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록원 재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about the Reeducation Program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2, 2015년, pp.53 - 78  

강은비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박소리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이윤희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최효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초록

기록전문직은 소속된 기록관의 모든 기록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기록물을 보존 관리하는 전통적인 역할을 포함하여 그보다 더 확장된 역할 수행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교육프로그램 과정은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필수적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분야별로 개략적인 이론교육 위주로 구성되어있으며,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유형과 내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과 국내 외 재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현직 공공기관의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과 변화하는 기록관리 업무 환경을 반영하여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rchivists are professional who is responsible for professional works related in archives, they are required to perform expanded roles including traditional roles in changed environment surrounding archives. To solve those requirements, reeducation program can be essential for improving archivi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타과정은 기본과정과 전문과정에서 학습한 분야들 및 기록관리 환경의 최근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2일의 단기 과정으로 제공되며, 홍보 및 서비스 분야와 윤리 강령 및 법률상의 책무, 그리고 IT 분야에 해당하는 최신 이슈와 관련한 내용을 워크숍 유형으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록전문직으로 하여금 기록 환경의 최신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급변하는 업무 환경에 보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현재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은 기록 관리 교육훈련 운영규정에 따라 운영되고 있으며, 훈련 주관기관에서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규정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상세한 교육 분야와 과목에 대한 기준과 설명이 부재한 상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록전문직의 보편타당한 소양을 기르기 위해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를 제시하고 있는 SAA의 지침을 참고하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새로운 재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재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이 요구하는 교육 분야 및 유형에 대한 응답결과를 토대로 현재 국가기록원 재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이는 기록전문직으로 하여금 교육과정의 선택에 있어 자율성을 제고하는 것과 동시에 각 단계별 교육과정에 있어 제공되는 교육 내용의 수준을 심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동시에 이론과 실무 교육을 병행함으로써 기록전문직의 실제 업무와 연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기본과정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1~2일의 교육기간으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콘텐츠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교육과목과 기록관리 교육담당자 역량강화의 교육과목의 경우 각각 3일과 4일의 교육기간이 제공됨으로써 보다 상세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해외기록관 연수 프로그램의 경우 최장기간인 10일로 설계하여, 교육대상자가 직접 해외 기록관 방문을 통해 견문을 넓히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교육과목의 주제와 관련한 사례나 지식에 관해 교육대상자 간의 자유로운 토의가 가능하도록 대부분의 교육과정을 워크숍과 집합교육의 유형으로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전문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7>과 같다.
  • 현재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이 대부분 2~3일의 유형으로 제공되고 있는 점과 더불어 설문조사 및 국외 재교육프로그램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 교육과목의 내용과 특성에 따라 최소 1일에서 최장 10일의 교육기간을 구성하였다. 기간과 함께 교육시수를 함께 설계함으로써, 학습자인 기록전문직에게 교육기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이론과정의 경우 대부분 1일, 7시간의 교육 기간으로 구성하였다.
  • 셋째, 실제 교육 수요자인 현장의 기록전문직 요구 사항을 반영함으로써 기록전문직의 업무 수행 수준을 높이고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존 의 재교육프로그램을 학습한 경험이 있는 기록전문직들로부터 그들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부분을 필요로 하는 지에 대한 의견을 귀담아 듣고 이를 반영함으로써 실제 업무 수행과 기존의 재교육프로그램 간의 괴리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넷째, 교육 과정을 세분화하여 기록전문직이 필요로 하는 교육에 대한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교육과 실무의 연계에 있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 과정의 실제 교육대상자이자, 수요자인 현장 기록전문직의 요구사항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재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셋째, 국내·외 재교육프로그램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새롭게 분야별․범주별로 세분화함으로써 교육대상자들로 하여금 각자 본인들의 학습 수준과 요구사항에 걸맞은 교육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를 통해, 기록전문직의 전자기록물 관리 