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 성과 평가 - 일상생활에서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전국 성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National Study of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y Services: Measuring the Perceived Benefits of Public Library Services among Korean Adult Library User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2, 2015년, pp.169 - 194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의 성과를 도서관 서비스가 국민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하려는 Vakkari와 Serola(2012)의 성과측정지표에 근거하여 한국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들의 인구사회학적 분포에 기반하여 전국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웹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난 1년간 공공도서관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62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일상생활 19개 영역 가운데 응답자의 약 2/3 정도가 "소설 및 비소설류 독서", "교육 및 학습 기회제공", "여가 중 자기 계발" 등 세 영역에서 공공도서관의 혜택을 가장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6개 영역에서의 혜택은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었다. Vakkari와 Serola성과척도의 요인구조를 우리나라 연구 참여자에게 적용한 결과, 원래의 구조와는 다른 구조가 발견되었다. 기존의 "일상생활"과 "여가활동" 영역은 유지한 가운데, "일/업무"와 "학습"이 하나의 요인으로 결합되었고, "여가활동"에서 분리되어 나온 "독서/자기계발" 영역이 새로운 요인을 형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 서비스 혜택에 대한 인식차를 조사한 결과, 남성은 일/학습, 여성은 독서/자기계발 영역에서 혜택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 차이가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사회학적 분포에 비례하여 표집한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도서관 서비스의 혜택을 조사함으로써 2014년 현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전체적인 성과 수준을 파악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Korea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using Vakkari and Serola's (2012) public library outcome scale. Conducting a web-based survey to 1,000 Korean adults nationwide, the responses of 629 respondents who had v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2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의 추진전략은? 40)가 발표한 『제 2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4-2018)』은 “행복한 삶과 미래를 창조하는 도서관”을 그 비전으로 삼고, 핵심목표로 “보편적 도서관서비스를 통해 모든 국민의 행복증진”을 수립하고 있다. 구체적 추진전략으로는 “생애 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확대”와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도서관 서비스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 내용에는 도서관이 진로정보, 취업 및 창업정보, 건강정보, 독서 정보 등과 같은 생활밀착형 지식정보 제공 및 상담서비스를 확대할 것이 명시되어 있다.
제 2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의 비전과 목표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2014, p.40)가 발표한 『제 2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4-2018)』은 “행복한 삶과 미래를 창조하는 도서관”을 그 비전으로 삼고, 핵심목표로 “보편적 도서관서비스를 통해 모든 국민의 행복증진”을 수립하고 있다. 구체적 추진전략으로는 “생애 주기별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확대”와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도서관 서비스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성과 평가가 가지는 의의는? 본 연구는 도서관의 성과를 도서관 서비스가 국민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종합적으로 파악하려는 Vakkari와 Serola(2012)의 성과 측정지표에 근거하여 한국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성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공도서관 서비스성과 평가는 서비스가 제공하는 산출(output)에서 그 서비스가 산출해 내는 혜택이라는 성과(outcome)로 그 지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수행되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2014년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제2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2014-2018)』에서 제시한 공공도서관의 비전과 핵심목표를 고려할 때, 그 비전과 목표를 더 효과적으로 측정할 대안적 지표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그 적시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고영만, 심원식. 2011. 도서관 경제성 평가 연구의 비평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27-52.(Ko, Young-Man and Shim, Wonsik. 2011.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Economic Valuation of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27-52.) 

  2. 국립중앙도서관. 2007. 공공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7. A Study of Public Library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ment.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3.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14-2018. 서울: 동 위원회.(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Secon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 Plan 2014-2018. Seoul: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4. 문화체육관광부 제도개선팀. 2008. 2008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관종별 평가지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ystem Improvement Team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2008 Indicators of the Library Performance Evaluation by Library Type in Korea.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5. 윤희윤. 2009. 국내 공공도서관 경영평가의 동향과 지향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29-51.(Yoon, Hee-Yoon. 2009. "Trends and Directions of Management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29-51.) 

  6. 차미경, 표순희. 2008. 공공도서관 향유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29-354.(Cha, Mi-Kyeong and Pyo, Soon-Hee.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joyment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329-354.) 

  7. 차미경. 2003.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력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4): 311-328.(Cha, Mi-Kyeong. 2003. "A Study on the Outcome Indicators for Measuring Public Libraries' Impact o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4): 311-328.) 

  8. 표순희.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혜택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307-329.(Pyo, Soon-Hee. 2014. "A Study on Measuring the Benefit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307-329.) 

  9. 표순희, 고영만, 심원식. 2011. 공공도서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323-341.(Pyo, Soon-Hee, Ko, Young-Man and Shim, Wonsik. 2011.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Public Library's Use Valu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323-341.) 

  10. 한국. 보건복지부. 2008. 아동종합실태조사. [online] [cited 2015. 5. 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National Children Survey. [online] [cited 2015. 5. 14.] ) 

  11. 한국. 여성가족부. 2011. 청소년종합실태조사 보고서. [online] [cited 2015. 5. 14.]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1. National Youth Survey. [online] [cited 2015. 5. 14.] ) 

  12. 한국토지주택공사. 2014. 도시계획현황. [online] [cited 2015. 5. 14.]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14. City Planning Survey. [online] [cited 2015. 5. 14.] ) 

  13. 한국. 통계청. 2010. 201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online] [cited 2015. 5. 14.] (Republic of Korea. Statistics Korea. 2010.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port. [online] [cited 2015. 5. 14.] ) 

  14. 홍현진, 이용남. 1999. 공공도서관의 성과평가에 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2): 45-68.(Hong, Hyun-Jin and Lee, Yong-Nam. 1999. "A Theoretical Study of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3(2): 45-68.) 

  15. Bertot, J. C. et al. 2011. 2010-2011 public library funding and technology acess survey: Survey findings and report. College Park, Md: Information Policy & Access Center,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6. Chulef, A., Read, S. and Walsh, D. 2001. "Hierarchical taxonomy of human goals." Motivation and Emotion, 25: 191-232. 

  17.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1996. Measuring quality: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 academic libraries. Paris: K. G. Saur. 

  1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3.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ISO/DIS 16439. Methods and procedures for assessing the impact of libraries. Retrieved at http://www.iso.org/iso/catalogue_detail.htm?csnumber56756. 

  19. McClure, C. and Bertot, J. 1998. Public library use in Pennsylvania: Identifying uses, benefits and impacts. Harrisburg, PA: Pennsylvani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0. Rossi, P., Lipsey, M. and Freeman, H. 2004.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 7th ed. Thousand Oaks, Calif.: Sage. 

  21. Vavrek, B. 2000. "Is the American public library part of everyone's life?" American Libraries, 31(1): 60-64. 

  22. Vakkari, P. 2014a.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various countries." A session proposal for presentations at the 6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ies. 

  23. Vakkari, P. 2014b. "Models explaining the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Documentation, 70(4): 640-657. 

  24. Vakkari, P. et al. 2014.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in Finland, Norway and the Netherlands." Journal of Documentation, 70(5): 927-944. 

  25. Vakkari, P. and Serola, S. 2012. "Perceived outcomes of public librari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2012): 37-44. 

  26. Sin, Sei-Ching J. 2014. Demographic Differences in Perceived Outcomes of U.S. Public Librari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ies International Conference. No. QQML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