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reatment Adherence of Kidney Transplantation Recip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2, 2019년, pp.619 - 628  

이정아 (전남대학교병원) ,  김영아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정향인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하는 신장이식 환자 13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7일부터 2017년 8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 종교의 유무, 이식 후 경과기간에 따라 치료지시이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총 사회적 지지(r=.54, p<.001), 가족의 지지(r=.43, p<.001), 의료인의 지지(r=.57, p<.001) 및 자가 간호지식(r=.21, p=.015) 역시 치료지시이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치료지시이행의 영향요인은 의료인의 지지, 신장이식 후 경과기간, 배우자 유무, 종교의 유무였고, 최종 설명력은 41.9%였다. 결론적으로, 신장이식 환자들의 치료지시이행을 높이기 위해 의료인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explanatory research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reatment adherenc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he subjects were 132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7, 2017, to Aug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의료인의 지지를 비롯한 사회적 지지와 자가 간호지식이 신장이식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매우 중요한 관련요인임을 알 수 있으나 의료인의 지지를 포함하여 신장이식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설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인의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자가 간호지식 및 기타 특성들이 그들의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는 장기적인 추후관리가 필요한 신장이식 수술 환자의 기대여명과 삶의 질을 제고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가 간호지식 및 기타 특성이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의 일반적 특성, 이식관련 특성, 의료인의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지지 및 자가 간호지식 등의 변수가 대상자의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신장이식 환자의 효율적인 자가 간호수행의 길을 모색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설명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결과,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의료인의 지지, 종교 유무, 배우자 유무, 이식 후 경과기간으로 밝혀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인의 지지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자가 간호지식 및 기타 특성들이 그들의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식환자들이 이식 이후 성공적인 자기 관리를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또한 이식환자들의 성공적인 자기 관리를 위해 이식 후 약물 요법, 거부 반응 및 일상생활 주의사항 등에 대한 자가 간호지식이 필수적이다[8]. 자가 간호지식의 부족은 거부반응 증상을 무시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19].
치료지시이행이란? 신장이식 대상자는 금연, 금주 등 엄격한 일상생활관리가 요구되며 약물요법, 식이요법, 체중조절, 혈압관리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7-10]. 이와 같이 치료지시이행이란 개인이 건강관리자가 권한 지시에 대하여 일치하는 행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하는데[11], 장기이식환자에게 있어 모든 치료의 효과는 치료의 선택뿐만 아니라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에 크게 좌우된다는 점에서 치료지시이행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7].
일반적 특성 및 이식관련 특성 중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이 있었던 특성은 무엇이었나요? 일반적 특성 및 이식관련 특성 가운데 연령, 종교 유무, 이식 후 경과기간에 따라 대상자의 치료지시이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 치료지시이행은 50대가 40대보다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군이 없는 군보다 높았으며, 신장이식 후 경과시간이 1년 이하인 군이 6년을 초과한 군보다 높았다. 이는 50대 이상의 치료지시이행 정도가 높고[14][23], 자가 간호이행 정도가 높은[25]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젊을수록 일이나 사회 활동에 의해 약물복용을 지키지 않거나 의료기관 추후방문을 거르는 빈도가 증가한다고 보고된 연구결과가 있어[9][18], 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물복용 등 치료지시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ritish Transplant Society/The Renal Association, United Kingdom guidelines for living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2nd ed., 2005. [Internet] https://bts.org.uk/wp-content/uploads/2016/09/LDKidneyDonation.pdf, 2018.12.1. 

  2. 장기이식관리센터, 2017년 장기 등 이식 및 인체조직 기증 통계 연보, 2018. [internet] https://www.konos.go.kr/konosis/common/bizlogic.jsp, 2018.12.1. 

  3. British Transplant Society, Management of the failing kidney transplant, 2014. [Internet] https://bts.org.uk/wp-content/uploads/2016/09/13_BTS_Failing_Graft-1.pdf, 2018.12.1. 

  4. P. Gill and L. Lowes, "The kidney transplant failure experience: a longitudinal case study," Progress in Transplantation, Vol.19, No.2, pp.114-121, 2009. 