업무 수행에 있어 요구되는 전문 분야에 대해 보다 확장된 전문성을 획득하고 디지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둘째, 기록관의 홍보 및 이용자 서비스 분야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이용자의 요구 분석 및 이용자 콘텐츠 개발 등 맞춤형 서비스에 관련된 교육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용자들의 기록관에 대한 능동적인 이용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냄과 동시에 기록물의 가치를 높이고 기록에 대한 폭넓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 둘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가기록원 및 국내 · 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재교육프로그램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 · 분석하여 국가기록원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진행된 선행연구는 각각 기록전문직 정규프로그램과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재교육프로그램에 관하여 문헌조사와 사례 연구 그리고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꾸준히 개선 방안을 제안해왔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기록전문직 대상의 재교육프로그램의 측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변화와 흐름을 반영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된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마지막으로, 앞서 국내·외 재교육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국외 재교육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및 서비스 분야와 관련된 다수의 과목을 참고·수정하여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한국기록전문가협회가 현재 기록 관리와 관련된 최신 동향을 주제로 하는 교육과정을 자유로운 의사 교류가 가능한 워크숍 유형으로 제공한다는 장점을 참고하여, 범주, 유형 및 기간을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기록관에서는 기록물의 활용과 적극적인 기록관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 등과 같은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전문적인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공간을 초월한 기록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핵심수단으로 온라인과 모바일을 활용한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에 관한 과정을 개설하여 오프라인 기반의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등 기본과정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보다 더 확장된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앞서 국내·외 재교육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국외 재교육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및 서비스 분야와 관련된 다수의 과목을 참고·수정하여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기록원 재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계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기에 앞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첫째, 변화하는 기록관리 업무환경을 반영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이 급변하는 시대 흐름과 기록전문직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가기록원의 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국외의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보존에서 서비스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고 있는 기록관리 환경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관련된 서비스 분야와 IT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이 대부분인 것에 반해, 국가기록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개설 교과목이 한정적이며 실제 기록전문직이 수행하는 업무와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여전히 기존의 전통적인 기록관리 환경에서 요구하는 보존, 평가 등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그러나 상세한 교육 분야와 과목에 대한 기준과 설명이 부재한 상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록전문직의 보편타당한 소양을 기르기 위해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를 제시하고 있는 SAA의 지침을 참고하여 국가기록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새로운 재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재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이 요구하는 교육 분야 및 유형에 대한 응답결과를 토대로 현재 국가기록원 재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국내·외 재교육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국외 재교육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및 서비스 분야와 관련된 다수의 과목을 참고·수정하여 반영하고자 하였다.
  • 셋째, 현재 기록관리 대학원과 교육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규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록 전문직 정규프로그램과정의 경우 여전히 기록 학 관련 과목들 보다 문헌정보학이나 역사학에 관련된 과목 위주로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기록관리 전 과정이 전자화되는 변화를 교육내용에 반영하지 못해 예비 기록전문직들이 실무와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 첫째, 기존 기록관리 업무 환경은 점차 기록물의 원형과 내용물을 그대로 유지하여 관리하는 보존 분야에서,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분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재교육프로그램 설계 시 보존 분야는 물론, 서비스 관련 분야에 대한 심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자기록환경의 도래로 기록물의 유형이 종이 및 아날로그 형태에서 전자 및 디지털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다.
