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고지방 식이에 대한 흰쥐의 간 지질 개선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hepatic lipids improvement effects of Rubus coreanus in high-fat diet-fed rats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8 no.2, 2015년, pp.117 - 125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송윤오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동물의학연구원) ,  정민섭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동물의학연구원) ,  장선희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동물의학연구원) ,  원청길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동물의학연구원) ,  송영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동물소재공학과) ,  조재현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동물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hepatic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HFD) by the 70% ethanolic extract from Rubus coreanus. The Rubus coreanus extract (RCE) was administered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at 150 mg/kg BW/day for 5 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국내산 복분자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관련 연구(Cho 등, 2008; Jeong 등, 2008; Lee 등, 2009) 및 생체 내 지질개선에 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된 바 있으나, 간 조직 내 항산화 및 지질 축적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를 이용하여 in vitro 및 in vivo 측면에서 생리활성을 동시에 평가함으로써 복분자의 체내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 활용 현황은? 복분자(Rubus coreanus)는 Rubus속 식물인 나무딸기류의 일종으로 라즈베리의 한국 특산종으로 멍석딸기, 수리딸기 등이 있으나 복분자만이 약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특히 덜익은 열매를 건조시킨 것을 ‘복분자’라 하여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숙과 뿐만 아니라 완숙과를 식용으로 하거나, 분말이나 즙으로 가공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단순 가공 수준의 제품만이 제시되고 있어 과다 생산되는 복분자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Hong 등, 2012).
활성산소종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또한 이러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은 식사 뿐아니라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hydroxyl 라디칼(·OH), superoxide 라디칼(·O2-) 및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산화적 대사산물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Wiseman, 1996), 생체 내에서 발생되는 유리 라디칼이 과다할 경우 자연 방어능력으로 활성산소종의 효율적인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위한 항산화성 물질의 외부 유입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 염증, 동맥경화, 및 퇴행성 만성질환 등의 예방에 효과적인 항산화성 물질로 페놀성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 탄닌, 안토시아닌, 비타민 C 등이 제안되고 있다(Ali 등, 2005).
활성산소종의 방어를 위한, 항산화성 물질은? 또한 이러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은 식사 뿐아니라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hydroxyl 라디칼(·OH), superoxide 라디칼(·O2-) 및 과산화수소(H2O2)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산화적 대사산물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Wiseman, 1996), 생체 내에서 발생되는 유리 라디칼이 과다할 경우 자연 방어능력으로 활성산소종의 효율적인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위한 항산화성 물질의 외부 유입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 염증, 동맥경화, 및 퇴행성 만성질환 등의 예방에 효과적인 항산화성 물질로 페놀성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 탄닌, 안토시아닌, 비타민 C 등이 제안되고 있다(Ali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i KA, Abdelhalk M, George B, Panagiotis K. 2005. Tea and herbal infusions: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propolis. Food Chem 89: 27-36. 

  2. Apel K, Hirt H. 2004. Reactive oxygen species: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signal transduction. Annual Review of Plant Biology 55: 373-399.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Cho WG, Han SK, Sin JH, Lee JW. 2008. Antioxidant of heating pork and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20-825. 

  5. Cho YJ, Chun SS, Kwon HJ, Kim JH, Yoon SJ, Lee KH. 2005.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90-796. 

  6. Choi HR, Lee JH, Lee SJ, Lee MJ, Jeong JT, Lee TB. 2014.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89-497. 

  7. Choi HR, Lee SJ, Lee JH, Kwon JW, Lee HK, Jeong JT, Lee TB. 2013.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99-1907. 

  8.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9. Gutteridge JM. 1984. Reactivity of hydroxy and hydroxy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ucleosides and benzoate. J Biochem 224: 716-767. 

  10. Hakkinen SH, Karenlampi SO, Heinonen IM, Mykkanen HM, Torronen AR. 1999. Content of the flavonols quercetin, myricetin and kaempferol in 25 edible berries. J Agric Food Chem 47: 2274-2279. 

  11. Hong SM, Kang MJ, Lee JH, Jeong JH, Kwon SH, Seo KI. 2012. Production of vinegar using Rubus coreanus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Food Preserv 19: 594-603. 

  12. Hosseinian FS, Li W, Beta T. 2008. Measurement of anthocyanins and other phytochemicals in purple wheat. Food Chem 109: 916-924. 

  13. Hwang EK. 2009. Effect of quercetin supplement on major biochemical parameters in sera of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J Vet Clin 26: 413-418. 

