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지역 고추, 콩, 옥수수, 배추밭의 잡초종 발생 분포와 우점 양상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2, 2015년, pp.95 - 103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김학윤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지역 17개 시 군의 고추, 콩, 옥수수 및 배추 재배포장에 발생되는 잡초의 분포와 우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고추밭 32과(family) 132종(국화과 23종, 벼과 10종, 메꽃과 8종), 콩밭 31과 116종(국화과 21종, 벼과 10종, 메꽃과 9종), 옥수수밭 37과 134종(국화과 16종, 벼과 12종, 메꽃과 11종), 배추밭 35과 170종(국화과 28종, 메꽃과 14종, 벼과 13종)이 출현하였다. 작물별 우점도는 고추밭 쇠비름 10.07, 콩밭 바랭이 9.63, 옥수수밭 바랭이 8.28, 배추밭 속 속이풀 8.35로 나타났다. PCA-covariance 분석을 통한 주요 잡초군락은 냉이로 대표되는 배추밭과 돌피로 대표되는 옥수수밭 그리고 공통적으로 왕바랭이, 쇠비름 및 깨풀로 대표되는 고추밭과 콩밭으로 구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dominance of weeds occurred in four summer crop fields,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in Gyeongbuk province. The weeds were summarized as 32 family and 132 species in hot pepper field, 31 family and 116 species in soybean fi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17개 시·군에서 고추, 콩, 옥수수 및 배추밭 재배지에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와 우점도를 분석하여 금후 이들 작물 재배지의 문제잡초 발생 예측과 제초제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9월까지 경북지역 17개 시·군의 고추, 콩, 옥수수 및 배추 재배포장에 발생되는 잡초의 분포와 우점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초란? 경종작물이 재배되는 밭 농경지는 지역별로 다양한 작물과 영농형태가 적용되며 인간의 영농방법에 따라 적응력이 강한 생활형과 높은 번식력을 가진 잡초들이 우점하여다양한 유형의 군락을 형성한다(Song, 1997). 잡초는 인간의 의도와 목적에 위배되는 모든 식물체를 포함하며 농경지에서 발생한 잡초는 작물 수량감소, 품질저하, 병해충 서식지 제공, 수확 시 농작업 장해 등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종 및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Hwang et al.,2013).
농경지에서 발생한 잡초는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경종작물이 재배되는 밭 농경지는 지역별로 다양한 작물과 영농형태가 적용되며 인간의 영농방법에 따라 적응력이 강한 생활형과 높은 번식력을 가진 잡초들이 우점하여다양한 유형의 군락을 형성한다(Song, 1997). 잡초는 인간의 의도와 목적에 위배되는 모든 식물체를 포함하며 농경지에서 발생한 잡초는 작물 수량감소, 품질저하, 병해충 서식지 제공, 수확 시 농작업 장해 등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잡초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종 및 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Hwang et al.,2013).
PCA-Covariance 분석의 자료 해석에 이용한 것은? 밭에 발생된 잡초 종은 Raunkiaer (1937)의 생활형을 기준으로 일년생과다년생을 구분하고 과별 분포 비율을 계산하였다. 잡초군락에 대한 하계 작물 재배지 지역별 상호적인 식생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대 피도를 활용하여 PCA (PrincipalComponent Analysis)의 공변량(Covariance) 분석을 실시하였고, 공변량 분석의 자료 해석은 Community analysispackage 4.0 (Seaby and Henderson, 2007)을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 865.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J. Weed Sci. 19(4):294-304. (In Korean) 

  3. Hwang, K.S., Won, O.J., Park, S.H., Eom, M.Y., Suh, S.J., et al. 2013.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2(4):341-347. (In Korean) 

  4. JanzkoviE, F. and Novak, T. 2012. PCAA method for analyze ecological niches. p. 127. 

  5. Kim, D.S. and Park, S.H. 2009. Weed of Korea second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Korea. 

  6.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n, Gyeonggi-do, Korea. 

  7. Lee, I.Y., Kim, C.S., Lee, J.R., Kim, J.H. and Kim, K.H. 2014.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cheri fields. Weed Turf. Sci. 3(2):95-101. (In Korean) 

  8. Lee, I.Y., Park, J.E., Park, T.S., Lim, S.T. and Moon, B.C. 2001. Factfinding survey on paddy, upland and orchard herbicides use at farmer's level. Kor. J. Weed Sci. 21(1):58-64. (In Korean) 

  9. Lee, I.Y., Park, J.E., Kim, C.S., Oh, S.M. and Kang, C.K. 2007.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land of Korea. Kor. J. Weed Sci. 27(1):1-21. (In Korean) 

  10. Oh, Y.J., Lee, H.K., Kim, C.S. and Ham, Y.S. 1981. Distribution of weed population in the paddy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1(1):21-29. (In Korean) 

  11.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and Moon, B.C.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Kor.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12. Raunkiaer, C. 1937.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13. Ryang, H.S., Chun, J.C. and Hwang, I.T. 1984. Change in weed flora with season and cultivated crop and land. Kor. J. Weed Sci. 4(1):4-10. (In Korean) 

  14. Seaby, R. and Henderson, P. 2007. Community analysis (Package 4.0) Searching for structure in community data: PISCES Conservation Ltd., Lymington, England. 

  15. Song, J.S. 1997.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ced fields of Korea. Kor. J. Ecol. 20:191-20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