  5. C. Kugler, S. Geyer, J. Gottlieb, A. Simon, A. Haverich, and K. Dracup, "Symptom experience after solid organ transplant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66, No.2, pp.101-110, 2009. 

  6. 김미숙, 신장이식 환자의 지식과 치료지시 이행정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7. G. Germani, S. Lazzaro, F. Gnoato, M. Senzolo, V. Borella, G. Rupolo, U. Cillo, P. Rigotti, G. Feltrin, M. Loy, A. Martin, G. C. Sturniolo, and P. Burra, "Nonadherent behaviors after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Vol.43, No.1, pp.318-323, 2011. 

  8. F. Murphy, "The role of the nurse post-renal transplant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16, No.11, pp.667-675, 2007. 

  9. A. Tong, M. Howell, G. Wong, A. C. Webster, K. Howard, and J. C. Craig, "The perspectives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on medicine taking: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Vol.26, No.1, pp.344-354, 2011. 

  10. 황영희, 최명애,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정도," 중환자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15-25, 2011. 

  11. L. Urdang and H. Swallow, Mosby's Medical and Nursing Dictionary, St. Louis, MO: Mosby, 1983. 

  12. A. Fathi-Ashtiani, G. R. Karami, B. Einollahi, S. Assari, F. Aqhanasiri, M. Najafi, and E. Nemati, "Marital quality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easy to predict, hard to neglect," Transplantation Proceedings, Vol.39, No.4, pp.1085-1087, 2007. 

  13. 손웅엽, 현숙자, 김나미, 엄옥주, 김춘길, 김두진, 박성길, 이정훈, 김주섭, 이삼열,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 신장기능 및 가족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이식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54-261, 2008. 

  14. 이정란, 박효정,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20, 2017. 

  15. A. Conway, V. Schadewaldt, R. Clark, C. Ski, D. R. Thompson, and L. Doer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adult heart transplant recip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summary of qualitative findings," Heart and Lung: the Journal of Acute and Critical Care, Vol.42, No.6, pp.449-455, 2013. 

  16. 김옥수, 최경숙,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2권, 제1호, pp.78-87, 2016. 

  17. R. Pisanti, L. Poli, C. Lombardo, L. Bennardi, L. Giordanengo, P. B. Berloco, and C. Violani, "The role of transplant-related stressors and social support in the development of anxiety among renal transplant recipients: the direct and buffering effects," Psychology, Health & Medicine, Vol.19, No.6, pp.650-655, 2014. 

  18. M. A. Dew, A. F. DiMartini, A. De Vito Dabbs, L. Myaskovsky, J. Steel, M. Unruh, G. E. Switzer, R. Zomak, R. L. Kormos, and J. B. Greenhouse, "Rates and risk factors for nonadherence to the medical regimen after adult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Vol.83, No.7, pp.858-873, 2007. 

  19. K. H. Urstad, O. Oyen, M. H. Andersen, T. Moum, and A. K. Wahl,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renal recip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Transplantation, Vol.26, No.3, pp.E246-253, 2012. 

  20.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21.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22. 서문자, "편마비 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와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88-117, 1990. 

  23. 류정하, 김명희, 강인순,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 이행정도와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226-238, 2003. 

  24. 심미경, 손선영, "신장이식환자에 대한 개별교육 프로그램이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8권, 제1호, pp.9-17, 2012. 

  25. 배수정, 김민영, "신장이식환자의 자가간호이행 영향 요인 및 경과기간별 이행정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3호, pp.259-266, 2017. 

  26. K. L. Russell and S. R. Bray, "Promoting self-determined motivation for exercise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 role of autonomy support,"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55, No.1, pp.74-80, 2010. 

  27. R. M. Ryan, H. Patrick, E. L. Deci, and G. C. Williams, "Facilitating health behaviour change and its maintenance: intervention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European Health Psychologist, Vol.10, No.1, pp.2-5, 2008. 

  28. 하희선, 정재심, 채영란, 홍정자, 김인옥, 이명선, 문덕복, 이승규, "한국 장기이식 수혜자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대한이식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69-28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