  14. Jang TS, Yang JC, Lim SY, Kim BA. 2014.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Oil Chemists' Soc 31: 130-135. 

  15.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16. Jung MA, Cho SH, Lee SY, Kim JH, Oh KN, Kim YS, Yoo GS, Lee DW, Kim SO. 2014. Effects of unripe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in C57BL/6 mice fed a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50-655. 

  17. Kammerer D, Claus A, Carle R, Schieber A. 2004. Polyphenol screening of pomace from red and white grape varieties (Vitis vinifera L.) by HPLC-DAD-MS/MS. J Agric Food Chem 52: 4360-4367. 

  18. Kang HH. 2009.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berries and their anthocyanin identification.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9. Kang SM, Shim JY, Hwang SJ, Hong SG, Jang HE, Park MH. 2003. Effects of Saengshik supplementation on health improvement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06-912. 

  20. Kim HK, Kwon YA, Rho SK, Ham YT. 1999. The role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in the fatty liver induced by alcohol or high cholesterol diet in rats. Kor J Nutr 32: 55-58. 

  21. Kim ID, Kang SK, Kwon RH, Jeong OY, Lee JS, Ha BJ. 2007. The effect of Rubus coreanum Miquel against lipopolysaccharid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pid metabolism. J Fd Hyg Safety 22: 213-217. 

  22. Kwon JW, Lee HK, Park HJ, Kwon TO, Choi HR, Song JY. 2011.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to different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s Miq. Korean J Med Sci 19: 325-333. 

  23. Lee BK, Shin HH. Jung JH. Hwang KT. Lee YS, Kim TY. 2009. Anthocyanins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raspberry exud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5-130. 

  24. Lee JH, Lee SJ, Park S, Kim HK, Jeong WY, Choi JY, Sung NJ, Lee WS, Lim CS, Kim GS, Shin SC. 2011. Characterisation of flavonoids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using HPLC-MS/MS: contribution to the overall antioxidant effect. Food Chem 124: 1627-1633. 

  25. Lee SJ, Lee MJ, Ko YJ, Choi HR, Jeong JT, Choi KM, Cha JD, Hwang SM, Jung HK, Park JH, Lee TB. 2013. Effects of extra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and red ginseng on cholesterol synth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28-635. 

  26. Lee SO, Kim MJ, Kim DG, Choi HJ. 200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9-147. 

  27. Lim BO, Seo TW, Shin HM, Park DK, Kim SU, Cho KH, Kim HC. 2000. Effect of Betulae platyphyllae Cortex on free radical in diabetic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Kor J Herbology 15: 69-77. 

  28. Markakis P. 1974. Anthocyanins and their stability in foods. Crit Rev Food Technol 4: 437-456. 

  29. Moreno MIN, Isla MI, San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nopharmacol 71: 109-114. 

  30. Park JO, Lee IS, Choi JW. 2004. Effect of Terminalia chebula extract on liver in rat. J Life Sci 14: 141-147. 

  31. Park SH, Jeon WK, Kim SH, Kim HJ, Park DI, Cho YK, Sung IK, Sohn CI, Keum DK, Kim BI. 2006.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terol Hepatol 21: 138-143. 

  32. Park YG, Choi SH, Kim SH, Jang YS, Han JG, Chung HG.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Mokche Konghak 36: 102-109. 

  33. Qi Y, Zhao X, Lim YI, Park KY. 2013.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55-662. 

  3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35. Rhee SJ, Park HK. 1984. Change of lipid content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 in liver of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17: 113-125. 

  36. Song YO, Lee SJ, Park HJ, Jang SH, Chung BY, Song YM, Kim GS, Cho HJ. 2014. Hepatoprotective effect of Schisandra chinensis on high-fat diet- induced fatty liver in rats. Korean J Vet Serv 36: 45-52. 

  37. Uchiyama M, Mihara M. 1978. Determination of malondialdehyde precursor in tissues by TBA test. Anal Biochem 86: 271-278. 

  38.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J Nutr Biochem 7: 2-6. 

  39. Yoon HJ, Park YS. 2010.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water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19-226. 

  40. Yoon I, Wee JH, Moon JH, Ahn TH, Park K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99-502. 

  41. Zhang XH, Choi SK, Seo JS. 2010. Effect of dietary grape pomace on lipid metabolism and hepatic morphology in rats fed a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95-16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