  • 9%)으로 집계되었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단순히 기록 관리로 국한되었던 기록전문직의 업무가 기록관 운영 및 이용자 서비스 제공 등으로 확대되었으며 이에 필요한 정보기술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시행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기록전문직의 의식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록전문직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설계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더불어 디지털 환경의 도래에 따라 IT 분야에 대한 학습 필요성이 증대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 과정의 실제 교육대상자이자, 수요자인 현장 기록전문직의 요구사항을 반영함으로써, 보다 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재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또한,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기록물을 생산하는 방식과 이용자가 기록물을 이용하는 방법, 기록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었다(오은정 2009).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기록관에서는 기록물의 활용과 적극적인 기록관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 구축 등과 같은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전문적인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공간을 초월한 기록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핵심수단으로 온라인과 모바일을 활용한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에 관한 과정을 개설하여 오프라인 기반의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등 기본과정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보다 더 확장된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반면, 국외의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변화된 기록관리 업무 환경을 발 빠르게 반영하여 서비스 분야뿐만 아니라 디지털과 관련한 IT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내․외의 재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목들을 참고․반영하여, 기존의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변화하는 기록관리 업무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들을 반영하여, 좀 더 세분화되고 다양한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는 설문대상자의 범위가 다소 협소하다는 점에서, 표본의 신뢰성 확보에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먼저 상세한 사례 조사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재교육프로그램의 원칙과 내용을 설계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파악된 기록전문직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사례 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동시에 고려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 환경 및 구조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기록전문직의 다양한 역할에 부합하는 재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둘째, 사례분석을 통하여 국가기록원 및 국내 · 외에서 제공되고 있는 재교육프로그램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 · 분석하여 국가기록원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교육유형의 경우 기존 국가기록원의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집합교육, 집합교육과 E-Learning의 복합적인 교육유형 외에 현직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및 국내 한국기록전문가협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워크숍과 해외연수 유형을 추가함으로써 기록전문직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는 동시에 그들의 참여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교육유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4>와 같다.
  • 마지막으로 현재 공공기관에 재직 중인 기록전문직을 대상으로 재교육의 필요성과 경험, 그들이 재교육프로그램에 요구하는 의견사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에 있어 현직 기록전문직들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 첫째, 디지털환경의 도래와 더불어 변화한 기록 관리 환경에서 요구되는 IT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을 강화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전문직의 전자기록물 관리 업무 수행에 있어 요구되는 전문 분야에 대해 보다 확장된 전문성을 획득하고 디지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둘째, 기록관의 홍보 및 이용자 서비스 분야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이용자의 요구 분석 및 이용자 콘텐츠 개발 등 맞춤형 서비스에 관련된 교육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 특히, 국외의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보존에서 서비스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고 있는 기록관리 환경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관련된 서비스 분야와 IT분야에 대한 교육과정이 대부분인 것에 반해, 국가기록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개설 교과목이 한정적이며 실제 기록전문직이 수행하는 업무와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여전히 기존의 전통적인 기록관리 환경에서 요구하는 보존, 평가 등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교육과정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국가기록원 재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기록전문직으로 하여금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효과적이고 최적화된 재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전문직의 개념과 역할 그리고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기록전문직의 보편타당한 소양을 기르기 위해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를 제시하고 있는 SAA의 