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종효모를 이용한 복분자 발효주의 바이오제닉아민 함량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Biogenic Amines Content and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lack Raspberry Wine Using Traditional Yeast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3, 2015년, pp.296 - 303  

윤해훈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  손락호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  류은혜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  정지혜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wine made using traditional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8, B6, GBY2, GBY3) and S. cerevisiae Fermivin (FM), which is widely used in wine manufacturing, and analyze the biogenic amine content and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Black raspberr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효모에 관한 연구로는 효모 종류 및 효소 첨가에 따른 복분자주의 발효 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 분석(Choi HS 등 2005), 활성 건조 효모를 이용한 복분자주의 품질 및 아미노산 함량 분석 연구(Moon YJ 등 2005, Moon YJ 등 2006),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black raspberry 발효주의 품질특성(Lee YJ 등 2013) 연구 등으로 주로 와인 발효에 적합한 상업적인 효모를 이용한 발효 특성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된 토종효모와 시판효모를 이용하여 복분자 발효주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바이오제닉아민 함량, 향기성분 분석, 관능검사를 통하여 안전성과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토종효모를 선발하여 우수한 복분자 발효주 제조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분자의 특징은? 복분자(Rubus occidentalis)는 장미과의 낙엽관목이며 우리나라 남부 및 중부 지방에서 재배되고, 6월 중순에서 7~8월에 열매가 성숙되는데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은 후 검붉은 색으로 완숙되어 단맛과 신맛, 독특한 향을 갖는다(Park PJ 등 2004). 영양 성분으로는 무기질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유기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anthocyanin, tannin, polyphenol 등의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MW 1995).
복분자의 각종 생리활성 효과는? 영양 성분으로는 무기질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유기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anthocyanin, tannin, polyphenol 등의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MW 1995). 복분자에 관한 연구로는 항산화활성, 항균효과, 항암활성, 면역증진효과 등(Cha HS 등 2001, Shin KS 등 2003, Jeong EJ 등 2007)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항알레르기, 항고지혈증 및 항고혈당증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Park JH 등 2006, Shin TY 등 2006, Choi JW 등 2008). 이처럼 복분자는 생리활성이 우수하여 젤리(Yu OK 등 2008), 드레싱(Jung SJ 등 2008), 잼(Jin TY 등 2008), 초콜릿(Yu OK 등 2007) 등의 다양한 가공식품 개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복분자 가공 식품으로는 주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복분자의 영양학적 특징은? 복분자(Rubus occidentalis)는 장미과의 낙엽관목이며 우리나라 남부 및 중부 지방에서 재배되고, 6월 중순에서 7~8월에 열매가 성숙되는데 둥글고 붉은색으로 익은 후 검붉은 색으로 완숙되어 단맛과 신맛, 독특한 향을 갖는다(Park PJ 등 2004). 영양 성분으로는 무기질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유기산과 비타민 C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anthocyanin, tannin, polyphenol 등의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MW 1995). 복분자에 관한 연구로는 항산화활성, 항균효과, 항암활성, 면역증진효과 등(Cha HS 등 2001, Shin KS 등 2003, Jeong EJ 등 2007)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항알레르기, 항고지혈증 및 항고혈당증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Park JH 등 2006, Shin TY 등 2006, Choi JW 등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cin-Azpilicueta C, Gonzalez-Marco A, Jimenez-Moreno N. 2008. Current knowledge about the presence of amines in wine. Crit Rev Food Sci Nutr 48(3):257-275 

  2. Beneduce L, Romano A, Capozzi V, Lucas P, Barnavon L, Bach B, Vuchot P, Grieco F, Spano G. 2010. Biogenic amine in wines. Ann Microbiol 60(4):573-578 

  3. Brink B, Damink C, Joosten HMLJ, Huis in't Veld JHJ. 1990. Occurrence and formation of biologically active amines in foods. Int J Food Microbiol 11(1):73-84 

  4. Cha HS, Park MS, Park KM. 200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4):409-415 

  5. Cho TY, Han GH, Bahn KN, Son YW, Jang MR, Lee CH, Kim SH, Kim DB, Kim SB. 2006. Evalu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commercial ferment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730-737 

