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주택관리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of Residents on the Publicly Purchased Property Program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ousing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3, 2015년, pp.85 - 97  

박근석 (토지주택연구원) ,  주관수 (토지주택연구원) ,  이현정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blicly Purchased Property (PPP) Program since 2004 has allowed low-income households to reside in decent housing at a reasonable expense and to live in a community they choose.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the housing stock, management of the properties becomes a growing concern. The purpose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사회주택 사업이 가진 문제점은 무엇인가? 주거권이라는 관점에서 2000년 최저주거기준을 수립하고, 2003년 주거복지로드맵을 구축하면서 임대주택의 공급방식을 다양화하고 공급대상도 확대하기 시작했다. 기존의 획일적인 건설 중심의 임대주택 공급 안은 계층별 주거지 분리로 인해 공공임대주택단지의 낙인화를 유도하고, 거주자의 주거지 선택을 제한하는 등의 각종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직주근접형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안이 검토되었고, 도시 영세민의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2004년부터 시행되어 온 기존주택 매입임대사업은 첫해 503호 공급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추진되어 오고 있다.
최초의 사회주택은 무엇인가? 개발주의 국가모형(developmentalist state)으로 지난 20세기 압축성장(compressed development)을 거친 우리나라 주택부문에서 공공임대주택 발달사는 매우 짧다. 서구식 개념의 사회주택(social housing)은 1988년 노태우 정부의 주택 200만호 건설계획의 일환으로 소개된 영구임대주택 사업이 최초였다. 이후 김영삼 정부의 50년 공공임대주택을 거쳐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국민임대주택에 이르기까지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은 주로 단기간에 걸친 건설 중심이었다.
주택정책의 패러다임이 주거복지 중심으로 바뀐 시점은 언제인가? 이후 김영삼 정부의 50년 공공임대주택을 거쳐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국민임대주택에 이르기까지 저소득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은 주로 단기간에 걸친 건설 중심이었다. 그러나 (구)주택보급률 기준 100%를 초과하는 2002년 전후로 주택정책의 패러다임이 주거복지 중심으로 본격화되었다(Ronald & Lee, 2012; Lee, 2014; Statistics Korea, 2015). 주거권이라는 관점에서 2000년 최저주거기준을 수립하고, 2003년 주거복지로드맵을 구축하면서 임대주택의 공급방식을 다양화하고 공급대상도 확대하기 시작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Y., Park, S. H., & Ha, K-Y. (2014). The evaluation of the purchase social ho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housing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4), 1307-1315. 

  2. Hong, K. (2009). A Study o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Multi-family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 71-82. 

  3. Kim, M., Lee, K., Kim, Y., Chae, H., & Kim, J. (2006). Physical aspects and community conditions of 'Dagagu' housing and tenant'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4), 47-55. 

  4. Kim, M. & Noh, S. (2011).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usage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among residents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33-142. 

  5. Kim, E.-H. & Seo, C.-H. (2008). A study on theoretical approach fo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index basd on the apartment housing.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7(1), 50-59. 

  6. Kore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2012 Housing Yearbook. Gwacheon, Korea: Author. 

  7. Kwon, O., Kim, M., Kim, Y., Park, K. & Lee, O. K. (2006). Opinions on 'Dagagu' housing purchase and public rental housing program by public officials and professional in the area of welfar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1), 135-144. 

  8. Lee, H. (2014). Housing and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in South Korea. In J. Doling & R. Ronald (eds), Housing East Asia, 180-203. Basingstoke, Hampshire, UK: Palgrave Macmillan 

  9. Lee, I. (2004). Practioners' views on 'Dagagu' housing purchase program. Urbanity and Poverty, 67, 30-37. 

  10. Lee, J. K., Jeong, J. H., Baek, J. I., & Ban, Y. U.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to affect housing satisfaction level between multi-family rental housing and deposit-based rental housing.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Academy, 41, 50-57. 

  11. Land and Housing Institute (2012). A study of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purchased rental housing program. Daejeon, South Korea: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12. Nam, W. S. (2014). The future of public rental housing in Korea. Space and Environment, 48, 136-177. 

  13. Ronald, R. & Lee, H. (2012). Housing policy socialization and de-commodific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27(2), 111-131. 

  14. Statistics Korea (20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umber of Households and Housing Stock. http:// 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6&tblIdDT_ MLTM_592&conn_pathI2 

  15. Yoon, H. (2009). A Study on the Neighbourhood spiri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rchased multi-family rental housing tenants in Incheon.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Policy Association, 10(2), 63-88. 

  16. Yoon, H. (2010).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 housing tenants in lncheon. Journal of the Korea Real Estate Research Institute, 41, 184-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