O. Tomppo. 2007. Remote sensing support for national forest inventori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0(2007):412-419. 

  20. Noh, Y.O. 2009. A study of application for estimator of small area.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노영옥. 2009. 소지역추정량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Park, J.T. and S.E. Lee. 2001. A comparative study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2(2):47-55 (박종태, 이상은. 2001. 소지역 추정법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12(2):47-55). 

  22. Tomppo, E.O. and M. Katila. 1991. Satellite image-based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Finland.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28(7-1):419-424. 

  23. Yim, J.S., W.S. Han, I.B. Jung, S.H. Kim and M.Y. Shin. 2010. Application of synthetic estimator for estimating forest growing stock volumes at the smallarea leve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3):285-291 (임종수, 한원성, 정일빈, 김성호, 신만용. 2010. 소면적의 산림축적량 추정을 위한 합성추정법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99(3):285-291). 

  24. Yim, J.S., W.S. Han, J.H. Hwang, S.Y. Chung, H.K. Cho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based upon satellite data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4):311-320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바이오매스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4):311-320). 

  25. Yoo, S.H., J. Heo, J.H. Jung, S.H. Han and K.M. Kim. 2011.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using Landsat TM and ratio images : kNN algorithm and regression model prior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9(2):39-48 (유수홍, 허준, 정재훈, 한수희, 김경민. 2011. Landsat TM 위성영상과 비율영상을 적용한 지상부 탄소 저장량 추정: kNN알고리즘 및 회귀 모델을 중점적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9(2):39-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