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면증 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의 주간졸림 정도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omnia Severity on Daytime Sleepines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2 no.1, 2015년, pp.11 - 19  

남지원 (국군청평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병학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현실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민지 (아시아퍼시픽 국제외국인학교 과학연구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의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주간졸림이 있다.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심각도가 비례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다. 이러한 이론에는 불면증 정도가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본 연구자들은 피츠버그수면질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이하 PSQI) 정도가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의 연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를 실시하여 OSAS로 진단된 235명의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수면 및 기분 관련 자가보고척도, 수면다원검사지수, 인구학적 척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단순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체 대상군을 PSQI가 5 이하인 A군(n = 75)과 5 초과인 B군(n = 160)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제어변수로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 및 벡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를 설정하고 엡워스졸림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이하 ESS)와 다른 척도들 간의 편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A군에서 주간졸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ESS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에서 단순상관분석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 심각도 지수들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 ) (r = 0.148, p = 0.023), 무호흡 지수(apnea index, 이하 AI) (r = 0.137, p = 0.036), 저호흡 지수(hypopnea index, 이하 HI) (r = 0.058, p = 0.377), 산소탈포화도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이하 ODI)(r = 0.149, p = 0.022), 각성 총지수(arousal total index, 이하 ATI) (r = 0.129, p = 0.048) 간에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없었다. A군에서 ESS와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TI ($r_p=0.256$, p = 0.031) 간에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군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의 심각도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군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ESS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AI (t = 2.996, p = 0.004), BAI (t = 2.721, p = 0.008)가 있었다. 결 론 : 주간졸림 정도와 수면무호흡 중증도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A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OSAS 환자가 호소하는 주간졸음을 평가할 때 불면 증상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hether daytime sleepiness is proportional to the severity of sleep apnea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insomnia severity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apnea severity in OSAS. Methods: The 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불면증 환자 또한 수면 박탈을 통해 주간졸림을 호소하게 된다(Pigeon과 Perlis 2006). 따라서 OSAS에 병발하는 불면증의 영향을 배제할 경우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 간에 더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날 것으로 본 연구자들은 가정하였고, 이번 연구를 통하여 불면증을 평가할 수 있는 PSQI 점수가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의 연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보이는 원인으로 앞선 연구에서 주간졸림이 PSQI와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에 주목하였다. PSQI는 자가보고를 통하여 지난 한 달간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척도이다(Buysse 등 198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이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은 수면 중 10초 이상 호흡이 정지되는 수면무호흡이 시간당 5회 이상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연부조직이 과도하게 많거나 두개 및 안면 이상으로 인해 상기도가 좁아지면서 발생하게 되며, 드물게는 신경학적 이상으로 인하기도 한다.
OSAS 환자들이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임상적인 증상은 무엇인가? 임상적으로 가장 흔하게 OSAS 환자들이 호소하며, 특징적인 증상은 주간졸림이다(Krieger 등 2002). OSAS의 심각도를 예측할 수 있는 간접적 방법으로 주간졸림의 정도를 보는 방법이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은 수면 중 10초 이상 호흡이 정지되는 수면무호흡이 시간당 5회 이상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연부조직이 과도하게 많거나 두개 및 안면 이상으로 인해 상기도가 좁아지면서 발생하게 되며, 드물게는 신경학적 이상으로 인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Ghanim N, Comondore VR, Fleetham J, Marra CA, Ayas NT. The economic impact of obstructive sleep apnea. Lung 2008;186:7-12. 

  2. Andrews JG, Oei TP. The role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lin Psychol Rev 2004;24:1031-1049. 

  3. Asghari A, Mohammadi F, Kamrava SK, Tavakoli S, Farhadi M. Severity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2;269:2549-2553. 

  4. Backhaus J, Junghanns K, Broocks A, Riemann D, Hohagen F.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 primary insomnia. J Psychosom Res 2002;53:737-740. 

  5. Bennett LS, Barbour C, Langford B, Stradling JR, Davies RJ. Health status in obstructive sleep apnea: relationship with sleep fragmentation and daytine sleepiness, and effects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reatment.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59:1884-1890. 

  6.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7. Chugh DK, Weaver TE, Dinges DF. Neurobehavioral consequences of arousals. Sleep 1996;19:198-201. 

  8. Chung KF. Insomnia subtyp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daytime sleepines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Respiration 2005;72:460-465. 

  9. Gabbay IE, Lavie P. Age- and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Breath 2012;16:453-460. 

  10. Gottlieb DJ, Whitney CW, Bonekat WH, Iber C, James GD, Lebowitz M, et al. Relation of sleepiness to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59:502-507. 