  6. Choi HS, Kim MG, Park HS, Shin DH.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574-578 

  7. Choi JW, Yoo YM, Kim MY, Nam JH, Nugroho A, Park HJ. 2008. Anti-hyperglycem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the triterpenoid-rich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and Rubus crataegifolius and their main component, niga-ichigoside F1,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at Prod Sci 14(4):260-264 

  8. Choung MG, Lim JD. 2012.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bokbunj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4):259-269 

  9. Escudero A, Campo E, Farina L, Cacho J. Ferreira V. 2007. Analytical characterization of the aroma of five premium red wines. J Agric Food Chem 55(11):4501-4510 

  10. Fritz SB, Baldwin JL. 2003. In Food allergy : Adverse reactions to foods and food additives. Blackwell publishing. Oxford, England. pp 395-407 

  11. Furia TE, Bellanca N. 1975. Fenaroli's handbook of flavor ingredients. 2nd ed. The Chemical Rubber Co. Cleveland, OH, USA. p 461 

  12. Hwang Y, Lee KK, Jung GT, Ko BR, Choi DC, Choi YG, Eun JB. 2004. Manufacturing of wine with waterme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50-57 

  13. Jeong EJ, Kim HE, Shin DH, Kim YS. 2007.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the extraction yield improvement from Rubus coreanus jui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Preserv 14(6):702-708 

  14. Jin TY, Heo SI, Lee WG, Lee IS, Wang MH. 2008.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48-52 

  15. Jung SJ, Kim NY, Jang MS. 2008.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497-504 

  16. Kim JC. 2009. Enology. Baeksan Press. Seoul, Korea. pp 21-62 

  17. Kim JH, Ryu SJ, Lee JW, Kim YW, Hwang HJ, Kwon OK. 2013. Investigation on biogenic amines in plant-based minor Korean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Appl Bi 56(2):113-117 

  18. Kim TH, Yi DH, Kim HJ. 2009. Effect of resveratrol on win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analy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2):1740-1745 

  19. Landete JM, Ferrer S, Pardo I. 2007.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cetic bacteria and yeast isolated from wine. Food Control 18(12):1569-1574 

  20. Lee MW. 1995.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Pharm Soc 39(2):200-204 

  21. Lee SJ, Ahn BM. 2009.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6):662-667 

  22. Lee YJ, Kim JC, Hwang KT, Kim DH, Jung C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 fermented with different yea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784-791 

  2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3):426-428 

  24. Moon YJ, Lee MS, Sung CK. 2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Nutr 18(4):302-308 

  25. Moon YJ, Lee MS, Sung CK. 2006. Contents of amino acids in raspberry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Korean J Food Nutr 19(4):392-397 

  26. Park JH, Oh SM, Lim SS, Lee YS, Shin HK, Oh YS, Seok OY, Choe NH, Park JH, Kim JK. 2006.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Rubus coreanus in murine macrophag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51(1):146-152 

  27. Park PJ, Lo SC, Han SS. 2004. Control of disease, insect pest and weed cultivation area of Rubus coreanus Miquel. J Life Sci Nat Res 26(1):56-67 

  28. Park YH. 1975.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making in Korea. Korean J Agric Chem Soc 18(4):219-227 

  29. Seo SH, Yoo SA, Kang BS, Son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black raspberry bokbunja wines produc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in the ferment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1):33-38 

  30. Shin KS, Park PJ, Boo HO, Ko JY, Han SS. 2003. Chemical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fruit of natural bogbunja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Plant Res 16(2):109-117 

  31. Shin TY, Shin HY, Kim SH, Kim DK, Chae BS, Oh CH, Cho MG, Oh SH, Kim JH, Lee TK Park JS. 2006. Rubus coreanus unripe fruits inhibits immediate-type allergic re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Nat Prod Sci 12(3):144-149 

  32.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s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895-900 

  33. Yu OK, Kim MA, Rho JO, Sohn HS, Cha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optimization recipes of chocolate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9):1193-1197 

  34. Yu OK, Kim JE, Cha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6):792-79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