지침을 기준으로 국가기록원과 한국기록전문가협회, 영국 및 미국의 재교육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둘째, 전자기록환경의 도래로 기록물의 유형이 종이 및 아날로그 형태에서 전자 및 디지털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기록전문직이 관리해야 하는 기록물 대상의 폭이 넓어지는 동시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 디지털 관련 분야에 대한 학습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분야들은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현직 기록전문직들이 업무수행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과 교육원의 정규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한 지식과 실제 업무 간의 괴리를 해소하는 동시에 기록전문직으로 하여금 보다 전문직으로서 유능하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새롭게 개선된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앞서 살펴보았던 국내·외 재교육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육과목들을 기록전문직의 보편타당한 소양을 기르기 위해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를 제시하고 있는 SAA의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s in Archival Studies (SAA 2011)의 비교표를 참고하여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제공되는 국가기록원의 재교육프로그램 보다 상세한 지식 분야를 제시하여, 새롭게 개선하고자 하였다.
  • 또한, 실무관련 교과목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현장실습 과목이 부재한 경우가 많아, 졸업 후 실제 업무 수행에 있어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기록전문직이 기본적인 소양을 쌓는데 필수적인 교과목과 그와 긴밀하게 연계된 실무 관련 교과목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기록전문직 개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IT 분야 및 서비스 분야와 관련된 교과목을 설계함으로써 변화하는 기록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한편, 해외기록관을 직접 방문하는 연수프로그램의 경우 최장 10일의 기간으로 설계함으로써 기록전문직이 보다 자유롭게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기록전문직이 각 교육과정별로 교육내용을 수강하는데 있어 적합한 기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전문과정의 과목들은 대부분 기본과정에서 각 분야별로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발된 심화교육과정으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고 지식을 관리하기 위해 메타데이터의 필요성이 부각(문주영 1998) 됨에 따라 전자기록물의 지적 통제 및 구조적 접근을 위한 기록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축과 이와 관련한 메타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심화학습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기록물을 생산하는 방식과 이용자가 기록물을 이용하는 방법, 기록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영향을 주었다(오은정 2009).
  • 한편, 기록전문직과 유사한 전문직 분야로서 사서 대상의 재교육프로그램은 유사직군으로서 상호 기능과 역할에서 많은 유사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참고하고자 하였다. 김태희와 리상용(2014)은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복남선(2013)은 사서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을 바탕으로 교육의 효과 증대와 개선에 관해 연구하였다.
  • 현재 제공되는 정규교육프로그램과 기존의 국가기록원 재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실제 업무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개략적인 이론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어 기록전문직이 실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록전문직의 보편타당한 소양을 기르기 위해 기본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분야를 제시하고 있는 SAA의 지침을 기준으로, 국내·외 재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새롭게 범주, 기간 및 유형을 설계 하여, 개인별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선택․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록전문직의 자율성을 확대 하는 동시에 실무와 보다 더 밀접한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전문직이란? 기록전문직은 소속된 기록관의 모든 기록물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기록물을 보존 관리하는 전통적인 역할을 포함하여 그보다 더 확장된 역할 수행을 요구받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교육프로그램 과정은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필수적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전문직들이 표준이나 기술 등에 대하여 재교육을 요구하는 이유는? 간혹 실무지식 습득과 관련된 과정이 추가된 경우가 있지만, 여전히 미비하다는 점에서 현재 대학원과 교육원에서 운영 중인 정규프로그램을 이수․졸업 후 임용된 기록전문직들의 경우 그들이 학습한 교육프로그램과 실제 업무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지할 수밖에 없다. 한편, 기록환경이 아날로그환경에서 디지털환경으로 급변함에 따라 현직에서 종사하고 있는 기록전문직들의 근무 환경 또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에 습득하고 업무에 적용하였던 표준이나 기술 등에 대하여 재교육을 요구받는다.
현재 운영 중인 정규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정규교육프로그램들 은 문헌정보학이나 역사학의 관점에 편중된 이론 위주의 교육과정이 실시되어 실무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는 극히 적거나 실제로 없는 경우(김순희 2009)가 많다. 간혹 실무지식 습득과 관련된 과정이 추가된 경우가 있지만, 여전히 미비하다는 점에서 현재 대학원과 교육원에서 운영 중인 정규프로그램을 이수․졸업 후 임용된 기록전문직들의 경우 그들이 학습한 교육프로그램과 실제 업무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인지할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국가기록원. 2014. 교육과정안내 [online]. [cited 2014.12.7].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4. Curriculum Guidance [online]. [cited 2014.12.7]. .) 

