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아트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fashion art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3, 2015년, pp.353 - 367  

박지혜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  황춘섭 (경희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awareness, preference levels, and effect expectations in relation to fashion art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uch marketing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in fashion products, called product collaboration; sponsorship for art foundation; artist spons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가 전개하는 아트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호감도,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패션 아트마케팅의 유형 각각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패션 아트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질문서를 이용한 조사연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둘째, 패션 아트마케팅에 대한 태도와 아트마케팅 전개 브랜드 제품 구매의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유형별 패션 아트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각 유형의 아트마케팅 전개 브랜드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패션 브랜드들이 전개하는 아트마케팅 활동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개되고 있는 아트마케팅 유형 각각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심도 있게 파악되고, 그 결과가 아트마케팅 전략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의 아트마케팅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패션 브랜드들이 전개하고 있는 주요 아트마케팅 유형 각각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와 호감도를 파악하고, 각 유형의 패션 아트 마케팅 활동이 유발하는 효과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 패션 아트마케팅 전개 브랜드의 제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상기의 관련문헌 고찰 결과를 토대로 패션 브랜드의 아트마케팅 유형을 아트재단 설립 및 후원, 아티스트 후원, 패션제품 협업, 공간·디스플레이 협업, 광고·영상물 협업의 5가지로 분류하고, 이 들 각각에 대한 소비자 태도(인지도, 호감도, 기대 효과)가 해당 브랜드의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Fig.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티스트 작품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유명 아티스트 작품을 접할 수 있다는 호기심만으로도 평소 무관심했던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예술작품을 보면 즉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뇌의 보상 영역과 쾌감 자극이 활성화되는 현상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Bum, 2012). 즉, 예술작품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마케팅에 접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아트마케팅이 등장하였다.
문화기술 산업이 주목 받은 이유는? 필요성뿐만 아니라 자신들의 감성적 욕구 충족 및 질적인 만족을 요구하는 현대인의 소비패턴에 부응하기 위해 기업은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 결과 문화 예술과 감성을 바탕으로 한 문화기술(Cultural Technology) 산업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무관심했던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 이유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유명 아티스트 작품을 접할 수 있다는 호기심만으로도 평소 무관심했던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예술작품을 보면 즉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뇌의 보상 영역과 쾌감 자극이 활성화되는 현상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Bum,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m, S. K. (2012, November 19). Art collaboration. Naver cast. Retrieved November 19, 2012, from http://www.navercast.naver.com 

  2. Choi, H. J. (2013). A study of art infusion effect on the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self-monitoring and the luxury level of fashion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 Hagtvedt, H., & Patrick, V. (2008). The influence of art infusion o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n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5(3), 379-389. 

  4. Hong, M. J. (2008). Research on art-marketing activity of fashion industry: Analysis on cases of artmarketing by international fashion industries and recognition by custom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5. Hong, S. S., & Hwang, C. S. (2013). A case study of art marketing in fashion brand.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1(11), 19-32. 

  6. Hyun, S. E., & Park, S. Y. (2011). The impact of exposure to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on brand evaluation after considering brand knowledge: Product category differences.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29(1), 45-54. 

  7. Joo, S. H., & Koo, D. M. (2012). The effect of curiosity and need for uniqueness on emotional responses to art collaborated products including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sia Marketing Journal, 14(2), 97-125. 

  8. Jung, G. S. (2010). A case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design that incorporates art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9. Jung, J. K. (2006). An influence of cultural marketing on corporate image, social responsibility and business eth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0. Kan, H. S. (2008). A study on the cultural traits of collaboratio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D. J. (2011). Effects of support nature, public benefi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23(1), 575-590. 

  12. Kim, H. J. (2011). A study on art marketing strategy of luxury fashion brand through Contemporary art: Focusing on best practice brand LOUIS VUITTON, HERMES, PRAD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J. H. (2009). The effect of the ad with art image on the consumers' response. Journal of PR Research, 13(1), 97-122. 

  14. Kim, J. S. (2005).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 of collaboration strategy according to brand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5. Kim, J. S., & Choi, H. L. (2009). The study of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level and perceived price level of sport shoes on customer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27(1), 143-156. 

  16. Kim, S. H. (2012). Influence of art marketing on customer attitude: Comparing hedonic product and utilitarian produ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S. J. (2009). The effect of the advertising with art infu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8. Kim, Y. M., & Kang, B. S.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marketing observed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3(2), 100. 

  19. Lee, B. R. (2010). Comparison of customer preference between domestic brands and licensed brands-based on utilitarian products and hedonic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ity, Suwon, Korea. 

  20. Lee, H. W. (2011). The present state and effect of brand design management through art collaboration.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19, 123-147. 

  21. Lee, J. E., & Han, Y. H. (2010). Effect of art infusion on consumer evaluation: Focusing on product type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1(4), 797-821. 

  22. Lee, S. H., & Park, J. R. (2010). Effect of fashion brand's collaboration on customer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0, 233-243. 

  23. Leem, J. H. (2008). Impact of emotional consumption values to art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24. Moon, S. E. (2010). Study on art collaboration in fashion design: Focused on the cas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5. Park, H. H., Koo, Y. S., & Koo, D. M. (2006).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 on fashion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casual wear purchas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14(3), 81-106. 

  26. Park, J. K., & Li, B.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product brand image in the brand preference of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Journal of Management & Economics, 33(1), 39-63. 

  27. Rhee, S. C., & Kim, S. H. (2009).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art and fashion brand: Focusing on 2008 S/S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3), 225-233. 

  28. Rhee, S. C., & Lee, E. K. (2011).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uxury brands' art marketing through flagship store: Concentrated on Luis Vuitton and Prada Sho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1), 400-412. 

  29. Song, J. E. (2011). The effects of product evaluation on the different types of art marketing collaboration: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emotional re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0. Yoon, J. Y. (2007). The influence of art marketing on consum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sponse: Focusing on fine art appl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