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Happiness and Soci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3, 2015년, pp.99 - 108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social capital.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via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from October 29 to November 10, 2013. The sample consisted of 338 resi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거주자들의 생활 터전인 주거환경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을 평가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거주자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감과 사회적 자본을 평가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본 연구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런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규범, 사회적 신뢰 등으로 구성되며, 사회적 자본은 이들 요소를 평가하여 사회적 자본을 측정할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거주자가 인지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을 평가하기 위해, Chun(2004), Baik(2006), Jo(2010), Lee and Oh(2014)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항목을 사회적 네트워크, 사회적 규범, 사회적 신뢰 등 3개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12개의 평가항목으로 조사하였다1). 사회적 네트워크는 크게 사회적관계의 만족도와 사회적 교류정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사회적 관계 만족도는 조사대상자가 인지하고 있는 질적평가항목으로 ‘이웃과의 관계 만족도’와 ‘지역사회 거주자들과의 관계 만족도’ 등 2개의 문항에 대해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교류정도는 ‘이웃과 자주 교류 한다’와 ‘지역사회 주민과 자주 교류한다’를 교류빈도에 대한 2개의 문항으로 조사하여, 사회적 네트워크는 총 4개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 첫째, 거주자의 주관적 행복감을 평가한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 환경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점차 상실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가정생활, 여가생활, 경제생활 등 개인의 다양한 생활이 그들이 살고 있는 주거환경 내에서 이루어지면서 가정, 여가, 경제생활 등을 이웃과 함께 공유하면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해왔다. 이후 산업사회에서는 가정생활, 여가생활, 경제생활이 점차 분화되기 시작하면서 가정생활은 주택 안으로 경제생활은 주거환경 밖으로 놓이게 되어 이웃과 함께 공유하는 생활이 점차 적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주거환경에서의 사회적 자본은 점차 상실되었다.
살기 좋은 도시 및 커뮤니티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살기 좋은 도시 및 커뮤니티가 되기 위해서는 그들의 주거환경에서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Jacobs, 2010). 하지만 과거 우리는 주거환경 내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였으며, 이로 인해 거주자의 생활의 터전인 주거환경은 살기 좋은 도시 및 커뮤니티가 되기 어려웠다.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요? 이로 인해 주거환경에서의 사회적 자본은 점차 상실되었다. 사회적 자본은 개인과 개인 혹은 단체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발생하는 자본이고(Chun,2010), 개인 간, 집단 간 관계에서 발생하며 크고 작은 집단 내 인간의 활동을 통해 축적되는 것으로,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활동 집단 내 구성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rgyle (2001). Happines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happy introver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4), 595-608. 

  2.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83-95. 

  3.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a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4. Costanza, et al. (2008). Quality of Life: An Apporoach Intergrating Opportunities, Human Need and Subjective Well-Being. Ecological Economics, 61(2), 267-276. 

  5. Dolan, P., Peasgoo, T. & White, M. (2008). Do We Really Know What Makes Us Happy? A Review of the Economic Literature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9, 94-122. 

  6. Fukuyama, F. (1995). Social Capital and the Global Economy. Foreign Affairs, 74, 89-97. 

  7. Jacobs, J. (2010).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Paju: Greenee. 

  8. Mroczek, D. & Kolarz, C. (1998). The ef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5(5), 1333-1349. 

  9. Pentland, A. (2015). Social Physics: How Good Ideas Spread. Seoul: Wiseberry. 

  10.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Spring), 35-42. 

  11. Putnam, R. (2009). Bowling Alone. Seoul: Paper road. 

  12. Yamaoka, K. (2007). Social capital and health and wellbeing in East Asia. Social Science & Medicine, 66(4), 885-899. 

  13. Sonn, C., Bishop, B., & Drew, N. (1999). Sense of community: Issues and consideration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Community, Work & Family, 2(2), 205-218. 

  14. Baik, M. J. (2006).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Social Capital: focusing on participation in NGO.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Deajeon Uni.: Deajeon. 

  15. CDI. (2012). Policy direction for well-being index in Chungnam's residence(Strategy 2012-01). Gongju: CDI. 

  16. Choi, E. J. (2010). A study on the real condition of social network as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case study in Seoul and Gangneung.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Jungang Uni, Seoul. 

  17. Chun, H. S. (2004).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of Apartment Complex in Large Cit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38(4), 215-247. 

  18. Chun, J, Y. (2010). A Comparativ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House-type of Urban Area.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19. Gwak, H. G. (2007).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Study of Local Government, 11(4), 59-87. 

  20. Ha, M. C. & Han, S. T. (2013). Social Capital in Urban Community and Policy Acceptance. Journal of Korea Local Autonomy Administration, 27(2), 363-387. 

  21. Han, S. H., Kim, Y. H., & Lee, H. S. (2010). The Relation of Social Capital and Well-being. The Journal of KAPA, 44(3), 37-59. 

  22. Jo, K. J. (2010). Social Capital in Seoul. SDI, 70, 1-26. 

  23. Jo, I. S.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angmyung Uni., Seoul. 

  24. Jo, M. J. (2014). The Role of Common Space in Improving Social Capital and the Sense of Community.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ungkyunkwan Uni., Seoul. 

  25. Jung, M. E., Kim, M. H., & Jang, Y. S. (2014). The Relations between Happiness and Social Capital of Seoul. Journal of Seoul Urban Research. 15(1), 163-186. 

  26. Jung, E. U.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Married Women's Happin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Jeonnam Uni., Jeonnam. 

  27. Kim, H. Y. (2011). A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mobilization program of community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3(3), 1-29. 

  28. Kim, S. J., Yang, E. J., & Kwon, J. H. (2013). Effects of Online/Offline Self-Disclosure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Happiness.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30(4), 5-42. 

  29. Kim, H. G., & Kim, J. G. (2001). Design Elements for Community facility in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2(2), 123-132. 

  30. Kim, H. Y. (2011). A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mobilization program of community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3(3), 1-29. 

  31. Koo, J. H., & Kim, S. O. (2009). A Study on Features of Social Activities and Participants which Depend on Physical Milieu of Street in Green Parking Areas. Urban Design, 36, 181-194. 

  32. Lee, J. H., & Oh, M. O.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Happiness of Geoje Residents. Journal of Korea Local Autonomy Administration, 28(3), 313-330. 

  33. Lee, J. S. (2015). Analysis of Place Attachment and Trust in Residenti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1), 53-60. 

  34. Moon, et al. (2008). A Study on the Neighborhood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85-93. 

  35. Park, H. B. (2009). Social Capital. Seoul: Compress. 

  36. Park, H. B., & Lee, H. C. (2005).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Koreans' Life Satisfac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7(3), 709-729. 

  37. Seo, B. K. (2014). Social Cohe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in Seoul.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2), 45-54. 

  38. Seo, J. A. (2013).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Expenditure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Seoul Uni., Seoul. 

  39. Seo, J. N. (208).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complex types and social capital. Unpubulished Ph.D. Dissertaion, Jungang Uni., Seoul. 

  40. Shin et al. (2011). A Case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and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1), 83-93. 

  41. Yang, S. J. (2010). An Analysis on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Status of Deficit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13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