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막투석환자의 식이적응경험: 현상학적 연구
The Lived Experience of Dietary Adaptation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 Phenomenological Stud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364 - 374  

이현정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봉희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강희영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신부전증으로 복막투석을 받는 환자의 식이적응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규명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로서, 자료는 G광역시 일개 대학병원을 다니고 있는 복막투석 6개월 이상 된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모든 면담은 녹취되고 필사되었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복막투석환자의 식이적응 경험은 네개의 주제모음과 15개의 주제로 구조화되었다. 네 개의 주제모음은 '복막투석과 식이적응의 이중적 고통', '막막하고 답답한 식이조절', '체험하면서 느끼게 된 식이조절의 고됨', '투석과 식이조절 병행의 중요성을 깨닫고 삶의 목표 재설정'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복막투석환자들이 겪는 현실적인 식이적응과정은 복막투석과 식이요법적응의 이중적 고통으로 삶이 고되었지만, 순응하고 더 나은 삶을 위해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복막투석환자 식이적응의 어려움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식이관련 맞춤형 중재연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experience of the dietary adaptation of patients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due to end-stage renal failure by identifying the meaning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In the research method, the data from nine patients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질문내용은 ‘복막투석시작 후 식이를 적응하는 경험은 어떠하였습니까?’, ‘식이조절을 하면서 어려운 점은 어떤 것 이었습니까?’, ‘투석시작 후 입맛의 변화는 어떠했습니까?’ ‘본인만의 식이 관리법은 무엇입니까?’라는 개방형 질문으로, 연구 참여자가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료가 포화되어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진행하였다. 1차면담에서 확인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2차면담은 주로 1차면담에서 부족한 진술내용이나, 다른 대상자 면담에서 나타난 새로운 진술내용에 관련한 공통된 경험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차면담까지 총 14회의 면담을 하였을 때 더 이상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지 않고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시점에 도달하였다.
  • 본 연구는 복막투석환자들이 겪고 있는 식이적응 경험의 구조와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이들의 식이적응과정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자의 식이적응 경험은 ‘복막투석과 식이적응의 이중고’, ‘막막하고 답답한 식이조절’, ‘체험해가면서 느끼게 된 식이조절의 고됨’, ‘투석과 식이조절 병행의 중요성을 깨닫고 삶의 목표 재설정’의 네 개의 주제 모음과 15개의 주제로 규명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이적응에 대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Colaizzi[16]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복막투석환자의 관점에서 식이요법적응경험의 일반적인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식이적응경험 뿐만 아니라 복막투석환자의 삶을 폭넓게 이해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본 연구에서 규명된 복막투석환자의 식이적응 경험은 이들을 위한 식이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복막투석환자의 식이적응과정에 대한 경험의 본질과 구조를 확인하고 서술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복막투석환자 9명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신부전으로 복막투석을 받는 환자의 식이적응 경험을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결과는 복막투석환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식이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현상학적 연구는 복막투석환자가 경험하고 있는 식이 적응과정의 현상에 대해 이들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이들의 관점으로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복막투석환자가 경험하고 있는 신부전식이 적응과정의 의미와 경험의 구조를 규명함으로써 이 경험의 본질을 기술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 적합성은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참여자가 식이적응 경험을 주체적으로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자료수집 절차를 제시하고, 연구 참여자가 아닌 복막투석환자 2명에게 분석된 연구 결과를 읽어보게 하여 자신들의 경험에 비추어 내용이 의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적합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감사가능성은 연구자가 진행한 방법을 다른 연구자가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 참여자들은 시행착오와 합병증의 경험을 몸소 느끼고, 건강한 투석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보았다. 각자의 기호식품과 식이방법이 다양하므로 각자 식사 노하우를 터득하여 실천해나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 J. Shin, "Experience of Hemodialysis in the Chronic Renal Failure Cli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nursing, vol. 3, no. 2, pp. 235-246, 1996. 

  2. 2018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2019[cited 2019 oct. 10],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rang_board/list.html?codesinchart 

  3. J. K. Park, S. M. Son, "Nutritional Status of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39, no. 7, pp. 624-640, 2006. 

  4. J. H. Kang, J. Y. Kang, Y. O. Le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Education Protocol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4, no. 2, pp. 47-60, 2011. 

  5. J. T. Daugirdas, P. G. Blake, T. S. Ing, Handbook of dialysis fifth ed, p.412-413, Gunja Publishers, 2018. 

  6. J. M. Kim, S. J. Lee, D. K. Seo, K. Y. Lee, S. R. Ryu, S. Y. Lee, "Comparison of Peritoneal Dialysis and Hemodialysis Patients Following Extrended Treatment Periods in a Single Center",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2, no. 1, pp. 45-52, 2017. DOI: https://doi.org/10.3904/kjm.2017.92.1.45 

  7. C. E. Kim, J. Y. Han, "Effects of Individualized Diet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Knowledge and Self-Care Complianc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2, no .3, pp. 257-264, 2016. DOI: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3.257 

  8. J. Y. Lee, "(A) Study on Effectiveness of Dietary Self-efficacy, Dietary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for Exercise-Diet Compliance of Patients on Hemodialysis", Seoul: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9. J. J. Lee, "The Effects of Diet Regimen Practice, Nutrient Intake, Gastrointestinal Symptoms on Diet-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Hemodialysis Patient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10. E. K. Yang,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Dietary 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8, No. 3, pp. 323-333, 201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6.28.3.323 

  11. K. Choi, "(The) Study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Hemodialysis Outpatients", Seoul: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5. 

  12. L. H. Kang, "Factors Affecting Malnutrition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 A Cross-sectional Study",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6, pp. 943-955, 2002. 

  13. J. H. Seo, N. H. Kim, Y. R. Heo,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during Dialysis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45, no. 1, pp. 30-43, 2012. DOI: https://doi.org/10.4163/kjn.2012.45.1.30 

  14. J. K. Park, S. M. Son, "Nutritional Status of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39, no. 7, pp. 624-640, 2006. 

  15. W. J. Wi, "Assessment of Malnutrition of Dialysis Patients and Comparison of Nutritional Parameters of CAPD and Hemodialysis Patient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5. 

  16. P. F. Colai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Valle, R.S. and Mark, K.,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48-71, 1978. 

  17. M. Sandelowski,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8 no 3, pp. 27-37, 1986. DOI: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18. Y. M. Kim, B. H. Kim, "Q Methodology and Theory: A Study on Patient's Attitude toward Peritoneal Dialysis",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 8, pp. 80-118, 2003. 

  19. G. Y. Young, J. D. Kopple, B. Lindholm, E. F. Vonesh, A. De Vecchi, A. Scalamogna, C. Castelnova, et al., "Nutritional Assessment of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vol. 17, no. 4, pp. 462-471, 1991. DOI: https://doi.org/10.1016/S0272-6386(12)80642- 

  20. J. Y. Bae, H. J. Pack, S. S. Kim, J. S. Bang,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0, No.3, pp. 261-270, 2011.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3.261 

  21. S. Y. Kim, J. H. Yang, "Factors Influencing the Stress of Patients on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340-349, 2015.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3.340 

  22. E. K. Yang, I. O. Kim,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Dietary 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8, no. 3, pp. 323-333, 2016.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6.28.3.323 

  23. S. M. Kim, H. S. Lim,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Diet Practice and Education Demands in 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ol. 24, no. 2, pp. 117- 140, 2018. DOI: https://doi.org/10.14373/JKDA.2018.24.2.117 

  24. Y. S. Kim, M. Y. Kim, "The Experience of Fluid Management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 5, pp. 773-782, 2015.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5.45.5.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