  2. 김순희. 2009. 기록관리 전문가의 실무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71-293.(Kim, Soon-Hee. 2009. "A Study on a Teaching Program to Improve the Working Ability for Records Manager."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271-293.) 

  3. 김익한. 2003. 전문요원제도와 기록관리교육의 질적 제고. 기록학연구, 7: 129-148.(Kim, Ik-Han. 2003. "Qualitative Improvement for the Professionals Policies and Education in Record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7: 129-148.) 

  4. 김태희, 리상용. 2014.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363-395.(Kim, Tae-hee and Sang-Yong Lee. 2014. "A Study on Improving a Continuing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Focusing on Privatized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363-395.) 

  5. 문주영. 1998.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웹기반 문서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비서직 종사자들의 효율적인 문서관리를 위한 방안.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비서학과.(Moon, Ju-Young. 1998. A Study on Development of Web based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ing Metadata for Office Profession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Department of Secretarial Science.) 

  6. 박선영. 2010.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계속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Park, Sun-Young. 2010. A Study on Improving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Major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7. 복남선. 2013. 사서(司書)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 훈련 운영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책경영공공학과 정책학 전공.(Bok, Nam-Seon. 2013. A Study on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o Reinforc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onkuk University,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8. 심원식. 2009. 주제전담사서 양성을 위한 사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541-560.(Shim, Won-sik. 2009. "Curriculum Development of Training Librarians for Subject Liaiso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1): 541-560.) 

  9. 오은정. 2009. 대학기록관 웹 사이트 구축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Oh, Eun-Jeong. 2009. A Study of Structuring and Modeling of University Archives Websi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Major in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10.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Youn, Eun-Ha. 2012.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63-179.) 

  11. 장혜란, 홍현진, 노영희, 오의경. 2008. 대학도서관 사서를 위한 전문 계속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133-168.(Chang, Hye-Rhan, Hyun-Jin Hong, Young-Hee Noh, and Eui-Kyung Oh. 2008. "A Study on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133-168.) 

  12. 장혜리, 최재황. 2008. 레코드매니저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123-142.(Jang, Hye-Li and Jae-Hwang Choi. 2008.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Records Manag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123-142.) 

  13. 정연경. 2010. 기록 전문직 양성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99-118.(Chung, Yeon-Kyoung. 2010.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a New Direction for Archiv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1): 99-118.) 

  14. 최윤정. 2006. 영구기록물관리자를 위한 계속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Choi, Yun-Jung. 2006. A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Archivis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Archival Science Myungi University, Department of Archival Science.) 

  15. 최정태. 2000. '기록관리학', 그 교육의 향방: 신설 9개 대학원 교과과정을 보면서. 기록학연구, 2: 169-194.(Choe, Jung-Tai. 2000. "'Archival Management', The Right Direction of Education Program: Analyze the curriculum of Archival Management Course in 9 Univers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 169-194.) 

  16.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14. 알림마당 [online]. [cited 2014.12.3]. .(Korea Association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2014. Notice [online]. [cited 2014.12.3]. .) 

  17. 홍진주. 2013. 대학도서관 사서직을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정보과학과(문헌정보전공).(Hong, Jin-Ju. 2013.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 황옥경, 오세훈. 2006. 대학도서관 사서직을 위한 계속교육 운영모형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249-263.(Hwang, Ok-Gyung and Se-Hoon Oh. 2006. "A Study on the Operation Model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1): 249-263.) 

  19. ARA. 2014. Archives & Records Association Launches News [online]. [cited 2014.12.2]. . 

  20. Conway, Paul. 1993.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for Training the Archivist."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1): 40-45. 

  21. Cox, Richard J. 1993. "The Roles of Graduate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in Preparing Archivists in North America for the Information Age." American Archivist, 56(3): 444-457. 

  22. Jenkinson, H. 1922. A Manual of Archival Administration. London: Oxford Press. 

  23. NARA. Records Management Training Learn Center. 2014. BROWSE available classes [online]. [cited 2014.12.5]. . 

  24. SAA. 2014. Guidelines for Archival Continuing Education(ACE) [online]. [cited 2014.12.5]. . 

  25. SAA. 2015.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s in Archival Studies(GPAS) [online]. [cited 2015.3.8]. . 

  26. TNA. 2014. Training courses and events [online]. [cited 2014.12.8]. . 

  27. UCL. 2014. Taught programmes. Information Science MSc [online]. [cited 2014.12.8]. . 

  28. University of Liverpool. 2014. Centre for Archive Studies. D/CPS: Records and Information Management for the Public Sector [online]. [cited 2014.12.8].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