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 재이식 대기자의 경험
Experiences of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for Deceased Donor Kidney Retransplantation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8 no.1, 2015년, pp.11 - 24  

전미경 (서울아산병원) ,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for kidney retransplant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f nine patients who were dialyzed after primary kidney graft dysfunction and were waiting for deceased d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장이식환자가 다시 투석 치료를 받는 경우는 언제인가? 이식한 신장이 그 기능을 다했을 때 이식 신장 기능 부전 환자들은 투석이라는 치료를 다시 받게 되는데, 이러한 신장이식 후 재투석환자들은 처음 투석을 하는 환자나 신장이식 후의 환자보다 더 높은 우울감을 보이고 있으며(Christensen, Holman, Turner, & Slaughter, 1989), 비통함, 부정, 통제력 상실, 분노, 자살충동 등의 부정적 정서반응과 대응과정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Carosella, 1984). 또한 신장이식 실패 후 재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면역억제제의 지속적인 사용여부나 이식 신장의 적출 여부, 재이식 시기 결정 등 일반적인 신장이식, 투석환자들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essa, Ponticelli, & Berardinelli, 2008).
신장이식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WHO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전 세계적으로 114,690건의 장기이식이 시행되었는데 그 중 신장이식은 77,818건이 시행되어 약 68%를 차지하였다(WHO, 2012). 신장이식은 1954년 미국에서 처음 성공한 이후로 점차 외과적 수술기법과 면역억제제가 발달하여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추천되는 가장 이상적인 치료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Yi, 1998).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가 발족된 이후 2014년 9월까지 16,580건의 신장이식이 시행되었으며, 매년 1,700건 이상이 시행되고 있다(KONOS, 2014).
신장이식환자에서 이식 장기 생존율과 환자 생존율이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8년으로 보고하고 있다(Lamb, Lodhi, & Meier-Kriesche, 2011). 신장이식환자에서 이식 장기 생존율과 환자 생존율이 이처럼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간이나 심장과 달리 신장은 이식 실패 후에도 혈액이나 복막투석 등의 신대체 요법을 받으며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kman, B., Ozdemir, F. N., Sezer, S., Micozkadioglu, H., & Haberal, M. (2004). Depression levels before and after renal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6 (1), 111-113. 

  2. Beard, B. H. (1969). Fear of death and fear of life: the dilemma in chronic renal failure, hemodialysis, and kidney transplant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1 (3), 373-380. 

  3. Carosella, J. (1984). Picking up the pieces: the unsuccessful kidney transplant. Health & Social Work, 9 (2), 142-152. 

  4. Chen, C. K., Tsai, Y. C., Hsu, H. J., Wu, I. W., Sun, C. Y., Chou, C. C., et al. (2010).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Psychosomatics, 51 (6), 528-528. 

  5. Christensen, A. J., Holman, J., Turner, C. W., & Slaughter, J. R. (1989). Quality of life in end-stage renal disease: influence of renal transplantation. Clinical Transplantation, 3 , 46-53. 

  6.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 Curtin, R. B., Mapes, D., Schatell, D., & Burrows-Hudson, S. (2005).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exploring domains and dimensions. Nephrology Nursing Journal, 32 (4), 389-398. 

  8. ESRD Registry Committee. (2014).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In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Ed.) . Seoul: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9. Fukuhara, S., Green, J., Albert, J., Mihara, H., Pisoni, R., Yamazaki, S., et al. (2006). Symptoms of depression, prescription of benzodiazepines, and the risk of death in hemodialysis patients in Japan. Kidney International, 70 (10), 1866-1872. 

  10. Gill, P., & Lowes, L. (2014). Renal transplant failure and disenfranchised grief: participants' experiences in the first year post-graft fail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 (9), 1271-1280. 

  11. Gordon, E. J. (2001). Patients' decisions for treatment of endstage renal disease and their implications for access to transplant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53 (8), 971-987. 

  12. Hatthakit, U. (2012). Lived experience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a meta-synthesis. Nephrology Nursing Journal, 39 (4), 295-304. 

  13. Holley, J. L., McCauley, C., Doherty, B., Stackiewicz, L., & Johnson, J. P. (1996). Patients' views in the choice of renal transplant. Kidney International, 49 (2), 494-498. 

  14. Joshi, S. A., Almeida, N., & Almeida, A. (2013). Assessment of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of successful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and their donors pre-and post-transplantation. Transplant Proceedings, 45 (4), 1435-1437. 

  15. Kim, J. A. (2012). The experiences of hemodialysis patients with renal allograft dysfun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KONOS. (2014, July 7). 2013 KONOS anual report. Retrieved January 21, 2015, from http://www.konos.go.kr 

  17. Lamb, K. E., Lodhi, S., & Meier-Kriesche, H. U. (2011). Long-term renal allograft survival in the United States: a critical reappraisal. 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11 (3), 450-462. 

  18. Lee, S. H., Kim, K. H., & Chung, H. K. (1999).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ho have received a kidney transpl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6 (1), 78-95. 

  19. Messa, P., Ponticelli, C., & Berardinelli, L. (2008). Coming back to dialysis after kidney transplant failure.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3 (9), 2738-2742. 

  20. Oh, S. H., & Yoo, E. K. (2006).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kidney transplant and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7), 1145-1153. 

  21. Overbeck, I., Bartels, M., Decker, O., Harms, J., Hauss, J., & Fangmann, J. (2005). Changes in quality of life after renal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7 (3), 1618-1621. 

  22. Park, E. J. (2014). The adaptation experience of hemodialysis on wome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3.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3), 27-37. 

  24. Sellares, J., de Freitas, D. G., Mengel, M., Reeve, J., Einecke, G., Sis, B., et al. (2012). Understanding the causes of kidney transplant failure: the dominant role of antibodymediated rejection and nonadherence. 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12 (2), 388-399. 

  25. Shin, M. J. (1996). Experience of hemodialysis in the chronic renal failure cl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3 (2), 235-246. 

  26. Suri, R. S., Larive, B., Garg, A. X., Hall, Y. N., Pierratos, A., Chertow, G. M., et al (2011). Burden on caregivers as perceived by hemodialysis patients in the Frequent Hemodialysis Network (FHN) trial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6 (7), 2316-2322. 

  27. Tong, A., Sainsbury, P., Chadban, S., Walker, R. G., Harris, D. C., Carter, S. M., et al. (2009). Patient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living with CKD.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53 (4), 689-700. 

  28. WHO. (2012). Global observatory o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GODT) data. Retrieved January 10, 2015, from http://www.transplant-observatory.org 

  29. Wi, O. (2004). Lived experience of hemodialysis patients:applied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 Yi, M. (1998). Psychosocial adjustment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2), 291-3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