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고위험약물에 대한 투약오류 위험과 약물단독확인 태도, 투약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성
Correlation among the Medication Error Risk of High-alert Medication, Attitudes to Single Checking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Activities of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1, 2015년, pp.1 - 10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정현경 (부산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rror risk of high-alert medication, attitudes to single-person checking of medication, and medication safety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60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고위험약물에 대한 투약오류 위험과 약물단독확인 태도, 투약안전간호활동 간의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고위험약물 투약오류 위험 및 약물단독확인에 대한 태도, 투약안전간호 활동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의 투약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부지역 2개 병원 간호사 60명의 적은 표본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외국의 도구를 한글화하는 과정에서 도구의 내용타당도 평가 없이 사용되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따른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발생가능성이 높은 고위험약물에 대한 투약오류 위험과 약 물단독확인 태도 및 투약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의 투약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였으므로 고위험약물관련 지식과 그 확신정도를 기반으로 한 투약오류의 위험, 약물단독확인에 대한 태도 및 투약안전간호활동 각 변수의 특성과 상관성을 위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 , 2014), 소아중환자실에서 사용되는 고위험약물의 규명 및 발생률 조사연구(Franke, Woods, & Holl, 2009)가 있었으며 고위험약물 투약오류 위험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진은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고위험 약물에 대한 투약오류 위험과 약물단독확인에 대한 태도, 투약안전간호활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향후 중환자실에서의 고위험약물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 명의 의료진이 투약오류 예방을 위해 약물의 이중확인을 하는 방법은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두 명의 의료진이 독립적으로 약물, 투여 용량 및 투여 과정 전반에 걸쳐 평가를 하는 약물의 이중확인은 투약오류를 예방하고 환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실무로 언급되고 있다(Baldwin & Walsh, 2014). 하지만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업무과중 및 피로감이 발생하고 결국 이중확인을 회피하거나 동료의 확인에 안주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Cohen, 2007), 항상 최적의 오류감소전략은 아니며 모든 고위험약물에 대해 실용적이지는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Institute for Safe Medicine Practices, 2014). 반대로 충분한 투약 관련 지식을 갖춘 간호사가 단독확인을 통해 안전하게 투약을 완료하게 되면 비용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간호사의 업무자신감, 업무만족도 등의 향상도 꾀할 수 있을 것이란 단독확인의 유용함을 주장한 연구도 있었다(Jarman, Jacobs, & Zielinski, 2002; O'Connell, Crawford, Tull, & Gaskin, 2007).
중환자실에서의 투약오류 원인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중환자실에서의 투약오류 원인은 주의 산만한 환경, 잦은 환자의 이송, 다양한 응급상황(Cho, 2012; KaneGill et al., 2010), 의료진의 부족, 고위험약물의 사용 (Simonsen et al., 2011) 등 조직환경적 요인과 절차 및 지침 불이행, 의료진의 지식 및 기술부족으로 요약되는 의료인 측 요인(Cho, 2012; Hsaio et al., 2010; Simonsen et al., 2011), 급성기 질환으로 인해 고위험약물의 투약이 다빈도로 요구되는 환자 측 요인(van den Bemt et al., 2002)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조직환경적 요인과 환자 측 요인의 경우 쉽게 변화되기 어렵지만 의료인 측 요인은 투입되는 노력여부에 따라 투약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며,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지식과 인지가 높을수록 투약오류 경험률이 낮고(Oh & Yoon, 2007) 투여 약물에 대한 약리학적 지식의 많을수록 투약오류 위험성이 감소했다(Simonsen et al.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투약오류는 일반 병동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가? , 2014; Valentin et al., 2006) 급성기 환자 투약적용이 잦은 중환자실의 경우 그 빈도는 더욱 높아 1,000 입원일 당 106건의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었다(Kane-Gill & Weber, 2006). 이러한 수치는 일반병동에 비해 적게는 2배(Cullen et al., 1997), 많게는 7배 (Wilson et al., 1998)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ldwin, K., & Walsh, V. (2014). Independent double-checks for high-alert medications: essential practice. Nursing, 44 (4), 65-67. 

  2. Cho, H. W., & Yang, J. H. (201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health personn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 (1), 35-45. 

  3. Cho, S. S., & Gang, M. H. (2013).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of entry-leve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1), 24-34. 

  4. Cho, Y. J. (2012). A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5. Cohen, H. (2007). Reduce the risks of high-alert drugs. Nursing, 37 (9), 49-55. 