  11. Greenberg GD, Watson RK, Deptula D. Neuropsychological dysfunction in sleep apnea. Sleep 1987;10:254-262. 

  12. Han KH, Soh M, Ha JH, Ryu SH, Yu J, Park DH. Th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sleep apnea, sleep and mood related scales, and activity during sleep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Sleep Med Psychophysiol 2011;18:76-81 

  13. Harris M, Glozier N, Ratnavadivel R, Grunstein RR. Obstructive sleep apnea and depression. Sleep Med Rev 2009;13:437-444. 

  14.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15. Johns M, Hocking B.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habits of Australian workers. Sleep 1997;20:844-849. 

  16. Kapsimalis F, Kryger MH. Gender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rt 1: Clinical features. Sleep 2002;25:412-419. 

  17. Kingshott RN, Sime PJ, Engleman HM, Douglas NJ. Self assessment of daytime sleepiness: patient versus partner. Thorax 1995;50:994-995. 

  18. Kingshott RN, Engleman HM, Deary IJ, Douglas NJ. Does arousal frequency predict daytime function? Eur Respir J 1998;12:1264-1270. 

  19. Kjelsberg FN, Ruud EA, Stavem K. Predictors of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Med 2005;6:341-346. 

  20. Krakow B, Melendrez D, Ferreira E, Clark J, Warner TD, Sisley B, et al. Prevalence of insomnia symptoms in patients with sleep-disordered breathing. Chest 2001;120:1923-1929. 

  21. Krell SB, Kapur VK. Insomnia complaints in patients evaluated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leep Breath 2005;9:104-110. 

  22. Krieger J, McNicholas WT, Levy P, De Backer W, Douglas N, Marrone O, et al. Public health and medicolegal implications of sleep apnoea. Eur Respir J 2002;20:1594-1609. 

  23. Liu X, Uchiyama M, Kim K, Okawa M, Shibui K, Kudo Y, et al. Sleep loss and daytime sleepiness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of Japan. Psychiatry Res 2000;93:1-11. 

  24. Martin SE, Wraith PK, Deary IJ, Douglas NJ. The effect of nonvisible sleep fragmentation on daytime func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5:1596-1601. 

  25. Orr WC, Martin RJ, Imes NK, Rogers RM, Stahl ML. Hypersomnolent and nonhypersomnolent patients with upper airway obstruction during sleep. Chest 1979;75:418-422. 

  26. Pigeon WR, Perlis ML. Sleep homeostasis in primary insomnia. Sleep Med Rev. 2006;10:247-254. 

  27. Pillar G, Lavie P. Psychiatric symptoms in sleep apnea syndrome: effects of gender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Chest 1998;114:697-703. 

  28. Punjabi NM. The epidemiology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roc Am Thorac Soc 2008;5:136-143. 

  29. Riedel BW, Lichstein KL. Insomnia and daytime functioning. Sleep Med Rev 2000;4:277-298. 

  30. Roehrs T, Zorick F, Wittig R, Conway W, Roth T. Predictors of objective level of daytime sleepiness in patients with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Chest 1989;95:1202-1206. 

  31. Roth T, Hartse KM, Zorick F, Conway W. Multiple naps and the evaluation of daytime sleepiness in patients with upper airway sleep apnea. Sleep 1980;3:425-439. 

  32. Sanchez AI, Buela-Casal G, Bermudez MP, Casas-Maldonado F. The effects of continuous positive air pressure treatment on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in apnea patients. Psychiatry Clin Neurosci 2001;55:641-646. 

  33. Silber MH, Ancoli-Israel S, Bonnet MH, Chokroverty S, Grigg-Damberger MM, Hirshkowitz M, et al. The visual scoring of sleep in adults. J Clin Sleep Med 2007;3:121-131. 

  34. Sink J, Bliwise DL, Dement WC. Self-reported excessive daytime somnolence and impaired respiration in sleep. Chest 1986;90:177-180. 

  35. Stradling JR, Crosby JH, Payne CD. Self reported snoring and daytime sleepiness in men aged 35-65 years. Thorax 1991;46:807-810. 

  36. Stepanski E, Lamphere J, Badia P, Zorick F, Roth T. Sleep fragmentation and daytime sleepiness. Sleep 1984;7:18-26. 

  37. Young T, Palta M, Dempsey J, Skatrud J, Weber S, Badr S.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38. Young T, Peppard PE, Gottlieb DJ. Epidemiology of obstructive sleep apnea: a population health perspectiv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5:1217-1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