  6. Cullen, D. J., Sweitzer, B. J., Bates, D. W., Burdick, E., Edmondson, A., & Leape, L. L. (1997). Preventable adverse drug events in hospitalized patients: a comparative study of intensive care and general care units. Critical Care Medicine, 25 (8), 1289-1297. 

  7. Federico, F. (2007). Preventing harm from high-alert medications.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33 (9), 537-542. 

  8. Franke, H. A., Woods, D. M., & Holl, J. L. (2009). High-alert medication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Critical Care Medicine, 10 (1), 85-90. 

  9. Gandhi, T. K., Seder, D. L., & Bates, D. W. (2000). Identifying drug safety issues: from research to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2 (1), 69-76. 

  10. Hsaio, G. Y., Chen, I. J., Yu, S., Wei, I. L., Fang, Y. Y., & Tang, F. I. (2010). Nurses' knowledge of high-alert medications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1), 177-190. 

  11. Institute for Safe Medicine Practices. (2014). ISMP list of high-alert medications in acute care settings. Retrieved July 31, 2014, from https://www.ismp.org/tools/highalertmedications.pdf 

  12. Jarman, H., Jacobs, E., & Zielinski, V. (2002). Medication study supports registered nurses' competence for single check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8 (6), 330-335. 

  13. Jeong, J., Seo, Y. J., & Nam, E. W. (2006).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11 (1), 91-109. 

  14. Kane-Gill, S. L., Jacobi, J., & Rothschild, J. M. (2010). Adverse drug events in intensive care units: risk factors, impact, and the role of team care. Critical Care Medicine, 38 (6 Suppl), S83-S89. 

  15. Kane-Gill, S. L., & Weber, R. J. (2006). Principles and practices of medication safety in the ICU. Critical Care Clinics, 22 (2), 273-290. 

  16. Kang, J. H., Kang, H. Y., Kown, S. H., Kim, B. R., Kim, I. S., Park, M. H., et al. (2010). Patient safety and nursing . Seoul: Medical House. 

  17.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0). 20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Lee, J. H. (2012). Effectiveness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high-alert medications on prevention of medication err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19. Lee, J. M., Hong, S. J., & Park, M. H. (2013).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ICU nurse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9 (11), 273-290. 

  20. Lu, M. C., Yu, S., Chen, I. J., Wang, K. W., Wu, H. F., & Tang, F. I. (2013). Nurses' knowledge of high-alert medication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urse Education Today, 33 (1), 24-30. 

  21. Manias, E., Williams, A., Liew, D., Rixon, S., Braaf, S., & Finch, S. (2014). Effects of patient-, environment- and medicationrelated factors on high-alert medication incident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3 (3), 308-320.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Healthcare accreditation for advanced general hospitals(Ver 2.0) .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3. Nuckols, T. K., Paddock, S. M., Bower, A. G., Rothschild, J. M., Fairbanks, R. J., Carlson, B., et al. (2008). Costs of intravenous adverse drug events in academic and nonacademic intensive care units. Medical Care, 46 (1), 17-24. 

  24. O'Connell, B., Crawford, S., Tull, A., & Gaskin, C. J. (2007). Nurses' attitudes to single checking medications: before and after its us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3 (6), 377-382. 

  25. Oh, C. A., & Yoon, H. S. (2007).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1), 6-17. 

  26. Park, J. H. (2014).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pplication based on smartphone for high alert medications nursi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7. Simonsen, B. O., Johansson, I., Daehlin, G. K., Osvik, L. M., & Farup, P. G. (2011). Medication knowledge, certainty, and risk of errors in health care: a cross-sectional study. BioMed Central Health Services Research, 11 (1), 175. 

  28. Valentin, A., Capuzzo, M., Guidet, B., Moreno, R. P., Dolanski, L., Bauer, P., et al. (2006). Patient safety in intensive care: results from the multinational sentinel events evaluation (SEE) study. Intensive Care Medicine, 32 (10), 1591-1598. 

  29. van den Bemt, P. M., Fijn, R., van der Voort, P. H., Gossen, A. A., Egberts, T. C., & Brouwers, J. R. (2002). Frequency and determinants of drug administration error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30 (4), 846-850. 

  30. Wilson, D. G., McArtney, R. G., Newcombe, R. G., McArtney, R. J., Gracie, J., & Kirk, C. R., et al. (1998). Medication errors in paediatric practice: insights from a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57 (9), 769-7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